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1. 가정(숨은 전제)을

고려하여 평가하기

이유가 결론을 뒷받침하는지 평가 2

피셔 173쪽

  • 가정(숨은전제)을 고려하여 평가하기
  • 결론 관련 다른 사항을 고려하여 평가하기

찾아야 할 가정

  • 그 맥락에서 할 만한 가정

  • 드러나 있는 주장을

의미있게 해 줄 가정

  • 추론을 더 강하게 해주는 데 필요한 가정

피셔 241쪽, 읽을거리 33번

지구 온난화가 실제 진행되고 있다면 북극과 남극의 얼음이 아주 빠른 속도로 녹고 있어야 한다. 만약 얼음이 녹고 있다면 해수면이 점점 높아져야 할 것이다. 그런데 해수면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는 증거가 있다. 따라서 지구온난화가 실제로 진행되고 있음이 분명하다.

17세 이하의 청소년이 저지르는 범죄수가 지난 7년 사이 거의 배가 늘어났다. 올해 제정된 형법은 이런 추세를 되돌리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범죄를 저지르는 어린이들은 처벌이 최소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법이 시행되면 부모에게 벌금을 부과하거나 보상을 요구할 수 있고, 17살 이하의 자식이 범죄를 저질렀을 경우 자식과 함께 부모도 법정에 강제로 출석해야 한다. 벌금 액수는 부모의 수입에 달려 있는데, 부자일 경우 자식의 범죄 때문에 최대 5,000파운드까지 부모가 물어낼 수도 있다.

피셔 254쪽, 읽을거리 52번

피셔 265쪽, 읽을거리 59번

원자력 발전으로 말미암아 사람이나 지구의 생태계가 입게 되는 실제 위험은 거의 무시할 만한 정도이다. 체르노빌 사건과 같은 것이 일어나기도 한다. 하지만 그래서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인가? 서른 몇 명의 용감한 소방수들이 불필요하게 죽었다. 하지만 그것이 세계 인구에 미친 영향은 아주 미미한 수준이다. 야생 생물에는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체르노빌 근방의 땅에는 방사능이 너무 심해서 사람들은 들어갈 수 없다. 하지만 야생 생물들은 방사능을 개의치 않는다. 체르노빌로 야생 생물들이 물밀둣 밀려 들어왔다. 지금은 그곳이 생태계 측면에서 가장 풍부한 곳이다.

그리고 사람들은 묻는다. “핵폐기물을 어떻게 할 것인가?” 나는 이렇게 답하겠다. 그것을 아주 소중한 야생 지역에 갖다 두어라. 만약 밀림 지역의 다양한 생물을 여러분이 보존하고 싶다면, 핵폐기물 한 통을 그 지역 깊숙이 떨어트려 놓아 개발업자들이 그 지역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라. 야생 생물의 주기가 약간 짧아질지도 모른다. 하지만 동물들은 그 점을 알지 못할 것이며, 그것에 신경쓰지도 않을 것이다. 자연 선택을 통해 변이가 발생할 것이다. 생명은 계속 될 것이다.

나는 거대한 원자력 발전소의 부산물을 기꺼이 받아들이겠다. 나는 고준위 폐기물이 크기가 약 1미터 되는 금속 상자라고 생각하며 , 나는 그것을 묻어 놓을 콘크리트 구덩이를 기꺼이 받아들이겠다. 나는 그 폐기물을 두 가지 목적에 쓰겠다. 하나는 집 난방에 쓰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난방을 공짜로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하나는 슈퍼마켓에서 산 물건이나 닭고기, 살모넬라균이 들어 있는 뭔가 등을 살균하는 데 쓰는 것이다. 구멍으로 그것을 한 방울 떨어트리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 사람들이 그 콘크리트 구덩이 꼭대기에 앉아 있는 내 손자들의 사진을 찍으러 온다면 나는 그들을 기꺼이 반길 것이다.(제임스 러브록, <가디언>, 2000.11.16)

어떻게 이런 법률이 우리 조상들의 제도와 어울릴 수 있을까요?그것이 어떻게 그들의 경험과 맞을까요? 우리는 어제의 지혜를 수세기 동안의 지혜와 비교하고 있는 건가요? 수염도 안 난 젊은이들은 나이든 사람들을 전혀 존경하지 않아도 되는 건가요? 만약 이런 법률이 좋은 것이라면 과연 과거 지혜로웠던 색슨 선조들은 그것을 몰랐던 것일까요? 우리가 지닌 최선의 정치 제도는 대부분 그들 덕분에 생긴 것인데도 말이죠. 그런 놀라운 발견이 요즘과 같은 타락한 시대에 와서야 발견되도록 남아 있었단 말인가요?

