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8-(2)

담화 관습과 의사소통 문화

Date 1

"고놈, 참 밉게도 생겼다"

"아니, 무슨 말씀을 그렇게

하세요?"

354

담화 관습을 몰랐기 때문에 대화가 자연스럽게 이어지지 않았다.

악귀가 예쁘고 귀여운 아이는 잡아감.

그래서

반대로 '밉다'라고 표현함.

= 옛부터 내려온 담화 관습

어떤

담화 관습?

삼함기구

356 - 357쪽

어휘를 '꽉' 잡자

ㄱ. 기쁨과 즐거움

ㅇ. 지혜와 덕이 매우 뛰어나 길이 우러러 본 받을 만한 사람

ㄴ. 충직하고 온순하며 인정이 두터움

ㅈ. 망령이나 실수로 그릇된 언행을 함.

ㄷ. 위엄 있고 엄숙한 태도나 차림새

ㄹ. 뜻하지 않게 생긴 불행한 변고

356-357

ㅊ. 임금이 나라의 정치를 신하들과 의논하거나 집행하는 곳

ㅁ. 앞으로의 행동에 지침이 될 만한 것을 가르침 또는 그런 가르침

ㅋ. 은혜와 원한

ㅌ. 일의 이치

ㅍ. 인정 없고 쌀쌀하게

ㅂ. 잘못을 꾸짖거나 나무라며 못마땅하게 여김.

ㅅ. 이익과 손해

ㅎ. 모두가 잘고 시시하여 대수롭지 아니하다

정답은..

어휘를 '꽉' 잡자

a 재앙 - ㄹ 뜻하지 않게 생긴 불행한 변고

b 교훈 - ㅁ 앞으로의 행동에 지침이 될 만한 것을 가르침 또는 그런 가르침

c 성인 - ㅇ 지혜와 덕이 매우 뛰어나 길이 우러러 본 받을 만한 사람

d 망발 - ㅈ 망령이나 실수로 그릇된 언행을 함.

e 조정 - ㅊ 임금이 나라의 정치를 신하들과 의논하거나 집행하는 곳

f 이해 - ㅅ 이익과 손해

g 위의 - ㄷ 위엄 있고 엄숙한 태도나 차림새

h 희열 - ㄱ 기쁨과 즐거움

i 책망 - ㅂ 잘못을 꾸짖거나 나무라며 못마땅하게 여김.

j 은원 - ㅋ 은혜와 원한

k 사리 - ㅌ 일의 이치

l 박절 - ㅍ 인정 없고 쌀쌀하게

m 충후 - ㄴ 충직하고 온순하며 인정이 두터움.

n 자질구레하게 - ㅎ 모두가 잘고 시시하여 대수롭지 아니하다.

내용 정리 (356-357쪽)

고전과 매체에 드러난

담화 관습

갈래 : 고전 수필

성격 : 교훈적

주제 :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하자.

특징 : 옛말과 고사를 인용함.

구체적인 지침(예시)을(를) 제시함.

Advertising

Vision

Visibility

?

Social Media

Other Approaches

Other approaches

Product Launch

!

Outcomes

Staying on Top

Staying on top

Ev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