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문학과

섹슈얼리티

저자: 오세은

20200083 김시연

20200084 박수연

20200085 김채린

20200086 박채은

문학과 섹슈얼리티 저자 오세은님에 대해서

들어가기 전

동덕여자대학교 교수님

Author

  • 서강대학교 박사 학위
  • 동덕여자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 한국 현대 문학 전공
  • 여성가족사 소설 연구

쓰신 책들 (저서들)

  • 여성가족사 소설 연구
  • 어린이 문학과 문화론
  • 현대 어린이 문화론
  • 문학과 섹슈얼리티

Works

김시연 분석

책 분석1

김시연

목차 (1,2,4장에 대해)

1. 성을 연구하는 다양한 철학자들

2. 성과 자아

3. 문학과 성

4. 섹슈얼리티

5. 성과 사회(결혼과 가족)

6. 성의 권력과 역사

성을 연구하는 다양한 학자들

미쉘 푸코

성을 연구하는

다양한 철학자들

프로이트

1. 미쉘 푸코

-성과 지식과 권력의 상관관계 밝힘

-섹슈얼리티 확립

-성담론 제시(남성 중심적 기반, 여성의 타자화)

2. 프로이트

-성과 주체성의 상관관계 밝힘 (성적 충동의 억압을 통해)

3. 낸시 암스트롱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성과 주체성

-근대 문학과 성 인식 3가지

4. 빌헬름 라이히

-마르크스주의(계급해방)+프로이트주의(성해방) 시도

-초기: 성 억압→노동력 감소, 문화 창조 불가

후기: 성 억압, 포기→문명 창조

-프로이트의 보수적 견해 비판

빌헬름 라이히

성과 자아

성과 자아

- 프로이트: 개인의 주체성=성적 주체성

→ 성적 욕망을 억압하는 것

* 어린 아이의 성적 정체성 형성

두 가지 동일시 과정

-거세 콤플렉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이 두 가지 성적 욕망 억제→성적 정체성 확립

=사회화 과정과 일치

∴ 성은 개인만이 아닌 문화와 역사의 문제

-낸시 암스트롱

: 가정은 개인 정체성 확립에 중요

문학과 성

1970.

1930.

매춘 여성 문학

구체적, 직접적

+ 생각해 볼 것

창녀와 성녀를 동일시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관념적, 추상적

양공주 문학

문학과 성

1950

~1960.

1920.

-1920: 성, 사랑, 연애 중심 추상적 표현

1930: 성대담 증가와 직접적 표현(일제 시대)

-1950~1960: 6.25 전쟁 전후의 여성 실태

1970: 가부장제와 자본주의의 산물 매춘

∴ 근대 소설에서의 수동적이고 타자화된 여성

섹슈얼리티

섹슈얼리티

-섹슈얼리티: 성행위에 대한 인간의 성적 욕망과 성적

행위, 그리고 이와 관련된 사회제도와 규범들

→ 푸코: 성적 본질주의를 전복하며 나타난 개념

성에 대한 구성 주의적 시각

성이 자아에도 영향 미침

성에서의 또 다른 개념

: 성별은 성의 역사에서 중요하게 자리하고 있음

출처: 디자인 소리

https://www.designsori.com/zero/1135852

2. 성별

→but,푸코 젠더 무시

→낸시 암스트롱이 이를 비판

1. 섹스

성과 사회 (결혼과 가족)

사회

결혼제도&가족

성과 사회

(결혼과 가족)

출처: KBS뉴스

경제적 이해+성욕의 이해 타협= 강제적 결혼

결혼제도의 모순

-일부일처제와 간통

-금욕주의와 모순되는 신체적 발달

결혼의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기능

가족의 정치적 기능

출처: 성우 애드컴 블로그

성과 권력의 역사

권력

성의 과학화

고백

성과 권력의 역사

권력에 의한 성의 세분화

성과 권력의 세가지 층위(제프리 웍스)

출처: 브런치

계급

인종

성의 역사

18세기

담론의 시대

19세기

성적 욕망의 시대

17세기

억압의 시대

출처: 브런치

박수연 분석

목차 (5,8장에 대해)

1. 보부아르의 사상과 배경

2. 여성에 대한 편견과 실존주의

3. 여성의 진정한 성

4. 동성애, 도착에서 다양성으로

5. 대안으로서의 레즈비언

6. 동성애의 정치학과 플라스틱 섹스

책 분석2

박수연

보부아르의 사상과 배경

「제2의 성」의 출현 및 보부아르의 출발점

시몬 드 보부아르

1. 1908년 파리 출생

2. 집안일로 고생하던 어머니

→ 자신은 절대 어머니나 주부가

되지 않겠다 결심

3. 1929년 철학교수 준비 중 사르트르

만남, 이후 계약결혼

4. 1943년 「초대받은 여자」 출간

→ 작가 생활에 전념

5. 1970년 본격적인 여권운동에 가담

→여권연맹의장 당선

6. 1986년 파리에서 사망

보부아르의 사상과

배경

-출판 배경

19세기 말 여성에게 부여된 참정권,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여성의 지위 향상 →변화하기 시작한 세상

