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Presented by PERSON for COMPANY

이 단원에서는

1. 분출하는 화산

▣ 세계 여러 곳의 화산을 관찰

▣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물질

1. 분출하는 화산

▣ 화산 활동 모형을 만들기

▣ 현무암과 화강암을 관찰하기

▣ 화산과 우리 생활과의 관계

▣ 백두산 연구

2. 흔들리는 땅

▣ 최근 발생한 지진을 조사하기

▣ 지진의 발생 원인

2. 흔들리는 땅

▣ 지진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

▣ 지진 연구 센터를 찾아서

1. 분출하는 화산

세계 여러 곳의 화산

▣ 세계 여러 곳의 화산 사진을 보고, 그 생김새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화산의 생김새가 다양함을 안다.

(과 92-93p, 실 48p)

세계 여러 곳의 화산

화산의 정의

▣ 화산이란

☞ 땅속 마그마가 지각의 틈을 통하여 지표로 나올 때 분출물이 쌓이면서 생긴 지형

화산의 정의

▣ 마그마란

☞ 땅속 깊은 곳에서 암석이 높은 열에 의하여 녹은 물질

▣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물질

☞ 화산 가스, 용암, 화산재나 화산 암석 조각 등

세계 여러 곳의 화산

세계의 화산

세계의 화산

관찰하기

세계 여러 곳의 화산

화산의 생김새

화산의 생김새와 특징

세계 여러 곳의 화산의 생김새

•산 정상이 움푹 파여 연못과 같이 물이 담긴 곳이 있다.(백록담)

•멀리서 보면 경사가 완만하다.

•산 정상이 움푹 파여 있다.(천지)

•산 정상에 물이 많이 있다.

•산 정상이 움푹 파여 있다.

•산 정상의 한쪽 면이 깎여 나간 것처럼 보인다.

•윗부분이 평평한 모양이다.

•연기가 뿜어져 나오고 있다.

•산의 경사가 급하다.

•산 정상이 깎여 있다.

화산의 특징

☞ 화산 꼭대기에 움푹 파인 곳이 있다.

☞ 화산 꼭대기에 움푹 파인 곳에 물이 고여 호수가 있는 곳이 있다.

화산의 특징

☞ 화산의 모양은 다양하다.

☞ 경사가 가파른 화산, 경사가 완만한 화산 등 화산의 모양은 각기 다르다.

▣ 화산을 관찰하며 느낀점 정리하기(실관 48p)

화산

▣ ( )은(는) 땅속 깊은 곳에서 마그마가 분출하여 생긴 지형으로 그 생김새가 매우 다양합니다.

마그마

1. ( )은(는) 땅속 깊은 곳에서 암석이 높은 열에 의하여 녹아 있는 물질이다.

2. 다음은 화산에 대한 설명입니다. 화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화산의 생김새는 모두 같다.

㉡ 화산의 생김새는 다양하다.

㉢ 백두산과 한라산은 모두 화산이다.

㉣ 분화구에 물이 고여 있는 화산도 있다.

㉡, ㉢

▣ 다음 시간에는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물질에 대해 알아봅니다.

▣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물질을 말할 수 있다.

▣ 고체 화산 분출물을 관찰하고, ​그 특징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물질

(과 94-95p, 실 49p)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물질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물질

화산분출물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물질

☞ 용암이 흐른다.

액체

용암

☞ 화산 주변에 산불이 일어난다.

☞ 먼지 같은 것이 나온다.

고체

화산재

☞ 연기가 나온다.

기체

화산가스

☞ 김이 나온다.

고체

☞ 돌덩어리가 날아온다.

화산암석 조각

화산 분출물 관찰결과 정리하기

회색,갈색

검은색,갈색

회색,흰색

검붉은색

고운 가루

처럼 보인다

둥글고 넙적

다양하다.

연기나 구름 같다.

녹은 초콜릿 쇳물 등

땅을

뒤덮는다.

크기가

다양하다.

계속

나온다

매우 뜨거울 것 같다.

화산 분출물 소개하기

▣ 화산 분출물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화산 분출물을 소개하는 글을 써 봅시다.

화산 분출물 소개하기

▣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고체, 액체, 기체 상태의 물질을 ( )(이)라고 합니다.

