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현준
Step 3
Go into detail about this step here.
Step 2
First steps towards solving the problem
Go into detail about this step here.
Step 1
Go into detail about this step here.
Describe why this is an important outcome here.
Cover the big subjects from each section here.
Describe why this is an important outcome here.
내용적 분석 - 자기상
내용적 분석 - 유머
제시된 자극 그림은 스토리상 필요에 의해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는 점을 미리 말해주며 제한시간은 두지 않는다
그림이 완성되면 그림 아래에 제목이나 이야기를 써 넣도록 한다. 그림이나 글이 이해할 수 없다고 판단될 경우 검사자는 피검자에게 그림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며, 추가적으로 기록하게 한다
지금부터 여러분은 한 가지 그림을 그리게 됩니다.
그림을 잘 그리거나 못 그리는 것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의 아이디어와 상상력을 표현하시면 됩니다.
먼저 제시된 14개의 자극그림 중에 마음에 드는 그림 두 가지를
선택하십시오.
그 두 가지 그림 사이에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상상해 주십시오. 그것을 하나의 이야기로 만들어 그림으로 그려주시면 됩니다.
제시된 자극그림을 변형하셔도 되며, 첨가시키셔도 됩니다. 그림 그
리기가 끝나시면 어떤 이야기가 들어있는지 간략히 메모해 주시기 바랍니다.
평가점수는 그림에서 표현된 내용과 관계 등에 따라 5점 척도로 진단
Title 2
개인 또는 집단으로 실시 가능. 소요시간은 약 10~20분
부정적인 환상을 자극하는 경향성 있음
14개의 자극 그림(사람, 동물, 장소, 사물) 중 2가지를 선택하여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상상하여 그리는 검사
14가지 자극 그림을 제시하고 그 중 2가지를 선택하여 선택한
두 가지의 그림 사이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상상하도록
하여 그리게 한다.
우울증이나 공격성의 심리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검사
형식적 분석 - 그림의 공간 사용
• 자극 그림을 그대로 옮겨 그리도록 하여 언어나 그림그리기에 제한이 있을 때 유용함
형식적 분석 - 세부 사항
그림의 의미에 대한 나눔과 현실의 자신과 유사한 점이
있는지 등에 관한 나눔 시간을 갖는다.
검사 후 질문을 할 수있다
내용적 분석 - 자기보고
내용적 분석 - 정서내용
미국의 미술치료사
Rawley Silver가 개발함
개발 배경
비언어적 심리검사로서 그림검사와 자극그림의 제시와도 연결된다.
논리와 언어가 상대적으로 덜 발달된 아동의 우울과 공격성을
검사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아동이 보다 쉽게 그림을 시작할 수 있도록 자극그림을 제공으로 시작
초기에는 간단하게 그려진 자극그림을 아동에게 제시하고,
그것을 변형하거나 따라 그리도록 검사기법을 개발함
5세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연령층에 적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