-의의

1) 여성을 억압했던 사상과 가치관을 비난하는 것

에 그치지 X

→역사적,객관적 접근을 통해 그것들이 잘못되었

음을 증명

2) 여성의 감추어진 성(sex) 제시

→프로이트와 그의 후예들에 의해 남성의 시각에

서 설명되었던 여성의 성 – 한계 극복

-보부아르 : 여성에게 요구되던 비본질적, 피지배적,

타자적 속성에 대해 천착

주로 여성을 정의하던 사람들 : 남성

→남성들은 여성을 비본질적인 존재로 치부함으로써 자신들의 주체성 획득

1) 성 토마스 : 여자는 ‘불완전한 남자’ 혹은 ‘우발적 존재’

2) 창세기 신화 : 이브는 아담의 갈비뼈로 만들어졌다

→여성을 하나의 주체로서 설정하지 않고 있음

여성에 대한 편견과 실존주의

여성을 위한 실존주의

여성에 대한 편견과

실존주의

여성을 둘러싼 편견

생물학적 편견

1) “여자는 암컷이다” vs “남자는 수컷이다”

2) 난자와 정자의 결합

정신분석학적 편견

프로이트의 남성 중심적인 정신분석 :

1) 성 토마스의 ‘여성은 불완전한 남성'에 근거

→성욕 = 남성적 에너지

→여성 = 거세된 존재

2)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여아는 남아와 달리 페니스(음경)가 없어 남아를

질투, 열등감 느낌 – 남근선망사상

사적 유물론적 편견

1) 사적 유물론 : 역사 발전의 원동력은 물질

→여성의 위치는 사회경제의 구조와 기술의 발달에 좌우

2) 엥겔스 「가족의 기원」 : 청동기시대, 남성의 잉여생산물

창출 통한 사유재산 획득

→남성의 권력 발생(여성 종속시킴) – 가부장사회 형성

여성의 운명과 역사

타자성의 영역

→여성은 객체, 남성은 주체

여성에 관한 신화들

1) 자기희생적인 여성을 이상화

→남자는 자신에게 없는 모든 것들을 여자에게 주문

→여자들은 남성을 위해 자신의 것 포기 – 의무

2) 카멜레온처럼 변덕스러운 여성

→자연처럼 죽음과 생이 공존하는 여성의 육체를 통해 희열을

느끼는 남성

오늘날의 여자의 인생

1) 여성적 역할

→아내의 역할, 어머니의 역할

→여성의 근본적인 것이 X

2) 해결 방법

→경제적 독립

→여성 작가들을 연구

보부아르가 주장하는 ‘진실성’과 그 의의

여성의 진정한 성

여성의 성

하나의 극적인 전환점

여성이 인간으로서 살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

(+모든 것을 다시 생각해보는 반성적 태도)

중심 논지

1) 여성은 남성을 위한 존재

→여성은 남성의 타자

– 여성의 주체성과 책임과 권리는 부정 당함

2)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여성은 내재성, 남성은 초월성

여성의 본질

1) 가부장적인 가정에서 태어난 여성은 자신을 대상화하게 됨

→스스로를 내재성에 가두어 끝없이 거짓된 여성의 모습으로 살아감

→“여성은 여성으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여성으로 만들어진다“

2) 여성의 실존은 여성의 특수성을 반영

→여성만의 독특한 감수성이 존중 받을 때 비로소 양성평등이 실현, 새로운 관계 탄생

여성의 진정한 성

남성의 성과 여성의 성

1) 여성의 정조

→혼인과 법률의 통제를 받던 여성의 육체

→남성은 여성을 ‘정복‘, ‘차지‘, ‘소유‘

2) 수동적 매력을 빙자한 폭력

→성행위에서 여성은 수동적 존재

여성과 남성의 성차와 성역할

남녀의 상황 차이

남성 : 세계는 그의 것 – 투쟁, 계획, 책임 = 주체적

여성 : 남성을 위한 존재 – 내재성, 남성에게 돋보이기 위해 노력

=객체적

여성적 상황으로서의 내재성

마조히즘적 결말

→ 연인에게 집착함으로써 자기 초월의 욕구 실현하고자 함

– 자기 부정, 자기 자학

여성의 저항과 자유

여성적 상황에 대한 거부와 저항 → 타자성, 객체성, 종속성으로부터의 독립

'도착' 에서 '다양성' 으로

'이성애' 가 아닌 '동성애'

