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수술실 QI
수술은 외부에서 침습하는 치료방식
→불안감, 미지의 경험, 마취 후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 수술 후 오는 동통과 불편감,
신체상 변화
환자의 불안은 수술 후 회복과 전신 안녕감에 중요, 수술 후 만족도와 직결
→불안에 대한 간호 중재의 필요성이 강조
전신마취수술 기피하는 경향 증가 / 국소마취수술이 증가
→본원에서도 작년대비 경피적 신경성형술, 신경차단술과 같은 국소마취수술이 150%이상 증가
국소마취 수술환자에게 정서적 간호 중재가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수술 후 불안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 중재 방안으로 임상에 적극 활용하고자 QI주제로 선정하였다.
수술, 수술 후 지식결여
▶불안과 공포 가중
국소마취 수술의 불편감
▶의료인의 대화, 장비소음,
수술 중 동통 가능성
신체적 간호중재 업무에 치중
팀장 : 김다미 간호사
자문위원 : 배다현 마취과장
팀원 : 이성선 수간호사 (수술실 QI 총 관리)
양순희 간호사 (자료 수집)
문은지 간호사 (설문자료 개발)
이수진 간호사 ( 매뉴얼 작성)
정서적 간호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신체적 징후가 안정적이고 심리적
불안정도가 낮을 것임을 확인한다.
대상자 선정
수술 분류 및 환자 선정
평가기준
설문지 설정 및 환자
monitoring 측정
순위별 수술 정하기
국소마취 수술의 목록을 파악하여 정서적 간호중재가 필요한 3순위 수술을 선정한다.
- Kyphoplasty
- Percutaneous Epidural Neurolysis
(neuroplasty)
- Spinal nerve root block
2017년 건수 (2016년 대비 증가율)
PEN : 49건 (12.25배 ▲)
Kyphoplasty : 32건 (2.9배▲)
Nerve block : 112건 (32배▲)
대조군
15명
실험군
15명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
- 만 18세 이상 80세 이하의 성인 환자
- 의사소통이 충분히 가능한 자
monitoring을 통해 환자의 vital sign 측정
신체적 간호에 치중
외부요인
수술 시 의료진 대화, 장비소음
수술실 환경
자세하고 충분한 설명 부족
수술시 각성상태로 환자의 불안, 불편감 증가
내부요인
수술 시간 지연 시 동통 가능성
통증 및 합병증에 대한 두려움
대다수가 노인층으로
수술 설명의 이해가 어려움
표준화 위한 응대 매뉴얼 작성
안내문 및 설문지
대상자의 상태파악 및 기록
시술 안내문
*환자동의하에 촬영하였습니다.
STAI
- OP 후 불안수치 감소
실험군 불안수치 감소폭이 더 큼
활력징후 - 기본 V/S 차이
- 약물투여로 V/S 변화
정서적 간호중재가 환자의 불안 감소에 영향
설문조사 -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불안 수준
감소 폭이 큼
활력징후 - 안정됨을 확인
- 주관적인 요소의 객관화 어려움
- 수술 진행상황에 따른 활력징후 변화
- 대다수가 고령의 환자
- 그림이나 큰 글씨를 활용한 설문 평가지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