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적 변화
- 전쟁 이후의 신분 질서의 흔들림
- 빈부격차 및 권력 차이의 심화
→ 성리학적 질서의 강화 시도
2) 조선 후기의 산업 발달
- 농업, 광업, 공업, 상업 등에서
기술 발전이 이루어짐
- 자본주의적 요소의 등장
1) 토지제도의 개편
- 이익 : '한전제' → 최소 생계인 '영업전'을
제외하고는 자유로운 토지의 매매 가능!
- 유형원 : '균전제' → 국가가 사회적 지위에
따라 토지를 차등적으로 균형 있게 분배!
- 정약용 : '여전제' → 토지 공동 경작, 수확은
노동량에 따라 분배!
★ 이후 '여전제' 대신 '정전제' 주장
- 유수원 : '상공업'에 대한 직업적 차별을
없애자!
- 박제가 : 소비의 장려, 세계 무역에의 참여
- 박지원 : 수레, 선박의 이용 강조, 청나라의
문물 수용 장려
- 홍대용 : 재능에 따른 인재 등용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