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
------------
---------------
---------
기계의 조립도나 부품도를 표준화된 표시방법으로 그리는 일이다.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정한 제도방식에 따르는 방법이다.
기계는 여러 개의 복잡한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 그 제조과정에는 많은 사람이 관계하므로 설계자의 의도를 관계자 전원에게 완전하게 전하려면 일정한 규칙에 기준을 두고 표시한 도면이 필요하게 된다. 한국산업규격(KS)에는 도면에 구조 ·치수 외에도 다듬질 기호 ·끼워맞춤 기호 ·재질 및 최소한 필요로 하는 기록사항 등을 기입하는 것을 제도 통칙으로 규정하고 있다. 기계제도는 기계공업에 있어서의 언어라고도 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제적인 공통성까지 요구되고 있다. KS규정도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정한 제도방식에 준한 것으로 되어 가고 있다.
도면의 발달은 고대인의 조잡한 그림으로부터 출발하여 현재의 공업제도에 이르기까지는 장구한 세월이 흘렀다.
① 약 B.C.4000년 경 Chaldean Engineer Gudea 가 돌에 그린 요새의 평면도가 가장 오래된 평면도이다.
② 약 B.C30년경 Roman Architect Vitruvius가 쓴 건축에 관한 논문에 제도의 사용에 대한 기록이 나타나 있으며, 건물의 입면도와 평면도를 그리는 데 펜과 컴퍼스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언급을 하였다. 옛날의 컴퍼스는 오늘날의 디바이더와 크기나 재료가 아주 비슷하였다.
③ 15세기 초부터 이탈리아 건축가들 사이에 투상의 원리가 이해되어 있었으며, 15세기말 경에 정면도와 평면도가 그려지고 있었다.
④ 이탈리아의 Leonardo da Vinci(1452∼1519)는 유명한 예술가이며 훌륭한 과학자로서 수많은 기계를 고안하였으며, 종래에 사용되던 투시도법보다 진보된 화법으로 투상도를 그렸으나 투상법이 아닌 투시투상도였다.
⑤ 18세기말 프랑스 Polytechnic School Professor였던 Gaspard Monge는 투상도의 기본원리를 창안하였다. 이것이 오늘날 제도원리의 기원이며 제1각법이다. 이것이 유럽 각국에 점차로 퍼져 사용되었고, 1816년에 이르러 미육군사관학교 교수였던 Claude Crozet에 의하여 소개되었다.
⑥ 그 후에 미국에서 제1각법보다 제3각법을 표준화하여 사용하게 되었으며,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퍼져 널리 사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