화산 분출물

1.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물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①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물질을 화산 분출물이라고 한다.

②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액체 상태의 물질을 용암이라고 한다.

③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기체 상태의 물질 대부분은 수증기이다.

④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액체 상태의 물질 대부분은 뜨거운 물이다.

⑤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고체 상태의 물질에는 화산재와 화산 암석 조각이 있다.

④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액체 상태의 물질 대부분은 뜨거운 물이다.

2.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물질과 상태를 옳게 짝지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① 용암 - 고체

② 화산재 - 기체

③ 수증기 - 액체

④ 화산 가스 - 액체

⑤ 화산 암석 조각 - 고체

⑤ 화산 암석 조각 - 고체

▣ 다음 시간에는 화산 활동 모형을 만들어 봅니다.

화산 활동 모형을 만들기

▣ 화산의 특징이 잘 나타나도록 화산 활동 모형을 만들 수 있다.

(과 96-97p, 실 50p)

준비물 : 찰흙, 색점토, 받침대, 식초, 베이킹소다

화산 활동 모형

▣ 화산이 분출하는 모습을 표현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지 생각해 봅시다.

만들고 싶은 화산 정하기

▣ 여러 화산을 관찰하고 만들고 싶은 화산과 그 까닭에 대하여 이야기해 봅시다.

화산 분출물 소개하기

▣ 화산 분출물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화산 분출물을 소개하는 글을 써 봅시다.

화산 분출물 소개하기

▣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고체, 액체, 기체 상태의 물질을 ( )(이)라고 합니다.

화산 분출물

1.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물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①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물질을 화산 분출물이라고 한다.

②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액체 상태의 물질을 용암이라고 한다.

③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기체 상태의 물질 대부분은 수증기이다.

④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액체 상태의 물질 대부분은 뜨거운 물이다.

⑤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고체 상태의 물질에는 화산재와 화산 암석 조각이 있다.

④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액체 상태의 물질 대부분은 뜨거운 물이다.

2.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물질과 상태를 옳게 짝지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① 용암 - 고체

② 화산재 - 기체

③ 수증기 - 액체

④ 화산 가스 - 액체

⑤ 화산 암석 조각 - 고체

⑤ 화산 암석 조각 - 고체

▣ 다음 시간에는 화산 활동 모형을 만들어 봅니다.

▣ 현무암과 화강암을 관찰하고,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현무암과 화강암의 생성 과정을 추리할 수 있다.

현무암과 화강암

(과 98-101p, 실 51p)

현무암과 화강암

현무암과 화강암의 특징

현무암과 화강암의

특징 관찰

현무암과 화강암의 특징 관찰

색깔

기타

알갱이 크기

촉감

현무암과 화강암의 특징 관찰

어두운색

(검은색 또는 진한 회색)

밝은색(회색)

알갱이의 종류가 여러 가지이며, 알갱이가 대체로 크다.

맨눈으로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매우 작다.

거칠거칠하다.

매끈한 부분도 있다.

거칠거칠하다

겉 표면에 크고 작은 구멍이 많이 뚫려 있는 것이 있고, 구멍이 없는 것도 있다

대체로 밝은 바탕에 검은 알갱이가 보인다.

알갱이가 반짝거린다.

현무암과 화강암 비교

현무암과 화강암의 같은 점과 다른 점

▣ 현무암과 화강암의 같은 점

☞ 암석 표면이 거칠거칠하다.

☞ 화산과 마그마의 활동으로 만들어진 암석이다.

▣ 현무암과 화강암의 다른 점

☞ 암석의 색깔이 다르다.

☞ 알갱이의 크기가 다르다.

☞ 구멍이 있고 없는 등 겉모양이 다르다.

암석 이름 알기

화강암

현무암

화강암

현무암과 화강암의 생성과정

▣ 현무암과 화강암이 만들어지는 위치를 알아봅시다.

현무암과 화강암의 생성과정

※ 화강암은 마그마가 땅속 깊은 곳에서 서서히 식어 굳어져서 알갱이가 큰 암석이다

※ 현무암은 마그마가 지표에서 빠르게 식어 굳어져서 알갱이가 작고, 화산이 분출할 때 가스 성분이 빠져나가 구멍이 생기기도 한다.

