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한 범위 안에서 쓰이고 있는 단어의 총체
고유어
외래어
한자어
속담
관용표현
어휘들의 의미 사이에서 밀접한 연관을 갖는 관계.
유의, 반의, 상하, 동음이의, 다의 등의 관계를 지님.
-말소리는 다르지만 의미가 서로 비슷한 단어들의 관계.
-유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을 유의어라고 함.
-유의 관계는 두 개 이상의 단어들이 무리를 이루고 있는 경우가 많음.
가끔 - 더러 - 이따금 - 드문드문 - 때로 - 간혹 - 혹간 - 간간이 - 왕왕
가난하다 - 빈곤하다 - 빈궁하다 - 어렵다 - 곤궁하다 - 궁핍하다
국어에 유의어가 발달한 이유
- 한자어와 외래어의 유입 가락 - 선율 - 멜로디(melody)
- 높임법의 발달 나 - 저 - 본인
- 감각어의 발달 노랗다 - 노르께하다 - 노르무레하다 - 노르스름하다
- 국어 순화의 영향 고수부지 - 둔치
- 금기어에 대한 완곡어의 사용 천연두 - 마마, 변소 - 화장실
-둘 이상의 단어에서 의미가 서로 짝을 이루어 대립하는 단어들의 관계.
하나의 단어에 여러 개의 반의어가 있는 경우도 있음.
-반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을 반의어라고 함.
-반의 관계에 있는 두 단어는 오직 한 개의 의미 요소만 다르고 나머지 요소들은 모두 공통됨
‘총각 : 처녀’ - 반의 관계
‘총각 : 아주머니’ - 반의 관계가 아님.
총각 [+미혼][+성인][+남성]
처녀 [+미혼][+성인][-남성]
아주머니 [-미혼][+성인][-남성]
-한쪽이 의미상 다른 쪽을 포함하거나 다른 쪽에 포함되는 의미 관계.
-이때 포함하는 단어가 상위어, 포함되는 단어가 하위어임.
-상하 관계를 형성하는 단어들은 상위어일수록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의미를 지니며,
-하위어일수록 개별적이고 한정적인 의미를 지님.
‘직업: 작가’ - ‘직업’이 상위어, ‘작가’가 하위어임.
‘작가: 시인’ - ‘작가’가 상위어, ‘시인’이 하위어임.
동음이의 관계 : 소리는 같지만 의미가 전혀 다른 관계
-단어들의 의미 사이에는 상호 연관성 X
-맥락과 상황을 통해 의미 구별 가능. 혹은 발음의 장단으로 구별
다의 관계 : 두 가지 이상의 뜻을 가진 단어의 의미 관계
-단어들의 의미 사이에는 상호 연관성 O
-중심 의미와 주변 의미로 구성
교재 참조 (p95~)
1. 문맥에 따른 반의어를 잘못 파악한 것은?
① (알이) 굵다 : 얇다
② (모자를) 벗다 : 쓰다
③ (이불을) 펴다 : 개다
④ (분을) 바르다 : 지우다
⑤ (굽은 것을) 펴다 : 구부리다
2. 다음 중 ‘먹다’가 중심적 의미로 사용된 것은?
① 그는 음식을 배불리 먹었다.
② 김이 습기를 먹어 눅눅해졌다.
③ 우리가 먼저 한 골을 먹었다.
④ 얼굴에 화장이 잘 먹지 않고 들떴다.
⑤ 나는 마음을 독하게 먹고 다이어트를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