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자연환경과 인간생활

기후인자: 위도, 해발고도, 지형

기후요소: 기온, 강수, 바람

기후: 일정한 장소에서 장기가(보통 30년)에 걸쳐 관측된 대기의 종합적인 상태

세계 기후구분(쾨펜)

열대기후

열대우림기후

열대사바나기후

열대기후 주민생활

9 %

11 %

28 %

14 %

38 %

건조기후

사막기후

스텝기후

온대기후

냉대기후

냉대습윤기후

한대기후

빙설기후

툰드라기후

기후지역에 따른

생활양식

탐구활동

ㄱ: 기온이 높은 지역이라서 더위를 잘 이겨내기 위해 간편하고 헐렁한 옷을 입고, 대신 다양한 장신구를 사용

ㄴ: 덥고 습도가 높은 지역이라서 부패방지를 위한 향신료를 이용

ㄷ: 추운 곳에서는 곡물재배가 어려워 가축 사육, 추위를 극복하기 위한 동물의 털과 가죽으로 의복제작

ㄹ: 기온이 매우 낮은 곳에서는 음식이 잘 상하지 않고 불을 피울 연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주로 고기를 날것으로 먹는데, 날고기를 먹으면 열량이 높은 지방질과 비타민을 얻음

ㅁ: 계절의 변화가 뚜렷한 지역에서는 여름의 더위와 겨울의 추위를 모두 극복할 수 있는 냉난방 겸용기기 사용

강수량에 따른 생활양식

열대우림

건조기후

온대기후

7M

지중해성 기후

온대계절풍 기후

6M

5M

서안해양성 기후

3M

2M

1M

Q4

Q1

Q2

Q3

북서부유럽의 주민들은 일상적으로 습도가 높고 흐린 날씨를 경험하므로 맑은 하늘과 강렬한 태양에 대한 동경을 품고 살아간다.

주제탐구하기

강수량이 많은 지역: 과거에는 (가)와 같이 지붕의 경사를 급하게 하여 적응한 반면 오늘날에는 발달된 건축기술을 이용하여 (나)처럼 비를 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

강수량이 적은 지역: 전통적으로 (다)처럼 흙벽돌을 이용하여 가옥을 지었지만 현재는 (라)와 같이 물이 풍부한 지역으로부터 물을 끌어와서 사용함

지형에 따른 생활양식의 차이

산지지역

산지지역

평야지역

평야지역

해안지역

해안지역

독특지형

독특한 지형경관

현장탐구하기

강원도 정선 고위평탄면: 저지대보다 여름철이 서늘하여 채소를 재배하거나 목축을 함

전라북도 김체 평야: 주로 벼농사를 하고 이를 활용한 지역축제를 함

창의융합

활동

1. 모두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아시아지역

2. 자연조건: 여름철 고온강우, 넓은 평야, 용수획득에 유리 ->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대하천

주변 평야지역

사회조건: 협동노동, 관개시설(저수지나 수로 설치) 설치를 위한 많은 노동력 필요

-> 노동력을 잘 조직할 수 있는 정치체제 필요

3. 많은 노동력을 동원하고 효과적으로 조직하기 위한 강한 정치권력을 갖춘 정치체제 형성

4. 자연조건: 지중해성 기후, 여름철 기온이 높고 일사량 풍부

사회조건: 관개시설을 통해 부족한 강수량 해결, 미국 정부의 보조금 지급 등 정책지원

지역경제에 미친 영향: 쌀 수출을 통해 지역 경제에 보탬

5. 떡볶이, 떡국 등

자연재해와 인간의 삶

  • 기상재해: 홍수, 가뭄, 강풍, 열대저기압, 폭설 등
  • 지형(지질)재해: 화산활동, 지진, 지진해일(쓰나미) 등

자연재해와 인간의 삶

열대저기압

열대 저기압

  • 열대 지역에서 발생하여 중위도 지역으로 이동하는 저기압
  • 발생 지역에 따라 명칭이 다름: 태풍, 허리케인, 사이클론 등
  • 강한 바람과 많은 강수 동반

지진과 화산

지진과 화산

  • 지진: 땅이 갈라지고 흔들리는 현상 - 건축물과 도로 붕괴
  • 화산: 용암과 함께 화산가스, 화산재 등이 분출하는 현상 - 항공기 운항 지장 초래

자연재해에 대한 대응

자연재해에 대한 대응

  • 사전예측에 따른 예방조치, 방어시설물 구축, 신속한 복구대책

자연에 대한 다양한 관점

인간중심주의

  • 인간에게만 본래적 가치를 인정하고, 자연을 인간의 이익이나 필요에 따라 평과하는 관점
  • 이분법적 관점(인간과 자연 분리), 도구적 자연관
  • 과학기술의 발전과 경제 성장을 이루어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함
  • 인간의 자연정복 당연시 -> 환경오염, 생태계 파괴

자연에 대한 다양한 관점

생태중심주의

  • 자연은 유용성과 관계없이 그 자체로 존중받을 가치가 있다.
  • 전일론적 관점(인간은 자연의 일부), 조화와 균형
  • 생태계 전체를 하나의 유기체로 바라봄
  • 환경 문제 해결의 시사점 제공
  • 생태계의 중요한 가치 실현에 있어 인간의 개입이나 문화를 허용하지 않는 비현실적 측면
  • 환경 파시즘

인간과 자연의 바람직한 관계

  • 인간과 자연은 서로 대립하거나 어느 한쪽이 우외를 가지는 관계가 아니라 공존하는 관계
  • 유교: 천일합일(본래적 가치는 만물이 지님)
  • 불교: 연기를 깨닫고 모든 생명을 소중히 여기며 자비를 베풀어야 함.
  • 도교: 무위자연을 추구, 인간과 자연의 조화
  • 생태 공동체 의식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환경문제의 유형

환경문제의 유형

http://tv.naver.com/v/3038450

주요 국제 협약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정부

시민단체

기업

환경오염의 발생 규제

  • 배출사업자 및 소비자 처벌
  • 부담금 부과

환경오염의 발생 예방

  • 친환경 사업자에 국가 보조금 지급
  • 환경영향평가 시행

환경친화적 정책

  • 친환경 제품에 관한 정보제공
  • 친환경 산업육성, 청정과학기술과 에너지 연구 및 개발 장려

국제사회와의 협력

  • 국제협약 체결 등

친환경 경영 추구

생산, 유통, 폐기 과정에서의 환경 오염 축소 노력

  • 생산: 오염물질 정화시설 설치, 친환경 기술 개발, 친환경 상품 생산
  • 유통: 유통과정 간소화하여 화석연료 절감 노력, 친환경 상품 우선 공급 및 진열
  • 폐기: 자연상태에서 분해될 수 있는 재질로 제작, 과대포장 지양, 재활용 노력

정부, 기업, 시민을 잇는

다리의 역할

감시의 기능

  • 정부와 기업의 환경오염 유발 행위 견제
  • 정책이나 기업활동에 반대 여론을 형성하여 압력 행사

지원의 기능

  • 사회 전반의 환경 보호 의식 제고를 위한 환경운동 전개
  • 시민 대상 환경 보호 실천 방안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