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2023학년도 1학기

<공무원국어> 어휘/의미론

어휘의 의미 관계

국어의 어휘

고유어 : 순우리말로 된 우리나라 고유의 말

어휘들의 의미 사이에서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 관계

가람, 하늘, 바다 등

유의, 반의, 상하, 동음이의, 다의 등의 관계

한자어: 중국을 통해 유입된 한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말.

또는 우리나라에서 만든 한자로 만들어진 말

강, 사고, 유리 등

상하 관계

유의 관계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에 포함되는 관계

상의어(상위어) / 하의어(하위어)로 구분

외래어: 외국과의 교류 과정에서 유입된 말로,

우리말로 인정되는 말

상의어로 갈수록 포괄적이고 일반적

하의어로 갈수록 한정적이고 개별적, 구체적 의미를 지님

상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은 상대성을 지님

ex. 얼굴-낯-안면 / 아버지-부친-춘부장

둘 이상의 단어가 소리는 다르면서 뜻이 비슷한 관계

버스, 라디오, 바나나, 샐러드 등

뜻은 비슷하나 단어의 성격 등이 다름.

그렇기 때문에, 유의관계라고 해서 모든 상황에서 바꾸어 쓸 수 있는 것은 아님.

반의 관계

그 외 : 혼합형 어휘

두 단어에서 다른 요소는 모두 공통되고,

오직 한 개의 요소만 다를 때 반의관계가 성립

ex. "아버지, 식사하세요" (O)

"부친, 식사하세요" (X)

ex. 할아버지 <-> 할머니 : '성별'의 의미요소만 대립

하나의 단어에 여러 개의 반의어가 있는 경우도 있다.

ex. 벗다 <-> 입다, 신다, 쓰다, 끼다

우리말에서 유의어가 발달한 이유

1. 고유어와 함께 쓰이는 한자어와 외래어

2. 높임법의 발달

3. 국어 순화를 위한 정책

4. 금기(taboo)때문에 생긴 어휘

정도 반의 / 상보 반의 / 방향 반의

동음이의 관계

의미 변화 양상

다의 관계

확대 : 왕 / 다리 / 영감 / 세수 / 지갑

두 가지 이상의 뜻을 가진 단어의 의미 관계

단어의 소리는 같으나(동음) 의미는 다른(이의) 관계

동음이의 관계에 있는 단어를 동음이의어라고 함.

축소 : 짐승 / 놈 / 계집 / 얼굴

맥락을 통해 의미 구별

중심 의미와 주변 의미로 구성

이동 : 어리다 / 어여쁘다 / 방송

발음의 길고 짧음으로 의미를 구별하기도 함

단어의 의미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