출처: https://nearer.tistory.com/232

'도착'이 아닌 '다양성'

1) 도착은 비정상적인 것이 X

2) 동성애의 기원

→출생 상태와 성적 정체성을 갖기 위해 거치는

과정들에서 찾아야 함 – 질병 X 치료 X

→형태상 많은 부분이 이성애와 이어져 있었음

→평범한 현상

3) 프로이트의 견해

→동성애 = 도착증(↔킨제이 : 비정상적인 성

행위는 존재하지 않음)

소수자의 성

1) 19세기 이래로 성 소수자 집단은 표출 및 발달되어 옴

2) 성적 하위문화와 공동체의 성공적 등장의 다섯 가지 조건

→동일한 처지의 다수자, 지리적 집중, 같은 저항 목표, 사회적 위치에 있어 급작스런 사태와 변화의 발생, 지속적으로 체득된 목적의식으로 무장한 지적 지도집단

새로운 문제 – 다양성을 인정함으로써 제기되는 의문들

범주의 해체 – 이성애에 대한 의문들

동성애

1) 프로이트의 성도착

2) 동성애 범주의 확장 →동성애 이론자들의 반발

3) 1970년대 게이 이론 →성적 다양성에 대한 논의

– 미셀 푸코, 포스트모더니즘

미셀 푸코

1) 권력관계 모델

→남성권력(가부장적인 권력)에 대한 동성애의 도전

→사회적 권력의 기저는 남성의 이성애

– 동성애가 이 권력구조에 맞섬으로써 자유 실현

2) 성애

→의학 담론들이 성도착자들을 지배

– 성애는 성욕으로 환원된 개인들 통제

→주어진 것, 본질적인 것, 일관성 있는 전체로 간주

포스트 모더니즘

1) 남성중심적 사회에 대한 비판

→여성적인 것 찬양

2) 복수성과 다원성 찬성

→성 정체성 재고, 주변부화된 입장들의 차이 인정

→레즈비언과 게이가 서로를 이해해야 함

동성애, 도착에서

다양성으로

대안으로서의 레즈비언

제도화된 이성애적 섹스/젠더

범주에 대한 거부

이성애에 대한 거부와 대안으로서의 ‘레즈비언'

대안으로서의

레즈비언

결혼 계약에 대한 거부

1) 위티그의 견해(2) :

→ 레즈비언 ≠ 여성

→여성과 남성은 자연스러운 범주가 아님

– 결혼 계약의 산물

2) 레즈비언은 이성애를 거부

→여성과 남성이라는 이분법에 속하는 것 거부

→남성과의 사회계약적 관계인 결혼 제도로부터 해방

섹스/젠더 범주에 대한 거부

1) 여성과 남성의 범주

→제도화된 이성애의 결과

2) 성 정체성은 타고나는 것이 X

– 계속된 성 역할의 연기

→레즈비언의 ‘여성 아님’ 연기는 섹스/젠더의

이분법을 해체

이성애제도의 기능과 이에 관해 레즈비언이 겪는 문제

1) 사적인 공간에서 여성/남성이라는 단위 만듦 – 재생산 보장

2) 이성애 부부에게 합법적인 성애의 장소와 특권적인 사회적

위치 부여

3) 레즈비언 – 사회의 한 단위로 인정되는 것의 여부에 따라

사회, 정치, 법적 위치 결정됨

이성애 제도의 정치성

1) 위티그의 견해

→이성애는 남성 위주 이데올로기의 정치경제체제를 가능케 함

→사회적 계약 – 남성에게 여성 종속시킴(남성지배체계 견고히 함)

