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동아시아

국가들의

내부 개혁과

국제 질서의

변화 (1)

~ 청-일 전쟁까지

중국의 각성 :

반외세 운동과 내부 개혁 (1851 ~ 1894)

중국의

상황

쇠퇴하는 청 왕조에 대한 반감,

서양 열강의 침입에 무너진 충격

태평천국 운동 지도자

'홍수전'

태평천국 운동

(1851 ~ 1864)

태평천국 운동

(1851 ~ 1864)

- 제 1차 아편전쟁의 비용 처리와 배상금 지불으로

인한 세금 부담 + 서양 열강 세력의 침투 본격화

- ‘홍수전’이라는 인물이 기독교 교리를 결합한 비밀

결사를 조직해 봉기 → 청 왕조 타도, 토지의 균등

분배, 남녀 평등 주장

- 백성들의 지지를 받으며 한때 난징(남경)을 중심으로

중국 본토를 상당 부분 점령

- 태평천국의 내분 및 청 왕조의 지방 세력과 서양

열강의 개입으로 인해 진압당함

중국 상인들로부터 지원금을 받아 조직된

서양인 + 중국인 용병 부대 '상승군'의 모습.

중국 최대 거물 정치인,

'이홍장' (1823 ~ 1901)

난징의 무기공장인

'금릉기기국'의 모습

양무운동

(1861 ~ 1894)

양무운동

(1861 ~ 1894)

- 이홍장, 증국번 등 지방의 유력 세력에 의해

주로 추진

- ‘중체서용'(중국의 체제 + 서양의 기술)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 군사력 강화와 산업

진흥에 초점

- 개혁 없는 기술 수용, 지역별로 개혁 추진

정도의 차이, 정부 보수파 등의 견제 →

청-일전쟁에서 일본에 패하면서 한계 노출

양무운동 당시 설립된 조선소,

'복주선정국'의 모습

조선의 개항 이후 :

개화의 시도와 격동의 한반도

조선의

상황

- 강화도 조약 이후의 개화 정책과

청나라-일본 사이에서의 줄타기

임오군란(1882)

왼쪽 3명이 별기군, 오른쪽은 구식 군인

임오군란

(1882)

- 강화도 조약 이후 정부의 개화 정책에 대한

불만 + 구식 군인에 대한 차별로 인해 발생

- 고종의 왕비인 민씨 세력 및 일본 공사관 습격,

도시의 하층민도 가담 → 흥선대원군이 사태

수습을 위해 일시 집권

- 민씨 세력의 요청을 받은 청나라 군대의 개입

- 일본과는 ‘제물포 조약’을 체결 → 일본 군대

주둔의 빌미를 제공

갑신정변(1884)

왼쪽부터

박영효, 서광범, 서재필, 김옥균.

갑신정변

(1884)

- 정부의 개화 정책 노선('동도서기' :

조선의 체제 + 서양의 기술)

→ 개혁 속도에 불만을 가진 급진

개화파가 일본 공사의 지원을 약속

받고 정변을 일으킴

- '14개의 개혁 정강'을 발표하고

정부를 구성하려 했으나

청나라 군대의 개입으로 실패

'집강소' 운영 모습을 이미지화

동학농민운동(1894)

동학농민운동

(1894)

- 농민층에 동학 확산 + 관리의 수탈에 저항 → '전봉준'이 전라도 일대를 중심으로 봉기

- 정부와의 협상을 통해 ‘집강소’를 중심으로

전라도 지역의 자치를 하기도 함

- 봉건적 제도와 외세의 개입에 대한 반대

- 청-일 전쟁 당시 개입한 일본군과 관군의

연합에 의해 진압당함

조선왕조 마지막 영의정,

김홍집의 사진

갑오개혁-을미개혁

(1894 ~ 1896)

갑오-을미개혁

(1894~1896)

