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0~1279
북송
남송
960~1127
1127~1279
중앙 집권 정책(황제독재체제)
왕안석
성리학
교자 시박사 등
경제발전-행,작
과거제도(전시)
오대 십국 시대
당나라가 멸망한 때 부터, 송나라가 건립될 때까지, 화북을 통치했던 5개의 왕조(오대)와 여러 지방정권(십국)이 흥망을 거듭한 정치적 격변기를 가리킨다.
Jan.
May.
Apr.
Marc.
Feb.
Photo 2
Photo 1
Photo 3
절도사의 폐혜를 제거하기 위해 중앙 집권 정책 시도
절도사:당 중기에 등장하여 오대십국시대까지 이어진 군을 통솔하는 직책이다
관리의 권한 분산
중앙군 강화
지방군 약화
황제가 시험관이 되어 직접 관리를 뽑는 형식
절도사를 해체시킨 정책을 말한다. 중앙과 지방을 불문하고, 정치적 주도권을 과거 출신 관료인 문관에게 이양시켰다.
관리양상, 지방군 약화
요, 서하 등의 침략
재정난 심각
중국 북송의 정치인이다. 장시성출신이며, 5~6세 때 시경과 논어를 통달한 천재였고, 1038년에 부친상을 당함에도 노력한 끝에 4년 뒤 진사에 급제하여 북송의 시인·문필가로 활약하였다.
다른 나라의 침공을 벼텨낼 군사력X
벼슬자리보다 많은 관료
대지주의 증가로 인한 재정약화
부국책
1069년~1074년에 걸쳐 시행되었고 서하의 침공 등으로 매우 피폐해진 국가의 재정난을 극복하고, 대지주와 대상인의 횡포로부터 농민과 중소 상인들을 보호 육성하여 부국 강병을 이루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었다.
강병책
정부가 지방의 물자를 사들여 다른 지방에 팔아 이익을 얻음으로써 물자 유통을 원활히 하고 물건 값의 조절과 안정을 꾀하고자 한 정책
농민들에게 낮은 이자로 농사에 필요한 자금을 빌려주어 지주들의 비싼 이잣돈을 얻어 쓰는 일이 없도록 한 정책,
자본이 적은 상인들에게 돈을 빌려주어 대상인들이 이익을 독차지 하는 것을 막고 국가 수입을 늘리기 위한 정책
역이 면제되어 온 관리 사원으로부터 돈을 받아 실업자들에게 일을 시키고 품삯을 주어 역의 형평을 기하고자 한 정책
백성에게 말을 기르게하여 전쟁이 일어나면 군마로 쓰도록 한 정책
10집을 1보로, 5보를 대보로, 10대보를 도보로 편성하여 장정을 징집,훈련하여 민병으로 삼아 평화시에는 치안 임무를 수행하고 전쟁이 일어나면 관군을 돕게한 정책
과거 출신 관료 우대-새로운 사대부 계층 형성
유교의 발달
주희가 유교에 합리론적 성격과 우주론적 이론을 결합시켜 성리학 집대성
벼의 도입
상업작물의 전문화
수운교통의 발달
화폐경제의 발달
http://blog.naver.com/alsn76/40208428149
동일한 업종의 상공업자들의 동업조합
영업규칙을 만드는 등 이익을 도모
송나라에서 사용된 세계 최초의 지폐
송나라는 당나라의 제도를 계승하여 주요 항구에 시박사를 설치하고, 대외무역 사무를 관장하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