1. 제 1차 세계대전을 전후로 하여
국제적으로 약소 민족, 피지배 민족에
대한 다양한 화두가 제시
2. 국외 독립운동가들의 독립 선언 발표,
국내의 무단통치에 대한 불만 누적
- 1917년의 러시아 혁명으로 사회주의 정권 수립 → 지도자 ‘레닌’이 핍박받는 민족들에 대한 지원 선언
- 1918년 미국 대통령 윌슨의 14개조 평화 원칙 발표 → 모든 민족이 자신의 정치적 운명을 결정할 수 있다는 ‘민족자결주의’가 포함
1918년 1월,
미국 의회에서 연설하는
우드로 윌슨 대통령.
- 상하이의 ‘신한청년단’이 파리 강화회의에
김규식을 대표로 파견
- 신규식, 신채호 등 독립운동가들이 발표한
‘대동단결선언’(1917)
- 만주 지역의 독립운동가 39인이
'대한독립선언서'(1919) 발표 준비
- 일본 유학생들이 도쿄에서 발표한
‘2.8 독립선언’(1919)
- 10년에 가까운 무단 통치로 불만 누적
- 고종의 사망 소식으로 반일 감정 고조
- 국외의 잇따른 활동과 선언들에 영향
→ 종교 및 학생 대표들의 대규모 만세
시위 계획
1) 3월 1일의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 +
탑골공원의 만세 시위 전개
2) 전국적으로 확산, 노동자와 농민 계층이 가세
(유관순의 만세 운동은 1919년 4월 1일 발생)
3) 경찰 및 관 조직을 동원한 일제의 무력 탄압
(화성 지역의 제암리 학살 등)
4) 무력 저항의 발생 → 관청 습격 및 시설 파괴,
친일 지주 등을 응징하기도 함
1. 우리 민족의 독립 의지를 세계에 알렸다.
+ 중국, 인도의 사람들에게도 영향
2.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계기가 되었다.
- 조직화된 지도부의 필요성
3. 일제의 통치 방식 변화의 계기가 되었다.
- 문화통치로의 전환 기점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