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골절, 탈구, 염좌, 긴장, 경련, 타박상
뼈 손상
- 추가적 손상 방지
- 통증 경감노력
- 폐쇄성 골절(Closed fracture) : 골절부위 피부손상 없음
- 개방성 골절(Open fracture) : 피부의 손상 있음
잠재적인 손상
빗장뼈(쇄골)는 취약한 위치와 상대적으로 가늘기 때문에 가장
자주 골절되는 뼈
골절된 쇄골은 직접적인 힘이나 팔을 벌리고 떨어져 생긴 힘에
의해 발생
끼임 골절(impacted fracture) 은 뼈의 부러진 끝이 뼈로 끼어들어가 뼈는 골절이 없는 것 처럼 기능을 할 수 있다
나선형 골절(spiral fracture)은 뼈가 뒤틀려서 생긴 손상으로 골절선이 나사처럼 보인다.
- 신속하게 신경기능과 맥박 확인(주요 합병증)
= 사지의 부적절한 혈액순환(막힘, 찢어짐, 낌)
= 팔과 다리의 조직은 3시간 이상 차된될 경우 생존이 어렵다
= 주요 신경은 뼈 가까이 존재하여 혈관과 비슷한 영향
뼈는 얼마나 강한가?
뼈는 강한 물질 중의 하나이다. 1입방인치의 뼈는 5개의 표준 픽업트럭 무게인 최소 19,000파운드(8,618kg)의 힘을 견딜 수 있다. 이것은 대략 콘크 리트의 4배 힘이다.
뼈의 견디는 힘은 알루미늄과 라이트스틸과 같다. 비교가능한 크기의 강철봉이 뼈보다 4~5배 무겁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뼈는 같은 온스의 철과 강화코크리트보다 강하다.
손상평가를 위해 DOTS법을 사용
•변형
- 짧아져 있거나 관절 사이의 심한 변형(각)이나 관절 주변의 변형
- 사지의 짧아짐
- 반대편 측과 비교하여 돌아간 사지
•개방성 상처.골절 근처의 열상이나 천자상은 개방성 골절로 고려
•누름통증과 통증.골절을 발견하는데 유용한 술기로 뼈의 길이를 따라 부드럽게 만지고
누름; 누름통증이나 통증의 호소는 골절을 의미
•부종은 빨리 진행
추가적 증상과 징후
•손상 부위의 기능 소실
•보호자세(움직임으로 통증이 증가할 때 손상 부위를 움직이려 하지 않음)
•비빔소리(부러진 뼈의 끝이 서로 마찰되면서 나는 소리나 느낌).
명확한 감지를 위해 손상된 사지를 움직이면 안 됨
•심각한 사고, 또는 뼈가 꺾이는 것을 들었다는 손상에 관한 병력
1.일차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를 확인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을 다룰 때는 골절을 확인하고 고정
2.손상 부위의 옷을 조심스럽게 제거(동의)
3.DOTS를 관찰하고 느끼면서 해당 부위를 검진
4.맥박과 신경을 확인(CSM을 평가)한다.
순환이 정상이라면 손톱 밑은 2초 이내에 정상 색으로 돌아온다. 어둡거나 추운 곳 또는
흡연자에서 모세혈관재충혈은 정확성이 제한된다. 소아에서는 좀 더 정확하다.
징후이다.
5.움직이지 않도록 손상 부위를 안정시킨다.
6.손상이 개방성 골절이라면, 튀어나온 뼈를 밀어넣지 않는다 .
상처와 노출된 뼈를 드레싱으로 덮는다.
뼈에 압박이 가해지지 않도록 뼈주위에 롤거즈를 대고 붕대로 감는다.
7.개방성 골절이나 큰 뼈(대퇴골 등) 골절 혹은 이송이 어렵거나 이송으 로 상태가 악화될 수 있는 경우 우선 119구급대에 전화한다.
8.사지가 푸르거나 사지가 창백하면 발견 즉시 119구급대에 전화한다.
9.일반적으로 1차 응급처치자는 손상된 사지를 움직이거나 펴지 않는다. 그러나 사지에 맥박이 없거나 응급구조사와 멀리 떨어져 있다면 혈류 를 회복시키거나 이송을 위해 손상된 사지를 부드럽게 재정렬시킬 필요가 있다.
•RICE 절차를 이용한다. 얼음찜질은 부종과 통증 감소에 도움이 된다.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통증을 제한하고 추가 손상의 위험성을 줄여준다.
- 변형(주요증상)
- 심한 통증
- 부종
- 손상된 관절의 움직임 제한
소아의 경우 인대와 붙어 있는 연골이 탈락되어 있다가 엑스레이상 보이지 않았다가 성인이 되면서 뼈가 생성되는 경우가 많음
(염증은 손상 후에 즉각적으로 시작되며 조직액이 충분히 축적되어 고통과 강직을
일으키는 데는 24~72시간이 걸림)
근육연축(spasm) : 근육이 간헐적인(간대성 경련) 혹은 지속적인 수축(긴장성 경련)
골절로 인한 변형으로 오인 가능
- 격렬한 운동 직후나 도중, 장시간 순환 장애
- 허벅지, 엉덩이, 종아리, 팔
- 손가락 골절, 탈구, 삠
- 손톱 찢김
- 손톱 밑 혈액
- 갈라짐
- 반지가 빠지지 않아 생기는 손상
- 탈구, 골절
- 골절
- 근육 타박상, 근육 긴장
- 탈구, 골절 ,긴장, 타박상
- 골절, 타박상, 근육 경련, 발목과 발 손상
- 발가락 손상
- 어깨 탈구
- 빗장뼈 골절
- 타박상
- 힘줄염
- 골절과 탈구
- 테니스 팔꿉증
- 골퍼 팔꿈치
- 눌려진 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