- 청-일 전쟁 시작 직후 일본의 개입으로 인해 시작 →

김홍집 등 개화파 관료 중심

- 1차 갑오개혁 : 신분제 및 과거제 폐지, 과부의 재혼

허용 등

2차 갑오개혁 : 내각제 시행, 지방제도 개편, ‘홍범 14조’

및 ‘교육입국조서’ 반포 등

을미개혁 : 군제 개편, 단발령 실시, 태양력 사용 등

- 고종의 아관파천으로 인해 김홍집 내각이 무너지면서

종료

이타가키 다이스케

(1837 ~ 1919)

'민선의원설립건백서'

제출 주도 인물

일본의 근대 초기 :

신정부 수립과 근대화 개혁의 진행

일본의

상황

- 막부의 붕괴와 신정부 수립,

서구의 문물을 적극 수용한 개혁

존왕양이 운동과

막부의 붕괴

(1854 ~ 1867)

존왕양이 운동과

막부의 붕괴

(1854 ~ 1867)

- 개항에 찬성한 막부 vs 서양 세력의 유입을 반대

하면서 천황을 지지한 지방 유력 세력과 하급 무사

(존왕양이파)

- 존왕양이 세력이 서양 열강과 충돌 후 ‘막부에는

반대하되 개항에는 찬성’ 입장으로 변화

- 1867년 막부가 천황에게 권력을 반환(대정봉환)

하면서 막부가 700여 년만에 소멸

메이지 유신(1868 ~ )

메이지유신

(1868~)

- 새로운 정부가 구성되어 잔여 막부 세력

진압, 서구식 근대화 개혁을 단행

- 기존 행정구역인 ‘번’을 폐지하고 ‘현’을

설치, 신분제 폐지, 징병제 및 의무교육

도입 실시 등

- 군수 공업, 방직 공업 등 산업의 육성

왼쪽부터

기도 다카요시 / 야마구치 마스카 / 이와쿠라 도모미 / 이토 히로부미 /

오쿠보 도시미치

자유민권운동과

헌법의 제정

(1874 ~ 1889)

이타가키 다이스케

(1837 ~ 1919)

'민선의원설립건백서'

제출을 주도한 인물.

자유민권운동의 전개와

헌법 제정

(1874 ~ 1889)

- 권력에서 밀려난 지배층 및 부농층 등이 ‘민선의원설립건

백서’ 제출 → 메이지 정부 내 일부 세력의 권력 독점에

대해 비판 제기 및 의회 설립을 요구하는 운동 전개

- 정부에서 운동을 탄압하면서도 의회 제도는 수용 →

1889년에 ‘대일본제국 헌법’ 제정, 1890년에는 재산에

따른 제한 선거를 통해 일본제국 의회 구성

- 헌법에 천황의 인사권·전쟁 선포·조약 체결권 등을 명시,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

1894년,

동아시아 격동의 해

청-일전쟁

- 갑신정변 이후 조선에 대한 청나라의

내정 간섭 심화

- 한반도에 진출하고자 하던 일본의 계획과

충돌

- 한반도에서 동학농민운동이 발생, 조선의

정부가 청나라에 구원군을 요청

청-일 전쟁의 전개

청-일 전쟁의

전개

- 동학농민운동으로 조선이 청나라에 구원군 요구

→ 청나라의 구원군 파견에 일본도 연이어 출병

- 일본군의 경복궁 장악 직후 조선에 주둔 중이던

청나라 군대를 공격(풍도해전, 1894.7.)

- 평양 전투와 황해 해전(1894.9.) 승리 후 요동반도,

산둥반도까지 일본군이 진출

- 시모노세키 조약(1895.4.)을 체결하면서 전쟁 종결

청일 전쟁의

결과와 의의

청-일 전쟁의결과와 의의

- 일본은 청으로부터 요동 반도와 타이완 할양

약속받음 → 러시아, 프랑스, 독일의 견제로

요동 반도는 청나라에 반환(삼국간섭, 1895)

- 동아시아의 패권이 청나라에서 일본으로

옮겨가는 계기가 됨 → 중국을 중심으로 돌아

가던 동아시아 질서의 변화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