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MeToo

Case 1

Case Study

Questions

Questions

Q1. 자신이 알고 있는 대표적인 미투들?

Q2. 이 미투들의 공통점

- 가해자가 특정 조직이나 커뮤니티에서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음

- 유명세를 지니고 있어서 광범위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음

- 피해가 반복적으로 다수에게 나타남

Q3. 왜 이제야 말할까?

Q4. 미투의 배경

- 여성 스스로의 인권의식 고양

- 한 가해자(위력)에 의해 은폐불가능할 정도로 많은 피해자가 생김

-여성의 개인화, 신자유주의에 의한 각자도생의 사회적 분위기

-한국의 남성문화가 남성들도 견딜 수 없도록 지속불가능한 상태 (남자 고등학생, 남성 직장인들)

Discussion

미투에 관한 대표적인 비난

1. 대체 왜 이제와서 피해자? 그때 왜 조치를 취하지 않았나?

2. 몇 년씩이나 당했으면 너(피해자)도 원한거 아님? 꽃뱀임?

2.5. 어떻게 그렇게 즉시 고소하고 매뉴얼대로 대응함? 꽃뱀임?

3. 그렇게 힘들면서 왜 회사(학교, 조직 등)을 나오지 않고 참음?

4. 가해자는 그럴 사람 아닌데, 너(피해자)의 행실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님?

5. 미투 운동의 취지는 이해가 가지만 조금의 거짓증언이 섞여 있다면 미투는 운동으로서 재고해봐야 하고 비판받아야 한다!

6. 무서워서 아무 말도 못하겠다. 펜스룰이 답임!

쟁점들

-꽃뱀 담론의 위협(진정성 논쟁)

-진영논리(진보분열을 우려한 프레임을 만들고, 결국 여성들이 분열)

1. 왜 이들은 얼굴을 드러냈나?

2. 생사여탈을 쥐고 있을 때 주체의 반응은?

- 분노하고 뛰쳐나온다

-참는다. 상황이 좋아질때까지 기다린다

-그래도 괜찮다며 자기 위안, 자기 기만, 자기 정당화 한다

-그러나 이 모든 것들은 사건의 본질과 상관이 없는데도 피해자가 잘못한 꼴이 되게 만든다.

3. 옳은 피해자? (피해자 다움의 문제)

옳은 피해자는 죽을때까지 저항하고 참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