2) 레즈비언이 된다는 것

→남성 중심적 사상에 저항한다는 의미

레즈비언 페미니스트들의 주장

1) 이성애주의 = 남성우월주의의 근저 = 여성 억압 요소

2) 이성애는 남성을 필연적으로 지지할 수밖에 없음

→페미니즘과 충돌

→핵가족 거부

– 이성애를 통한 핵가족 형태에서는 여성의 노동은 부수적임

모성 및 남성 동일시

1) 애드리언 리치「거짓말, 비밀 그리고 침묵」

→모성은 가부장제가 여성에게 부여한 억압

2) 남성 동일시

→여성의 동일시 거부 – 남성의 문제와 요구 우선

동성애의 정치학과 플라스틱 섹스

이성애/동성애의 정치학

이남희의 소설 「플라스틱 섹스」

동성애의 정치학과

플라스틱 섹스

플라스틱 섹스

1) 레즈비어니즘을 다루고 있음

→남성과의 성관계에서는 느낄 수 없었던 따스함,

정서적 친밀감, 평화

→섹스가 출산의 억압으로부터 해방되어 순수한

사랑만으로도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

2) 기성세대에 대한 신세대의 반항

이남희 작가의 의도

소설집 『플라스틱 섹스』에 실린 「플라스틱 섹스」,

「여자가 여자일 때」, 「어두운 열정」

→모두 이성애를 정상으로 간주하고 이를 강요하는 사회

거부하는 내용

→여성 동성애를 통한 성관계 – 페미니즘의 이상적 실현

→세 소설 속 여주인공들은 사회적 금기와 억압으로 인한

정신적 소외감에 시달림

한국의 성담론

1) 여전히 이성애적 구도에 머무르고 있음

2) 성 정체성에 깔린 유교적 가치관 – 이성애적 가족중심주의

이성애 혹은 성적 식민 제도

1) 엥겔스의 이성애에 관한 견해

→남성이 자신의 재산을 부계혈통에 물려주기 위해

일부일처제 고안 – 가부장적 고착화

2) 애드리언 리치의 견해

→‘강압적 이성애’ – 이성애는 다양한 형태로 제도화되어

여성을 억압하고 착취(ex. 매춘)

여성 소설가와 동성애

1) 버지니아 울프

→여성적 시각에서 여성들의 우정 서사 다룸 – 여성의 연대와 애정 시사

2) 애드리안 리치

→레즈비언의 존재가 남성 동성애와 같은 범주에 놓여

정치적 의미 박탈당했다고 봄

3) 여성 동일시

→위축되었던 여성이 주체적으로 여성을 동지 또는

인생의 동반자로 선택하는 것

70년대 페미니즘과 레즈비언

레즈비어니즘의 변화

김채린 분석

책 분석3

김채린

목차 (10, 12장에 대해)

1. 포르노그래피란?

2. 린 헌트와 안드레아 드워킨의 이론

3. 나보코프의 '롤리타'

4. 현대 사회의 성과 사랑

5. 앤소니 기든스의 이론

6. 신흥종교로서의 사랑

+ 작품 감상-푸른 사과가 있는 국도

포르노그래피란?

인간의 성적 행위의 사실적 묘사를 주로 한 문학·영화·사진·회화.

후에 문학작품 속에서 성적 흥분을 야기할 목적으로 하는 몸, 성기, 성행위에 대한 직설적인 묘사를 일컫는 말로 확장됨.

초기 남성들이 주 소비층을 이룸.

린 헌트와 안드레아 드워킨의 이론이 대표적

포르노그래피란?

린 헌트와 안드레아 드워킨의 이론

릴 헌트

린 헌트와

안드레아 드워킨의 이론

출처:https://librekim.khan.kr/517

안드레아 드워킨

출처: 한겨레 신문

나보코프의 롤리타

나보코프의 '롤리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현대 사회의 성과 사랑

현대 사회의

성과 사랑

출처: 에큐메니안

앤소니 기든스의 이론

앤소니 기든스의 이론

출처: medium

앤소니 기든스

신흥종교로서의 사랑

+ 작품 감상-푸른 사과가 있는 국도

출처: 다음 하나비 블로그

신흥종교로서의 사랑

+ 작품 감상-푸른 사과가 있는 국도

출처: 위키백과

박채은 분석

책 분석4

박채은

목차 (13, 14장에 대해)

1. 사이버 에로스

2. 기계와 인간간의 관계 인식

3. 사이버 펑크

4. 가상 섹스

5. 이갈리아의 딸들

6. 안토니아스 라인

사이버 에로스

사이버 에로스

사이버 에로스

그리스 로마 신화 속의 에로스

사이버펑크

사이버가 표현하는

인간의 성별상과

가상 섹스

배경

산업화가 진행되며

인간과 기계 간의

성적 관계

조명

산업 전후 시대를

중심으로,

기계의 성적 이미지와

은유

출처: 한미 경제 협의회 공식 블로그

기계와 인간간의 관계인식

기계와 인간간의 관계 인식

출처: 유심초

사이버 펑크

출처: 블레이드 러너

사이버 펑크

출처: 사이버 펑크 2077

가상 섹스

가상 섹스

출처: 코메디 닷컴

이갈리아의 딸들

이갈리아의 딸들

안토니아스 라인

안토니아스 라인

논제 소개

논제

Thesis

1. 김시연 논제

여성에게 있어서 가정은 필요한가

2. 박수연 논제

모성애는 사회가 여성에게 강요한 이성애적 정치 제도이다.

3. 김채린 논제

나보코프의 ‘롤리타’의 페도필리아적 요소를 간과하고 소설을

에로티시즘 문학으로 분류할 수 있는가?

4. 박채은 논제

가상 섹스는 용인되어도 되는가?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