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content…
Transcript

Deutsche Literaturgeschichte

Aufklärung

1720-1790

Aufklärung

1720-1790

•17-18세기는 바로크 “계몽” 절대왕정 시대였으나 이웃 유럽국가들에서는 합리주의적 사고를 하는 계몽주의 시대가 시작됨

•종교의 형이상학보다는 과학적 경험

•봉건사회의 특권과 권위보다는 개인의 자유를 중시

•성직자와 귀족 중심사회에서 시민사회로 이행하기 시작

AUFKLÄRUNG

1720-1790

프로이센의 절대왕정

30년 전쟁 이후 국토가 황폐화 되고 연방국가의 분열이 심화

신성로마제국은 유명무실화되었고 제후국들의 독립적 지위가 강화 됨

30년 전쟁으로 인한 피해가 비교적 적었던 프로이센(호엔촐레른 가문)과 오스트리아(합스부르크 가문)가 독일 내의 강대국으로 부상

프리드리히 2세

(1740~1786)

"군주는 국가 제일의 공복(심부름꾼)이다"라는 말을 통해 계몽 전제 군주를 자처

관료제와 상비군제를 마련하고 행정-사법-교육제도를 개혁하여 근대화추진

국내 산업 육성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을 실시

계몽 전제 군주의 모델

경험론 철학자 존 로크

경험론 철학자 존 로크

“몸의 경험이 관념보다 앞선다. 인간은 선험적 이성을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백지 상태 tabula rasa’에서부터 시작한다. ”

국가는 개인의 생명, 재산, 자유를 보호해야 한다.” -> 사회계약설, 야경국가론

->명예혁명, 미국독립에 영향. 의회민주주의, 삼권분립 기초

합리론 철학자 데카르트

합리론 철학자 데카르트

•프랑스에서 네덜란드로 이주

•30년 전쟁 체험으로 진리에 대한 문제 의식을 가지게 됨

•“관념적 스콜라 철학이 혼란을 가중시킨다.”

•1663 갈릴레이 지동설이 위법 판결을 받자 실의에 빠짐

•<방법서설>(1637)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의심의 시대에 ‘사고의 방법’에 대한 원칙을 세움.

•인간은 동물과 다르다. 인간의 언어와 정신은 신의 완전성에서 온 것이다.

Gottfried Wilhelm Leibniz, 1646~1716

라이프니츠

•라이프니츠는 르네 데카르트, 바뤼흐 스피노자와 함께 17세기 최고의 3대 합리주의론자 중 한 명

•변신론 Theodizee (Theo신+Dike정의) “이 세계에 고통이 있는 이유는?”

•현재의 세계는 신이 완벽한 것처럼 모든 세계의 가능성 중에서 가장 좋은 세계일 것이다. 그러므로 세계에서 고통도 아마 필요한 것일 것이다.

•예정조화론 “시계(개별자)들은 서로 다르지만 하나의 동일한 시간을 가리키고 있다.”

•단자론 Monadenlehre “믿음과 이성도 서로 화해하고 존중해야 가장 좋은 세계가 될 것이다.”

G. E. Lessing

1729-1781

•연극이론가

•종교의 교조주의를 비판하고 종교적 관용을 주장한 계몽주의 극작가

G. E. Lessing

1729-1781

Nathan der weise

1777

Nathan der weise

1777

•주요 등장인물: 예루살렘의 유태인 갑부 나탄 Nathan, 이슬람 황제 살라딘 Saladin,나탄의 양녀 레하 Recha, 기독교 십자군 기사 Tempelherr.

•극의 끝 부분에서 나탄이 키운 양녀 레하를 화재에서 구한 십자군의 기사가 서로 친남매간이며 살라딘의 조카들이라는 사실이 밝혀짐

•이슬람 국가에서 유태인과 기독교인이 함께 삼.

•기독교인은 이슬람인을 화재에서 구출해주고 유태인은 이슬람 교도를 양자로 맞아들임

•황제의 종교 질문에 대한 나탄의 답변 “반지의 비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