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7. 수권과 해수의 순환

1. 물은 어디에

1. 수권의 구성

1)물은 어디에

물의 기원

수권 :

① 수권은 지구계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지구의 표면과 지하에 분포하는 물을 말한다.

② 수권은 지구의 기후 변화, 생태계 유지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구에서 물의 분포

소중한 물

"수자원"이란 인간의 생활이나 경제활동 및 자연환경 유지 등을 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서의 물을 말한다.

(수자원의 조사ㆍ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1. 수권의 구성

2)소중한 물

물의 재활용 방안

아이디어

1) 깊이에 따라 다른 해수의 온도

2. 해수의 특성과

순환1)~2)

2) 바다에 녹아 있는 소금

수온의 연직 분포 실험

수온의

연직 분포

1. 비커에 물을 2/3 가량 채운 후, 온도계를 수면에서 깊이 2 cm 간격으로 스탠드에 매단다. 그런 다음, 각 깊이에서의 처음 온도를 측정한다.

2. 물 위에서 전등을 비추고 온도가 변하지 않을 때 각 깊이에서의 온도를 측정한다.

3. 전등은 켜 두고 물 위에서 부채질을 약 1분 동안 한 다음, 각 깊이에서의 온도를 측정한다.

4. 과정 1, 2, 3에서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다.

실험 과정

정답 : 전등을 비추기 전에는 깊이에 따른 수온이 일정했으나 전등을 비춘 후에는 표층의 수온이 가장 높고 깊어질수록 수온이 낮게 나타난다.

결과 및 정리

1. 깊이에 따른 수온 분포는 전등을 비추기 전과 후에 어떻게 달라지는지 설명해 보자.

2. 깊이에 따른 수온 분포는 부채질하기 전과 후에 어떻게 달라지는지 설명해 보자.

정답 : 부채질을 하기 전에는 2개의 층(깊어질수록 수온이 낮아지는 층, 수온이 일정한 층)으로 구분되고, 부채질을 한 후에는 3개의 층(수온이 높고 일정한 층, 깊어질수록 수온이 낮아지는 층, 수온이 낮고 일정한 층)으로 구분된다.

해수의 연직 분포

염류 : 해수에 녹아 있는 물질

염분과 염류

염분 : 해수 1,000 g에 녹아 있는 염류의 총량을

g으로 나타낸 것

염분비 일정의 법칙

염분비가 일정한 까닭

바닷물이 항상 움직이면서 서로 섞이기 때문이다.

강수량이 증발량보다 많아지면 염분은 낮아지고,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많아지면 염분은 높아진다.

◎그림에서 위도 30˚ 부근의 바다가 염분이 높은 까닭?

강수량 < 증발량

염분분포와 변화요인

※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표층 염분 분포의 특징

1. 여름보다 겨울에 표층 염분이 대체로 높다.

→ 우리나라는 여름철에 강수가 집중되기 때문이다.

2.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갈수록 대체로 표층 염분이 낮아진다.

→ 난류가 한류보다 대체로 염분이 높기 때문이다.

3. 연안보다 외해에서 표층 염분이 대체로 높다.

→ 연안에서는 육지의 강물 또는 지하수가 흘러들기 때문이다.

4. 동해보다 서해의 표층 염분이 낮다.

→ 서해로 유입되는 강물의 양이 훨씬 많기 때문이다.

※ 표층 염분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그 밖의 요인

 극지방은 빙하가 융해되어 표층 염분이 낮다.

3) 돌고 도는 해류

2. 해수의 특성과 순환3)~4)

4) 높아지고 낮아지는 조석

인력과 원심력이 강하게 작용해 조차가 매우 커질 때를 ‘사리’

그림은 서해안 어느 곳의 해수면 높이 변화와 간·만조 시각을 나타낸 것이다. 이 기간의 조석 현상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태양과 달의 인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용하여 조차가 작아집니다. ‘조금’

ㄱ. 조석 주기는 약 24시간이다.

ㄴ. 이 기간 동안 조차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ㄷ. 17일 무렵에 달의 모양은 보름달에 가까웠다.

여름철 조경수역

조경수역

겨울철 조경수역

그밖의 순환

북태평양해류 순환 :

약 5년

세슘 137 반감기 :

약 3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