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제 1차 세계대전과 러시아 혁명

- 한국사와 같이 훑어보는 세계사

제 1차 세계대전(1914 ~ 1918)

발생 배경

제 1차

세계대전의

발생

1. 제국주의 유럽 국가들의

대외 진출 경쟁

(특히 영국-프랑스 vs 독일)

2. 발칸 반도의 갈등

- 민족과 종교의 다양함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vs 세르비아

→ 보스니아 지역의 합병으로 인해 충돌

- 세르비아 청년이 오스트리아 황태자 부부 암살

(사라예보 사건, 1914)

제 1차 세계대전의 발발

제 1차

세계대전의

시작

- 3국 협상(연합국) vs 3국 동맹(동맹국)의

구도, 여기에 여러 국가들이 가담

- 이탈리아는 동맹국에서 연합국으로 노선 변경

(전쟁 시작 직후)

- 중국과 일본은 연합국 측에 가담

- 오스만 제국과 불가리아가 동맹국에 가담

- 유럽 국가들의 식민지들도 전쟁에 동원됨

→ 전 세계가 연관된 대규모 전쟁으로 변화,

각종 신무기 출현(비행기, 탱크, 기관총 등)

독일의 패전

1918년 전쟁 막바지,

독일 항구인 '킬'에서 수병들의 폭동이 일어나

독일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독일의 패전

- 1917년 러시아에서 사회주의 혁명 발생

→ 1918년 독일과 조약을 맺고 전쟁에서 이탈

-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에 의해 미국 선박

격침, 1917년 미국이 연합국 측에 가담하여

전쟁 수행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오스만 제국이

독일보다 먼저 연합국 측에 항복

- 1918년 독일이 항복 선언, 전쟁 종결

전쟁 이후의 처리

전쟁 이후

- 전쟁 직후 ‘파리 강화 회의’를 통해

‘베르사유 조약’ 체결

- 독일은 막대한 배상금 지불과

해외 식민지의 상실을 겪게 됨

- 러시아,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밑의 민족 다수가 독립

- 세계 평화를 위해 1920년 ‘국제연맹’

창설 → 정작 미국은 미가입, 군사적

제재 권한 없음

주최자인 미국이 없는

국제 연맹?

러시아의 20세기 초

러시아 혁명

- 근대화와 양적 산업화의 기반 마련

- 정치적으로 여전히 '전제 군주제'

- 옛 사회 구조의 잔재가 민중을 억압

- 지식인과 노동자 중심으로 사회주의가

확산

1905년, 혁명의 불씨

피의 일요일 사건은

러시아 민중들이

'차르'의 전제 정치에

의구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다.

1905년,

피의 일요일 사건

- 1905년 생존권 보장과 노동 처우 개선,

의회 설립 등을 요구하는 시위 전개

- 차르의 군대가 이를 무력 진압

(피의 일요일 사건)하면서 전국적으로

시위 확산

- 차르의 개혁 약속으로 무마 이후

정부의 시위 탄압 및 온건 개혁 진행

1905년 이후

7~8년간

제정 러시아의 개혁을

주도한

'표트르 스톨리핀'.

1917년, 혁명의 발생

1917년,

혁명의 발생

- 연합국의 일원으로 러시아가 전쟁에 참여 →

연이은 패전 물자 부족으로 민중의 고통 가중

- 1917년 3월에 노동자 중심으로 전쟁 중지와

식량 배급 등을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져

황제를 몰아내고 임시정부 수립(3월 혁명)

- 임시정부는 전쟁 계속 선언, 대중의 신뢰

상실

혁명가 블라디미르 레닌,

러시아로 돌아와

전쟁 중지와 혁명 완수를

선포하다. (1917.4.)

1920년의

코민테른 회의 모습.

저 멀리

태극기가 보인다.

또 한 번의 혁명,

그리고 소련의 탄생

소련의 성립

- ‘블라디미르 레닌’을 중심으로 하는 정당

‘볼셰비키’가 임시정부를 무너뜨리고 정권 획득

(11월 혁명)

- 독일과 협상해 전쟁 중지, 반혁명 내전 진압

- 각국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정당을 연결하는

조직 ‘코민테른’ 창설

- 1922년 ‘소련(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성립 선포

학습활동 -

세계 정세가 한반도에 미친 영향

학습 활동

1. 민족자결주의와 '3.1 운동'의 연관성

2. 소련의 성립과 사회주의의 확산이

우리나라의 독립운동에 미친 영향

- 정답은 없으니, 자신의 의견을 최대한

성실하게 써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