오래 동안 검증된 지혜는

어느 시대에나 항상 유효하다.

?

조상들의 제도, 경험은 수세기 동안 검증받은 지혜의 산물이다.

수 세기 동안 검증받은 지혜보다 어제 하루의 지혜가 더 좋을 수는 없다.

지금 좋은 것은 어느 시대에도 늘 좋은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

좋은 법률이라면 지혜로운 선조들이 오랜 경험 속에서 이미 어느 때든 발견했을 것이다.

이 새 법률은 지혜로운 선조들이 아직까지 발견하지 못 한 것이다.

이 새 법률은 조상들의 제도, 경험과 어울리지 않는다.

조상들의 제도, 경험과 어울리지 않는 것은 좋은 것이 아니다.

이 새 법률은 좋은 것이 아니다.

피셔 9장

술은 좋은 걸 마셔야 해. 한국 술은 마시지마.

1인당 술 소비량은 한국이 세계 15위인데, 알콜성 치매 환자는 세계 1위래.

1인당 술 소비량 1위 러시아부터 8위까지 국가의 평균 수명은 50대.

이 나라들은 술이 수명을 단축시켜 알콜성 치매 환자가 적은 것

2. 결론과 관련된 다른 사항을

고려하여 평가하기

피셔 179쪽

피셔 243쪽, 읽을거리 39번

중간 고사

사형 선고를 받은 사람에게 종신형이나 사형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라고 하면, 99%는 종신형을 선택한다. 이 사실은 사람들이 일생 동안 감옥에 있는 것보다 죽음을 더 두려워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사람이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을 피하고자 하기 마련이므로 사형의 위협이 종신형보다 살인 범죄 억제 효과가 클 것이다.

젊은이들은 결혼을 하지 말아야 한다. 현재 통계를 보면 결혼한 쌍의 40%가 이혼으로 끝나며, 이혼하지 않고 같이 사는 쌍 가운데도 많은 사람들은 불행한 결혼 생활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결혼을 하는 젊은이들은 이혼으로 끝나거나 불행한 결혼 생활을 할 가능성이 그렇지 않을 가능성보다 더 크다. 이것은 젊은 쌍들에게 엄청난 확률이다.

논증의 분석

  • 논증 파악하기
  • 논증 구조도 그리기
  • 논증의 “왜”와 설명의 “왜” 구분
  • 가정 찾아내기

?

사람들은 죽음을 더 피하고자 한다.

어떤 것을 더 피하고자 하면 사람들은 그것을 초래하는 행위도 더 피하고자 한다.

논증의 평가

  • 이유는 참인가?
  • 이유로부터 결론이 따라 나오는가?
  • 논증의 흠 찾아내기
  • 가정(숨은 전제) 고려하여 평가하기
  • 다른 관련 사항을 고려하여 평가하기
  • 결론을 뒷받침하는 강도의 차이 평가

피셔 237쪽, 읽을거리 21번

피셔 180쪽

피셔 8장(149쪽)

지구 역사를 보면 종이 멸종된 수많은 사례가 있으며 우리는 그런 멸종을 심각한 환경 문제로 보아서는 안 된다. 2억 4천5백만 년 전에는 종의 90%가 멸종되었다. 6천5백만 년 전에는 공룡을 포함해 당시 생존하던 생명체 가운데 50%가 사라졌다. 훨씬 최근 들어서는 인간의 영향으로 많은 종이 멸종되어 가고 있다. 가령 하와이의 경우 이런 영향 때문에 수 많은 종류의 식물이나 곤충, 동물이 사라졌다. 하지만 멸종이 되면 그 종을 대체하는 새로운 종이 늘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 수 있다.

