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와 죽음으로 독립을 외치다
- 3.1운동 전후 국내외에 많은 독립군 단체 형성
1) 국내 : 천마산대(1919) / 보합단, 구월산대
(1920) 등
2) 국외
- 서간도 : 서로군정서, 대한독립단, 광한단 등
- 북간도 : 국민회군, 대한독립군, 북로군정서 등
→ 국내로 진입하여 일본군과 교전,
관공서 파괴
1) 봉오동 전투
- 1920년 5월부터 일본의 독립군 소탕 시작
- 북간도 지역 독립군들이 연합, 봉오동에서
일본군과 교전해 승리를 거둠
2) 청산리 전투(청산리 대첩)
- ‘훈춘 사건’ : 일제에 매수된 만주 지역의
도적떼가 일본 영사관을 습격하고 일본인을
살해 → 이를 구실로 독립군을 소탕할 병력
파병
- 추격해 오는 일본군을 북간도의 독립군 연합
부대가 청산리 일대에서 격파
1) 신한촌 사건(4월 참변, 1920.4.)
- 러시아의 혁명을 막는다는 구실로 일본이 연해주
및 시베리아 일대에 파병
- 러시아군에 의한 일본군 및 민간인 습격에 대해
보복으로 러시아와 연계된 조선의 민간인 및 항일
지도자들을 학살
2) 간도 참변(1920.10. ~ 1921.4.)
- 청산리 전투에서 패배한 일본군이 보복을 위해
만주에 존재하는 한인 지역사회에 파괴, 약탈,
방화, 학살을 자행
- 간도 참변과 일제의 공격으로 어려워진 여러
독립군 부대가 만주와 소련 국경지대에 집결,
‘대한독립군단’을 조직 후 러시아 영토인
자유시(스보보드니)로 이동
- 독립군 내부의 주도권 분쟁으로 분열 +
러시아군의 무장해제 요구에 불응한 독립군
세력이 러시아군의 공격에 큰 피해를 입음
1) 3부의 성립
-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가 각각 설립
→ 한인 동포 사회를 다스리고 관리하면서 독립군
활동을 전개하는 자치 조직들
- 일제가 만주 지역 군벌과 ‘미쓰야 협정’을
체결, 독립군 소탕 및 색출을 공동으로 전개
2) 통합운동
- ‘민족 유일당 운동’ 전개
- 국민부(남만주)와 혁신의회(북만주)로 통합
→ 국민부는 ‘조선혁명당’, 혁신의회는 ‘한국독립당'
으로 계승됨
- 만주에서 김원봉, 윤세주 등을 중심으로 조직
- 친일파 처단 및 식민 통치 기구 파괴가 목적
- 무정부주의 성향, ‘조선혁명선언’을 강령으로
삼아 활동
- 단원들이 황푸 군관학교에서 군사훈련 이수,
1930년대에는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을 받아
‘조선 혁명 간부 학교’ 설립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어려움 + 일본군의 만주
침략 + ‘만보산 사건’ 등으로 인한 중국인들의
반한 감정 악화
→ 임시정부의 침체 극복을 위한 ‘한인애국단’의 결성
- 이봉창의 일본 천황 폭살 시도(1932.1.)와
윤봉길의 훙커우 공원 의거(1932.4.)를 통해
독립운동에 대한 중국인들의 인식 개선,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 획득
- 이후 일제의 감시가 심해지면서 임시정부는
상하이를 떠나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