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의 기원
수권 :
① 수권은 지구계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지구의 표면과 지하에 분포하는 물을 말한다.
② 수권은 지구의 기후 변화, 생태계 유지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구에서 물의 분포
"수자원"이란 인간의 생활이나 경제활동 및 자연환경 유지 등을 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서의 물을 말한다.
(수자원의 조사ㆍ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1. 비커에 물을 2/3 가량 채운 후, 온도계를 수면에서 깊이 2 cm 간격으로 스탠드에 매단다. 그런 다음, 각 깊이에서의 처음 온도를 측정한다.
2. 물 위에서 전등을 비추고 온도가 변하지 않을 때 각 깊이에서의 온도를 측정한다.
3. 전등은 켜 두고 물 위에서 부채질을 약 1분 동안 한 다음, 각 깊이에서의 온도를 측정한다.
4. 과정 1, 2, 3에서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다.
정답 : 전등을 비추기 전에는 깊이에 따른 수온이 일정했으나 전등을 비춘 후에는 표층의 수온이 가장 높고 깊어질수록 수온이 낮게 나타난다.
결과 및 정리
1. 깊이에 따른 수온 분포는 전등을 비추기 전과 후에 어떻게 달라지는지 설명해 보자.
2. 깊이에 따른 수온 분포는 부채질하기 전과 후에 어떻게 달라지는지 설명해 보자.
정답 : 부채질을 하기 전에는 2개의 층(깊어질수록 수온이 낮아지는 층, 수온이 일정한 층)으로 구분되고, 부채질을 한 후에는 3개의 층(수온이 높고 일정한 층, 깊어질수록 수온이 낮아지는 층, 수온이 낮고 일정한 층)으로 구분된다.
염분비가 일정한 까닭
바닷물이 항상 움직이면서 서로 섞이기 때문이다.
강수량이 증발량보다 많아지면 염분은 낮아지고,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많아지면 염분은 높아진다.
◎그림에서 위도 30˚ 부근의 바다가 염분이 높은 까닭?
강수량 < 증발량
※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표층 염분 분포의 특징
1. 여름보다 겨울에 표층 염분이 대체로 높다.
→ 우리나라는 여름철에 강수가 집중되기 때문이다.
2.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갈수록 대체로 표층 염분이 낮아진다.
→ 난류가 한류보다 대체로 염분이 높기 때문이다.
3. 연안보다 외해에서 표층 염분이 대체로 높다.
→ 연안에서는 육지의 강물 또는 지하수가 흘러들기 때문이다.
4. 동해보다 서해의 표층 염분이 낮다.
→ 서해로 유입되는 강물의 양이 훨씬 많기 때문이다.
※ 표층 염분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그 밖의 요인
극지방은 빙하가 융해되어 표층 염분이 낮다.
인력과 원심력이 강하게 작용해 조차가 매우 커질 때를 ‘사리’
그림은 서해안 어느 곳의 해수면 높이 변화와 간·만조 시각을 나타낸 것이다. 이 기간의 조석 현상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태양과 달의 인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용하여 조차가 작아집니다. ‘조금’
ㄱ. 조석 주기는 약 24시간이다.
ㄴ. 이 기간 동안 조차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ㄷ. 17일 무렵에 달의 모양은 보름달에 가까웠다.
북태평양해류 순환 :
약 5년
세슘 137 반감기 :
약 3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