堊
英
한자의 만드는 6가지 원리 육서
상형
지사
회의
형성
전주
가차
象形 指事 會意 形聲 轉注 假借
한자의 제작 원리로 널리 알려진 방식
상형, 지사, 회의, 형성, 전주, 가차의 여섯가지를 가리킨다.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한자를 합하여
새로운 뜻을 나타낸 원리이다.
뜻 : 새가 울다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형부)과 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성부)을 조합해서 새로운 글자를 만들어내는 방법
材
글자 :
木
형부(뜻) :
才
성부(음) :
材
洋
글자 :
水
형부(뜻) : (물)
羊
성부(음) : (양)
洋
문자가 지닌 본래의 의미를 확대시켜
새로운 의미의 내용을 도출해 내는 문자
考
老
道
: 본래는 '생각한다' 의 의미인데
와 모양이 비슷하여
' 늙은이'의 의미를 새로 쓰임
: 본래의 뜻은 사람이 걷는 길
→사람으로서 행해야 할 도리·도덕
사물의 외형적인 특징을 그리는 방법
月
人
門
日
馬
魚
木
水
형상 또는 부호로 추상적인 개념을 표시하는 방법
뜻과는 상관없이 발음이 같거나 비슷한 한자를 빌려 쓰는 경우
본래 글자가 있으나 엉겁결에 비슷한 소리의 글자를 빌려쓰는 경우 등
두가지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