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학년도 2학기 <문학치료>
치즈 달과 비스코티 (이유리)
쿠커
망상장애를 겪고 있음
과거의 환상으로 인해 가족에게 외면
'나'를 진심으로 이해하는 인물
'스콧'에 이어 '나'의 대화 상대가 됨='나'의 치유 과정
삶의 정상 궤도와 '비'정상 궤도에 관한 서사
작품 정리
내가 '정상적이지 않다'고 느끼지 말 것.
존재한다는 것은, 버텨냈고 이겨내고 있다는 것
'나'의 엄마
유명 패션잡지의 편집장
나(='마법의 선인장')
작품 정리
가장 영향력 있는 대한민국 여성 직업인
'정상 궤도'의 정점에 있는 인물
학습 활동
'서울 시민보다 많은 팔로워'를 지닌 인물
망상장애를 겪고 있음
망상장애를 겪는 비만 노총각 아들을 둔 것이 '흠'
작품감상
남과 다른 '나'(학습자 자기 자신) 성찰하기
결국, 이 작품은
'자아/타자에 대한 고정 관념(정상/비정상)'
변화를 촉구
존재 그 자체로 대하기
표면과 내면의 대비를 겪는 인물
point 1. 인물의 '비'정상적 궤도 양상
'정상'/'비'정상이라고 구별한 대상을 재정의하기
(인물, 상황, 사물, 현상 등)
'비'정상 궤도의 사람들
과거의 상처로 일상의 균열을 겪음
point 3. 과거의 상처와 현재 상태의 상관성
돌과 대화가 가능
궤도를 이탈했으나 그 궤도에서
스스로를 보존하고 있는 존재들
결말의 두 가지 해석
작품 정리
반려돌 '스콧'과 생활
나(='마법의 선인장')
정상 궤도, 그 압박과 불안감
유명 패션잡지의 편집장
'스콧'의 말소리가 더이상 들리지 않는 '나'
'나'를 제외한 타자를 '먹는 것'으로 지칭
인간은 누구나 과거의 깊은 상처를 품고 있고,
그렇기에 지금에 이를 수 있었다.
존재를 시간의 연속성 위에서 이해할 것
이상하다고 느껴지는 것들이,
'이상한 것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
정상과 비정상, 행복과 불행
생각거리
> 작품 속 현실로서, '나'의 치유 상태로 이해
나의 엄마
'나', '쿠커'
-미트볼 스파게티
-스콧
-요구르트젤리
-콩 통조림
'비'정상 궤도
정상 궤도
늘 '놀라거나 슬픈' 표정을 짓고 있음
자신의 존재를
다른 위치에 놓음으로써
'정상'인들이 욕망하는 것을 욕망하지 않음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
욕망하나, 해소하지 못하는 불안감을 지님
결말의 두 가지 해석
정상 궤도의 바깥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음
'비'정상을 배척
> 안정/태평
>'음식'은 나의 심리적 억압 해소
글쓰기 심리 치료의 결과물
> '소설 속 소설'로, '나'의 치료 과정으로 이해
"어느 쪽이 행복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