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대중매체에 의해 대량 생산, 재생산 되어 대중에 의해 소비되는 문화
문화의 대중화
삶의 질 향상
사회 문제 개선
문화적 평등에 기여
문화의 질적 저하
사고나 취향의 획일화
정보의 조작 가능성
한국의 대중문화??
사회적 배경
-독재 권력에 맞서 민주화를 이루고자 하는 운동이 본격화 되던 시기
-급속한 산업화로 말미암은 농어촌 공동체의 해체와 도시 인구 급증에 따른 사회 문제 부상
-분단의 현실을 넘어 통일을 이루고자 하는
의식이 크게 확산
양면성이 극대화되고 시대적 흐름에 상처를 받은 질곡의 시대
- TV매체를 통해 ‘스타’라는 용어의 탄생
- 예비 스타들의 라이브 활동(명동,종로)
- 음악전문 다방
- 한국형 포크 음악 등장
대학 가요제
MBC 대학가요제는 문화방송이 주최했던 대학생 대상의 가요제이다. 명랑한 대학풍토 조성과 건전가요 발굴을 목적으로 시작하였으며, 참가한 대학생들은 창작곡으로 노래 실력을 겨루었다.
미니스커트의 등장
- 1967년 가수 윤복희가
패션쇼에서 처음 입은 뒤 빠르게 확산
- 여성의 사회참여가 많아지기 시작
- 적극적이고 젊은 신여성
->미풍양속을 해친다는 이유로 단속
히피스타일의 청소년문화
-장발에 통기타와 맥주
-유니섹스룩 과통이 넓은 판탈롱의 유행
-통굽 구두
-> ‘퇴폐적’이라는 이유로 기성세대의 비판
장발은 군사문화 아래 단속의 대상
TV의보급
- 역대 원로 코미디언들의 활동 왕성
- 라디오의 지위를 추월
아이들을 위한 만화영화 발달
태권V
-고유의 무술인 태권도를 소재
-효과음으로 우리전통악기를 사용
캔디
-고달픈 생활 속에서도 용기를 잃지 않은
고아 소녀 캔디의 인생 역정을 다룸
사회적 배경
-문화적 해방과 탄압이 충돌한 시대
-1987년 노동자 대투쟁은 6월 항쟁 이후 빼앗긴 노동 권리를 찾아나감
-독재 정권과 인권 탄압에 반대한 전 국민적인 저항운동→대통령 직선제가 된 계기
-컬러TV가 보급되면서 비디오 지향적 가수들
-대중음악의 수요자에 10대 들어옴
-장르적인 면에서도 매우 다양
(댄스음악,발라드,트로트 등이 주류)
-70년대 사랑받았던 포크음악과
저항적 가사를 담은 음악들 또한 80년대에 명맥을 이어감
-강변가요제나 대학가요제를 통하여 실력있는 뮤지션이 많이 배출
-우리 대중음악의 전성기
패션의 멀티화
폭발적인 경제성장과 함께 컬러 TV시대와 여성교양지 및 패션 잡지의 대거 출현
디스코 스타일
-교복 자율화에 따라 청소년들이 패션의 중심
-바지의 아랫단 폭을 줄여 발목에 딱 붙임
스포츠웨어의 유행
-86년 아시안게임과 88년 서울올림픽 개최
-나이키나 프로스펙스, 르까프 등 스포츠 웨어 전문 브랜드 시장 진출
S:Sport
- 86 아시안게임 유치, 88올림픽 유치
- K리그와 KBO 리그, 민속씨름이 시작되는 등 프로 스포츠가 활성화
- 야구에 있어서는 해태 타이거즈가 최고의 전성기를 누림
S:Screen
-컬러텔레비젼 방송 시작
-에로영화 급증
-드라마 '달동네' 히트
-드라마 '전원일기' 시작
S:Sex
-야간 동행금지 37년만에 해제
-성매매 업소 급증
-포르노 테이프 유통
사회적 배경
-1988년 서울 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로 세계에 위상을 떨치는 데 성공
-독재 시대의 종식과 1990년대 중반까지 이어지는
장및빛 경제
-성수대교 붕괴사고,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등의 여러 인재로 인한
참극이 잇달아 일어났던 시기
'듣는 음악'에서 '보는 음악' 시대로 전환되기 시작
-‘오렌지족’이라는 말과 동시에 등장하는데 개성을 중시한 소비지향적인 젊은이들을 지칭
-의류에서 화장품, 각종 음료에 이르기까지 이 신세대를 타깃으로 한 수많은 제품과 광고
-90년대 중반부터 ‘파리의 연인’ 커플 김정은, 박신양의 옷차림을 비롯해 여성성을 강조한 헵번 스타일이나 재키 스타일, 비틀즈룩 등 복고풍이 유행
-연예인 패션의 유행 선도가 본격화되기 시작
( 헐렁한 복장과 벙거지 모자, 마스크)
사회적 배경
-동대문 패션타운이 패션산업의 중추적인 역할
-인터넷문화의 장착으로 온라인 판매 폭발적 성장
-여성의 것을 남성이 사용하고 남성의 것을 여성이 사용하는 기존의 성역할을 파괴하는 식의 크로스 섹슈얼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돋움체; font-size: 11pt; mso-fareast-font-family: 돋움체; mso-ascii-font-family: 돋움체;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2000</span><span style="font-family: 돋움체; font-size: 11pt; mso-fareast-font-family: 돋움체;">년대에는 해외 현지 법인을 설립하거나 쇼룸 입점과 직매장 오픈 등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해외 진출을 모색하면서 젊은 디자이너들의 해외 패션 위크와 트레이드 쇼 진출이 대폭 늘어났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돋움체; font-size: 11pt; mso-fareast-font-family: 돋움체; mso-ascii-font-family: 돋움체;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pt;">.</span><br /><br /><p><저작권자(c) 패션엔미디어, <a href="http://www.fashionn.com">www.fashionn.com</a>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p>
사회적 배경
- 과학의 발전과 민주주의의 확산
- 메르스와 에볼라 출혈열의 세계적 유행
- 혐오 정서가 발전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사회에 급속도로 번졌다.
-2010년대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고, 정보에의 접근성을 더 강화시켜,
현재 대중문화와 가장 밀접한 관련을 맺음
2010년대 초반에 흥행하기 시작한 오디션 프로그램- 버스커버스커와 악동뮤지션
인디음악에 존재하던 어쿠스틱한 음악들과 맞물려 흥행에 성공
아이돌 음악 외의 확실한 대안이 생기면서 국내 대중음악 장르의 다양성
2012년에는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성공을 거두면서
한국 음악중 사실상 처음으로 전세계 음악시장을 뒤흔들었다.
아이돌 가수는 일본, 중국, 태국 등의 아시아 지역에서 큰 사랑을 받았으며
유튜브 등 인터넷을 통해 서구권에도 열성적인 팬들 일부 확보
‘메트로 섹슈얼’
모든 사회적 트렌드가 패션의 구성요소가 되고 있다.
과거처럼 시대를 특정할 수 있는 유행은 사라졌다.
한마디로 사람들의 ‘입맛’이 유행을 이끄는 중이다.
모든 것이 빨리 변하는 시대에 인터넷이라는 네트워크가 합쳐져
전세계적으로 동시다발적인 패션의 교류가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70년대 말 80년대 초반 년생들 즉 90년대를 향유했던
그 당시 10~20대들의 경제력이 커짐으로써
건축학개론, 응답하라 1997, 응답하라 1994, 위대한 유산, 무한도전 토토가 등
90년대를 추억팔이하는 작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