세계 도처에서 그림을 모아 여는 대규모 전시회는 그림에 좋지 않다. 그림을 어떻게 운반하든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그에 따라 손상되거나 파괴될 수 있다. 그리고 아무리 세심하게 준비해서 옮긴다 하더라도 압력이나 습도의 변화는 있을 수밖에 없으며 그것은 그림에 좋을 리가 없다.

3. 결론을 뒷받침하는지

평가하는 3단계 질문

민사재판, 일상적 판단

결론이 도출될 확률이

그렇지 않을 확률보다 큰가?

3단계

피셔 169, 읽을거리 57

형사 법정, 자연과학

결론이

합리적 의심의 여지없이

도출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적극적인 증거가 없지만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증거도 없으므로, 신의 존재 문제에 대해서는 마음을 열어 놓고 불가지론자가 되는 것이 최선의 방안이라고 흔히 말한다.

언뜻 들어 보면 이는 절대 틀릴 수 없는 입장 같다. 하지만 좀 더 생각해 보면 이는 그냥 책임 회피일 뿐임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같은 이야기를 산타클로스나 이의 요정을 두고서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당 아래 이의 요정이 있을 수도 있다. 이의 요정이 있다는 증거는 없지만 그렇다고 이의 요정이 없다는 증거도 없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의 요정에 대해 불가지론자가 되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

이런 논증의 문제점은 그것이 아무 데나 다 적용될 수 있다는 데 있다. 확실하게 반증할 수 없는 가설적인 믿음도 무수히 많다. 대체로 사람들은 이의 요정이나 유니콘이나 용, 산타클로스와 같은 것을 대부분 믿지 않는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대개 부모가 믿는 종교적 신념에 따라 창조주 신은 믿는다.

parallel argument

reasonable doubt

2단계

신은 존재한다는 증거도 없지만, 존재하지 않는다는 증거도 없다.

아들이 아버지를 죽인 범인이다.

그렇다는 증거도, 그렇지 않다는 증거도 없는 문제 에 대해서는 불가지론이 최선이다.

이의 요정, 유니콘, 용, 산타클로스 등은 존재한다는 증거도 없지만, 존재하지 않는다는 증거도 없다.

합리적 의심 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결론?

신의 존재 문제에 대해서는 불가지론이 최선이다.

2010년 3월 26일, 천안함은 북한의 어뢰 공격으로 침몰되었다.

피셔 163

이의 요정, 유니콘, 용, 산타클로스 등의 존재에 대해서는 불가지론이 최선이다.

???

비록 우리가 지구 표면에 있을 때는 ‘평평해’ 보이고 아주 최근까지도 사람들은 지구가 평평하다고 믿었지만, 우리는 지난 몇백 년 동안 지구가 둥글다는 수 많은 증거를 모았다. 우리는 배가 수평선 너머에서 사라져 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배나 비행기가 지구가 둥글다는 가정 아래 성공적으로 항해를 한다는 사실도 안다. 아주 최근에는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진도 우주선에서 찍어 왔다. 따라서 지구는 틀림없이 둥글다.

이 논증의 교훈:

어떤 문제에 대해 성급하게 불가지론에 빠져 책임 회피 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금이라도 확률이 높은 결론을 찾는 일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함

이것은 로스웰에 추락한 외계인이다.

외계인 목격 사례가 너무 적고, 재현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합리적 의심의 대상이 될 수 있음

결론이

연역적으로 타당하게

도출되는가?

홈즈의 추리

science of deduction?

연역적으로 타당한 논증은?

아폴로 11호는 달에 가지 않았다.

  • 톰은 메리가 좋아하는 사람은 다 싫어하는데, 메리는 톰을 좋아한다. 따라서 톰은 자기 자신을 싫어하는 게 분명하다.

  • 나는 이 시험에 합격할 운명이거나 합격하지 않을 운명이다. 만약 내가 이 시험을 합격할 운명이라면 공부를 하지 않더라도 이 시험에 합격할 것이다. 만약 내가 이 시험에 합격하지 않을 운명이라면 내가 공부를 하더라도 합격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나는 공부를 할 필요가 전혀 없다.

