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BJT의 구조 및 동작모드
BJT란?
◆BJT의 기본구조
PNP형, NPN형
BJT 기본구조
증폭률을 크게 만들기 위해 폭이 매우 얇게 만들어진다.
-NPN형 -PNP형
되어 활성모드임
BJT의 차단모드 전압조건과 전류
Bias란?
:트랜지스터의 동작점(Q 점)을 고정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회로
★동작점은 트랜지스터의 동작 전원 상태를 나타내며 저항과 전류의 동작 값을 나타내는 점으로써 부하선 상에 위치하며, 예측이 가능하고 부하선상의 특정한 점으로 고정되고 온도 변화에 무관하며 트랜지스터 교체 등에 따른 변동이 없어야 합니다
단일의 전력원 (베터리)이 콜렉터와 베이스에 사용되며 Vcc = IbRb + Vbe
그러므로,
Ib = (Vcc - Vbe)/RB
Vcc가 Rb의 값에 따라 고정되어 있으므로, 베이스 전류 Ib는 변하지 않습니다
또한 이 회로에서는
Vcc = IcRc + Vce
이므로,
Vce = Vcc - IcRc
이다.
장점: -베이스 저항 (RB)을 바꿈으로써 active
region(작동 영역)안에서는 작동 지점을
얼마든지 바꿀 수 있다
- 소자 몇개로 구성할 수 있다.
단점: -콜렉터 전류는 온도나 전원의 공급 전압에
의해 바뀌므로 일정하지 않게 되서 작동 지
점이 불안정하게 된다.
-Vbe가 변하면 Ib도 같이 변하게 되고 Ie도
다같이 변하게 되서. 이득(gain)값을 변하
게 한다
용도:위에 나와있는 단점들 때문에, 선형 회로에서 잘 사용되지 않지만, 트랜지스터가 스위치로 사용되는 회로에 자주 사용된다.
전압 분배라는 것은 외부 저항 R1 과 R2 를 사용하는 것이다. 저항 R2에 걸리는 전압은 이미터 접합에서 순방향 바이어스 이다. 저항 R1 과 R2를 잘 선택함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작동점을 β에 무관하게 만들 수 있다. 이 회로에서, 전압 분배기는 베이스 전압을 베이스 전류에 관계없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베이스 전압이 고정되어 있어도 컬렉터 전류는 온도 등에 따라 바뀌게 된다. 그러므로 Q-point를 안정화 시키기 위해 이미터 저항을 추가한다
장점:-다른 회로들과 다르게, DC 전압만이 필요하다.
-작동점이 β의 변화에 거의 무관하다
-작동점이 온도의 변화에 거의 무관하다.
단점: -전류에 비례해서 전압을 입력 쪽에 귀환하기
위해서 이미터에 저항 R3을 접속하므로, 전압
이득이 나빠짐.
용도:위에 나온 이 회로의 안정성과 장점 때문에
다양한 선형회로에 사용된다
장점: -β와 온도변화에도 작동점이 안정적이다.
-전원 전압, 베이스-이미터 간 전압의 변동에
대해 안정도가 비교적 높다.
단점: -전류에 비례해서 전압을 입력 쪽에 궤환하기
위해서 이미터에 저항 Re를 접속하므로, 전압
이득이 나빠진다.
Feedback : 증폭 회로에서 출력의 일부를 입력측으로 되돌리는 것
콜렉터 전압 : 베이스-에미터 접합에 바이어스를 걸기 위한 것
장점: - 동작점이 매우 안정되 있다
- 구성소자의 수가 작다
단점: - 고정 바이어스 방식에 비해 안정하나
입력 임피던스가 낮게 되고 Vce의 변
화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주위 온도가
변하면 Vce가 변해버린다
■전달컨덕턴스와 공통이미터 회로의 소신호 전류이득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의 전압변화
-테일러 급수를 이용한 근사
(테일러 급수란 도함수들의 한 점에서의 값으로 계산된 항의 무한합으로
해석함수를 나타내는 방법이다.)
■소신호 등가모델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의 저항성분: (소신호 베이스 입력 저항)
-컬렉터 전류 변화:
- 와 베이스 전류 변화 의 비:
- 의 정의:
-얼리효과: 컬렉터 전류 때문에 컬렉터 전압이 증가하는 현상
-기호: (소신호 출력 저항)
r 파라미터 소신호 등가모델이 사용됨
공통 베이스 소신호 전류 증폭률:
소신호 이미터 저항(이미터-베이스 전압 , 이미터 전류 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