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content…
Loading…
Transcript

6.25 전쟁 [한국전쟁]

- 이념 대립의 장이 된 한반도

폭풍 전야

전쟁의 전개

(1)

- 남북한 정부 수립 후 미군과 소련군의 철수

→ 38도선 부근에서 남북한의 잦은 무력 충돌

- 공산통일을 위해 북한 지도자 김일성이 소련과

중국의 지원을 얻어냄

- 미국의 '애치슨 선언' : 태평양 지역의 공산주의

방어선에서 남한이 제외됨

→ 북한은 전쟁을 해도 미국의 개입이 없을

것이라 판단

남침과 전쟁의 개시

남침과

전쟁의 개시

- 전쟁 시작 3일만에 북한군이 서울 점령 및

국군은 낙동강 일대까지 후퇴, 부산이

임시 수도가 됨

- UN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유엔군 파병 결의,

16개국이 남한을 돕기 위해 참전

- 낙동강 방어선을 버티고 인천상륙작전을 통해

서울을 되찾음

- 10월부터 국군과 유엔군의 북진 시작, 압록강

일대까지 진격

중공군의 개입과 교착 상태

중공군의

개입과

교착 상태

- 중공군 개입으로 국군과 유엔군이 평양,

서울을 뺏기고 한강 이남으로 후퇴(1.4 후퇴)

- 이후 다시 서울을 되찾고(1951.3.14.)

38도선 부근에서 계속 밀고 밀리는 전투가

진행됨

→ 정전 협상이 진행되는 와중에도 전투가

2년 정도 계속됨

정전 협상과 정전 협정

전쟁의 전개

(2)

- 소련 측의 정전 협정 제안, 미국이 수용

→ 협상 과정에서 군사 분계선 설정 및

포로 송환 방식 등으로 타협 결렬

- 이승만 정부에서 정전에 반대하며 북한

송환을 거부하는 반공 포로를 석방

- 1953년 7월 27일에 정전 협정 체결

→ 중립국 감독 위원회, 군사 정전 위원회,

비무장지대(DMZ) 설치 합의

- 이승만 정부는 미국과 ‘한-미 상호방위조약’

체결 및 경제 원조 등을 약속 받음

전쟁 중의 양민 학살

전쟁 중의

양민 학살

- '국민 보도 연맹 사건' : '보도연맹'의 회원들을

전쟁 중에 국군과 경찰이 학살.

- 거창 양민학살사건 : 북한군 일부와 남한의

무장 게릴라(빨치산)를 국군이 소탕하는

과정에서 무고한 양민들이 대량으로 학살당함

- 영동 노근리 양민학살사건 : 미군이 피신해

있던 마을 주민들을 노근리 일대에서 학살

- 북한군의 '인민재판' : 사람들을 선동하여

법적 절차를 거치지 않고 민간인을 공개 처형

전쟁의 결과와 영향

전쟁의

결과와

영향

1) 황폐화된 한반도

- 군인, 민간인을 합쳐 수백만 명이 사망

(수치가 통계마다 다름)

- 농촌의 황폐화로 인한 식량 생산 급감,

산업 기반 시설의 파괴

2) 이념 대립의 심화

- 민족 동질감의 약화와 적대감의 심화,

남북한이 서로 군사력 증강 경쟁

- 북한은 패전의 책임을 물어 김일성의

정치적 경쟁자 숙청, 남한은 ‘반공’을

강조하며 이승만 정부의 독재 정치 강화

전쟁이 바꾼

사람들의 삶

3) 사람들의 생활 변화

- 전쟁 후 도시 중심으로 복구가 이루어지면서

도시로의 인구 이동 심화, 판자촌 등의 형성

- 전통적인 마을 공동체와 가족 공동체의

해체, 전쟁으로 인한 여성의 역할이 강화

되기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