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조혈모세포는 골수에서 자가 복제 및 분화를 통해 백혈구, 적혈구 및 혈소판 등의 혈액세포를 만들어 내는 세포
정의
조혈모세포는 골수라는 신체의 큰 뼈(척추, 갈비뼈(늑골), 복장뼈(흉골), 입천장뼈(구개골), 골반, 엉치뼈(천골), 넙다리뼈(대퇴골)의 전단) 내에 주로 위치하고 있으며 일부는 말초혈액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혈액 내의 다양한 세포를 만들어내는 조혈작용이 조혈모세포의 가장 중요한 기본적인 기능
전구세포를 거쳐 최종세포로 성숙하는데 여러세포(적혈구, 혈소판, 중성구, 호산구, 호염구, 단핵구, T 및 B림프구, 자연살상세포, 가지돌기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능은 악성혈액질환,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등의 난치성 혈액질환을 대상으로 한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에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조혈모세포 이식이 유전성 대사질환, 선천 면역결핍증 등 다양한 질환에서도 유일한 또는 가장 우수한 치료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의 일차적인 목적은 고용량의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를 하여 우리 몸에서 세포분열이 빠른 세포를 죽이고, 새롭고 건강한 세포가 자랄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해 주기 위함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