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정보 사회와 윤리
사이버 공간의
특성...│
사이버 폭력
(1) 사이버 공간의 특성
e. 비대면성
b. 집단행동의 논리
c. 다중 정체성
a. 익명성
d. 접속의 일회성
ㄱ. 이 게시판에만 들어오면 나는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는 것 같아.
ㄴ. 이런 말을 해도 내가 누구인지 어떻게 알겠어?
ㄷ. 나도 이러고 싶지 않지만, 우리 동호회의 결정이 이러한 것을 어떻게 하겠어?
다들 이렇게 하자고 하잖아.
ㄹ. 이래도 되는지 조금 걱정되지만, 어차피 인터넷이잖아.
끊고 나가는 순간 싹 잊어버리면 되는 거야.
ㅁ. 직접 하기는 어려운 말이지만, 컴퓨터와 회선 너머 어디인가에 있는 너이니까
솔직하게 그냥 말하겠어.
(2) 사이버 불링이란
cyber
bullying
정보 통신 기술을 매개로 하여
특정한 사람을 의도적, 지속적으로 괴롭히는 행위
(3) 사이버 불링의 특징
a.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 상황이 발생해도 알기가 어려움
b. 24시간 가해가 이루어지며, 한번 게시된 내용이 쉽게 지워지지 않아 피해가 오래감
c. 빠른 속도로 많은 사람에게 소문이 확산
d. 가해자가 피해자의 상황을 직접 볼 수 없고 그들의 고통을 실감하기 어려움
ㄱ. 비대면성
ㄹ. 지속성
ㄴ. 은밀성
ㄷ. 전파성
자아정체성 상실
(1) 사이버 공간에서 개인은
여러 정체성을 지니고 살 수 있지만
사이버 자아는 현실적 자아와의 관련 속에서
의미가 있으며
개인은 사이버 공간에서도
책임을 져야한다
(2) 현실에서의 정체성을 사이버 자아로 대체하고 싶은
열망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경우
ㅈㅁ, ㅇㅇㅈ, ㅎㅅ ㄱㅂ 등의 정서적 반응을 보이며
현실 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됨
절망, 우울증, 현실 거부 등의 정서적 반응을 보이며
현실 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됨
copyright
지적재산권 문제
(1) 카피 레프트란 정보는 나누면 나눌 수록 그 가치가 커지므로
정보를 공유하여 정보의 가치를 증대하자는 입장
정보 공유론
(2) 카피 라이트란 정보 생산에 들어간 노력의 대가를 충분히 지급하여
정보 자체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고 창작동기를 자극하자는 입장
정보 사유론
정보 공유론
카피 레프트
카피 라이트
정보 사유론
더 많은 양질의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환경
Q. 카피라이트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ㄱ. 표절에 대해서는 관대하다
ㄴ. 창작자의 권리 수호를 주장한다
ㄷ. 정보의 사유와 독점에 대한 권리를 존중한다
ㄹ. 저작권자를 정확히 밝히는 문제에 대해 엄격하다
ㅁ. 불법적인 복제를 차단하고 처벌할 것을 주장한다
답: ㄱ
freedom
4.
표현의 자유와 한계
언론 출판
집회 시위
표현의 자유란?
인권
민주주의
a. ㄱㅇ의 ㅈㅇㅅㅎ
b. ㅁㅈㅈㅇ의 발전
(1) 사이버 공간에서 표현의 자유의 가치
a. 개인의 자아실현
b. 민주주의의 발전
(2) 표현의 자유의 한계
a. ㅌㅇ의 ㅇㄱ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b. ㅅㅎ ㅈㅅ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a. 타인의 인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b. 사회 질서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a. 정보의 정확성보다는 흥미성에만 치중
(3) 무책임한 정보 유통의 문제
b. 자극적 내용만을 선호하는 선정적 보도
c. '아님 말고 식'의 무책임한 정보
5.
바람직한 정보 사회 시민
(1) 정보 리터러시
리터러시(literacy)는
문맹을 뜻하는 illiteracy에 반대되는 개념
글을 읽거나 쓸 수 없음
글의 내용을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함
(1) 정보 리터러시
정보의 처리 과정과 정보의 내용 그 자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분석하여 판단을 내릴 수 있는
합리적인 태도와 지적 기능
(1) 정보 리터러시
원하는 정보를 찾아내어 획득할 수 있는
검색 능력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골라낼 수 있는
선별 능력
소극적
리터러시
행간의 의미를 읽어 내고
저자의 의도와 배경을 찾아낼 수 있는
해석 및 통찰 능력
(1) 정보 리터러시
사람들의 관심을 자극하면서도
원하는 내용을 충실히 담은 정보를 만들어 낼 수 있는
표현 능력
적극적
리터러시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사람들에게게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전달 능력
사이버
시민성
정보
리터러시
(2) 사이버 시민성
a. 정보 사회 시민으로서의 자격 및 덕성
b. 윤리적 성향과 신념 + 판단 능력 + 실천 의지
Q.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본래 글자 해독 능력을 지칭했던 것에서 시작되었다.
지금은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고, 정보의 내용을 판단하고 해석하며,
비판적으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했던 초기의 관점에서 벗어나
정보를 직접 생산하고 전달하며,
유통시키거나 홍보할 수 있는 소통 능력까지 강조하는 방향으로
확대되고 있는 개념이다.
답: 정보 리터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