  • 파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모나리자’ 그림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그림 가운데 하나이다. 화가가 피부색을 그린 방식이 하도 독특해서 출처를 모르더라도 그것만 보고 그 그림을 찾아낼 수 있다. 그 그림을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렸다는 데 대해 여태껏 아무런 의문도 없었다. 따라서 그것은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렸음이 분명하다.

  • 지구 온난화가 실제 진행되고 있다면 북극과 남극의 얼음이 아주 빠른 속도로 녹게 된다. 만약 얼음이 녹고 있다면 해수면이 점점 높아지게 된다. 그런데 지구온난화가 실제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해수면은 지금 점점 높아지고 있다.

  • 외계인에 의해 납치된 적이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실제로 그 사람들이 납치된 것이라고 한다면 우리는 UFO 목격담을 아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하지만 그들의 납치 주장은 아주 의심스럽다. 따라서 UFO 목격담은 어느 것도 심각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

  • 실험 대상이 되는 동물이 독성 실험을 통해 얻게 되는 이익이 그것으로 겪는 고통보다 큰 것이 사실이라면 동물 대상 독성 실험은 정당화될 수 있을 것이다. 불행하게도 독성 실험을 하는 사람들은 동물이 얻는 이익이 무엇인지 제대로 보여주지 못했다. 따라서 동물 대상 독성 실험은 정당화될 수 없다.

수학, 논리학, 철학

조명장치가 비친 것

피셔 157

이유들로부터 결론이 반드시 따라나오는가?

이유들이 참일 때 결론이 거짓이 되는 것이 불가능한가?

피셔 157

피셔 160

합리적 의심의 여지 없음을 판단하는 기준은 자의적 성격을 벗어날 수 없음

피셔 161

1단계

피셔 161

  • 술꾼들은 휴대폰을 사용할 경우, 손 떨림으로 인해 충전기 연결부 주위에 미세한 상처를 남긴다.
  • 왓슨이 건네 준 휴대폰에서 그런 상처가 발견된다.

-------------------------------------------------

  • 따라서 그 휴대폰은 술꾼이 사용한 것이다.

합리적 의심의 여지없이 결론을 도출하려면

+

귀납논증의

4가지 형식 준수

유추

결론: x는 a이다.

이유: x와 y가 비슷하다.

y도 a다.

추가 이유를 찾아 붙이는 기본틀

일반화

연역적으로 타당한 논증들

결론: 모든 x는 a다.

이유: x1도 a다.

x2도 a다.

...

  • 내가 너라면 이거보다는 저걸 택할 거야.

  • 네가 A+를 받으면 내가 내 손에 장을 지진다.

  • 예수천당, 불신지옥.

  • 이제는 북한과 내통하지 않는다고? 그래도 어쨌든 북한과 내통한 적이 있잖아. 너는 빨갱이야.

  • 모든 사람은 죽는다. 그러니 우리도 죽을 수 밖에 없어.

가설추리

결론: 모든 x는 y다.

전제: 모든 x가 y면 조건 a에서 b관측.

조건 a에서 b가 실제로 관측.

  • 성감별이 허용되면 사회에 폭력이 증가할 것이다. 왜냐하면 폭력 범죄의 90%를 남성이 저지르므로, 남성 비율이 증가하면 폭력도 증가할 것이기 때문이다.

인과추리

결론: a가 b의 원인이다.

전제: 일치법

(b일때는 항상 a가 선행)

차이법

(a를 빼니 b 안 일어남)

공변법

(a를 변화 -> b도 변화)

전건긍정식

①p->q. ②p. => ③q.

후건부정식

①p->q. ②-q. => ③-p.

선언지 제거

①p or q. ②-p. => ③q.

딜레마

①p or q. ②p->r. ③q->r.

=> ④r.

삼단논법

①모든 A는 B이다.

②모든 B는 C이다.

=> ③모든 A는 C이다.

가언삼단논법

①p->q. ②q->r. => ③p->r.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