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사회에서 신체적, 문화적 특성 때문에 다른 구성원에게 차별을 받으며 스스로 차별받는 집단에 속해있다는 의식을 가진 사람
-> 식별가능성, 차별적 대우, 권력의 열세, 집단의식 또는 소속의식
통합교육: 장애의 유형이나 정도에 따라 차별을 받지 않고 비장애 학생과 함께 개인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받음 - 장애인의 교육받을 권리와 행복추구권 실현 / 사회적기업: 장애인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 제공을 통해 삶의 질 향상, 일할 권리와 행복추구권 실현 / 장애인 생활도우미제도: 장애인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와 행복추구권 실현
1. 근로기준법이 지켜지지 않거나 초과근무수당과 성과급에서 차별을 당함. 결혼이주민이 안정적으로 국내에 체류할 수 없고 폭력에 대한 적절한 도움을 제대로 받지 못함
2.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국적취득대비반: 한국어교육 지원을 통해 국적 취득에 필요한 시험 대비에 도움 + 인권침해상황 개선 / 외국인인권증진에 관한 조례: 권리구제를 위한 법률상담 지원 및 참정권 보장
(1) 국가, 지역별 인권보장에 차이가 나타나는 사례
(2) 세계 인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 사회의 노력
아프리카는 천연자원이 풍부한데도 가뭄이나 기근, 정치경제적 체제의 미비, 부패와 독재정치, 내전 등으로 심각한 빈곤과 기아에 시달리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시민의식을 바탕으로 아프리카 인권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인도주의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교육이나 양육을 ㅈ돕는 자원봉사활동, 유니세프나 기아 대책 등 비정부기구를 통한 후원
https://tv.naver.com/v/1017644
전세계 아동의 11%정도가 농장, 공장, 광산 또는 길거리에서 노동을 착취당하고 있다. 열악한 환경에서 위헌함 직종에 종사하고 있으며 노동을 위한 인신매매나 매춘의 위험에 노출되어있다. 아동노동은 교육, 건강, 여가 및 기본적 자유권을 침해하며 발전가능성을 박탈하는 심각한 아동 권리 침해이다.
1
지역별 차이가 나는 이유: 지역에 따라 정치, 경제체제의 문제로 자유권, 사회권이 충분히 보장되지 않느다. 또한 종교나 문화적 이유로 여성과 노동자의 인권이 보장되지 않아 인권 현황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2
우리나라 인간개발지수는 17위지만 불평등요소를 반영한 불평등 조정 인간개발지수는 36위이다. 불평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법과 제도를 보완해야 하고 의식적 차원에서 불평등을 인권문제로 인식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 노동권리보장을 위해 관심과 제도보완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