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한자를 만드는 6가지 원리

목차

한자의 만드는 6가지 원리 육서

상형

지사

회의

형성

전주

가차

象形 指事 會意 形聲 轉注 假借

六書

육서

한자의 제작 원리로 널리 알려진 방식

상형, 지사, 회의, 형성, 전주, 가차의 여섯가지를 가리킨다.

회의문자

회의문자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한자를 합하여

새로운 뜻을 나타낸 원리이다.

회의문자

뜻 : 새가 울다

회의문자

형성문자

형성문자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형부)과 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성부)을 조합해서 새로운 글자를 만들어내는 방법

형성문자

글자 :

형부(뜻) :

성부(음) :

형성문자

글자 :

형부(뜻) : (물)

성부(음) : (양)

형성문자

회의 문자와 형성문자

  • 독체자인 상형문자와 지사문자의 한계를 극복
  • 뜻 글자의 특성을 십분 발휘한 획기적인 한자의 생성원리
  • 무한한 한자의 확장성에 지대한 영향력을 발휘

전주 문자

전주 문자

문자가 지닌 본래의 의미를 확대시켜

새로운 의미의 내용을 도출해 내는 문자

전주문자

: 본래는 '생각한다' 의 의미인데

와 모양이 비슷하여

' 늙은이'의 의미를 새로 쓰임

: 본래의 뜻은 사람이 걷는 길

→사람으로서 행해야 할 도리·도덕

전주문자

상형문자

상형문자

사물의 외형적인 특징을 그리는 방법

상형문자

상형문자

상형문자

상형문자

상형문자

상형문자

상형문자

상형문자

지사

지사

형상 또는 부호로 추상적인 개념을 표시하는 방법

지사

지사

지사

지사

가차

가차

뜻과는 상관없이 발음이 같거나 비슷한 한자를 빌려 쓰는 경우

  • 가차는 외래어 표기에 많이 사용됨
  • 가차자에는 본래 글자가 없어서 자음이 비슷한 글자를 빌려쓰는 경우와,

본래 글자가 있으나 엉겁결에 비슷한 소리의 글자를 빌려쓰는 경우 등

두가지가 있음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