현무암

▣ 제주특별자치도에서 볼 수 있는 어두운색의 ( )과(와) 북한산에서 볼 수 있는 밝은색의 ( )은(는) 모두 화성암입니다.

화강암

학습 내용 평가

1. 현무암과 화강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골라 봅시다.

② 현무암은 화강암보다 알갱이의 크기가 작다.

① 현무암은 화강암보다 밝은색을 띤다.

② 현무암은 화강암보다 알갱이의 크기가 작다.

③ 현무암 중에는 표면에 구멍이 있는 것도 있다.

④ 현무암은 화강암보다 알갱이의 색깔이 다양하다.

⑤ 현무암은 밝은색 바탕에 검은색 점 같은 것이 있다.

③ 현무암 중에는 표면에 구멍이 있는 것도 있다.

2. 화강암과 현무암의 같은 점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① 암석의 색깔이 서로 같다.

② 지표 부근에서 만들어진다.

③ 암석 표면에 구멍이 뚫려 있다.

④ 화산과 마그마의 활동으로 만들어진다.

⑤ 암석의 모양이 다르고 알갱이의 크기가 서로 같다.

④ 화산과 마그마의 활동으로 만들어진다.

3. ( ) 안에 알맞은 낱말을 써넣어 봅시다.

알갱이

땅 속 깊은 곳

화강암은 ( )의 크기가 큰 것으로 보아 마그마가 ( )에서 서서히 식어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이다.

▣ 다음 시간에는 화산과 우리 생활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봅니다.

▣ 화산 활동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화산과 우리 생활의 관계

(과 102-103p, 실 52p)

화산과

우리 생활의 관계

최근의 화산활동

최근의

화산 활동 조사

2016. 2

농작물 피해, 열차 운해 중단 등, 인명피해 없음

사쿠라지마화산

(일본)

2015. 5

신 다케 화산

(일본)

일반적인 화산 피해, 인명피해 없음

칼부코 화산

(칠레)

2015. 5

농작물, 산불 등 큰 피해

온 다케 화산

(일본)

2014. 9

60여명의 인명피해와 실종자

농작물, 공항 폐쇄 등 인명피해는 없음

2011. 6

푸예우에 화산

(칠레)

화산과 우리 생활

화산 활동의 피해

화산 활동의 피해

☞ 집이나 농경지가 용암이나 화산재에 묻히고 인명피해가 발생함.

☞ 화산재가 햇빛을 가려 동식물에게 피해를 줌.

☞ 지진이나 산불, 산사태가 일어남.

☞ 바다에서 발생한 화산 활동은 해일을 일으키기도 함.

화산 활동의 이로움

화산 활동의 이로움

☞ 화산 활동으로 이루어진 특이한 지형을 관광지로 이용함.

☞ 화산 활동이 일어나는 주변에 온천이 많음.

☞ 땅속의 높은 열을 이용하여 지열 발전을 일으키기도 함.

☞ 지구 내부의 물질을 알 수 있음.

☞ 화산재가 주변의 땅을 비옥하게 만듦.

화산 생각 그물

▣ 화산 활동이 우리 생활에 주는 영향을 생각 그물로 나타내어 봅시다.

화산 생각그물

▣ 화산생각그물 완성하기(실관 52p)

피해

이로움

▣ 화산 활동은 우리에게 ( )만 주는 것이 아니라 ( )을(를) 주기도 합니다.

학습 내용 평가

1. 화산 활동이 주는 영향을 생각 그물로 나타낼 때 이로움의 항목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① 화재 발생

② 도로 파손

③ 인명 피해

④ 산사태 발생

⑤ 비옥한 농토

⑤ 비옥한 농토

학습 내용 평가

2. 다음 중에서 화산 활동에 의한 피해 사례를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① 지진이 발생하기도 한다.

② 산불이나 산사태가 일어나기도 한다.

③ 건물이 부서지고 농토가 용암에 묻힌다.

④ 온천이 많이 생기고 유명한 관광지가 된다.

⑤ 화산재가 주변을 덮어 사람과 동식물에게 피해를 입힌다.

④ 온천이 많이 생기고 유명한 관광지가 된다.

백두산 연구

▣ 다음 시간에는 최근 발생한 지진에 대해 알아봅니다.

2. 흔들리는 땅

2. 흔들리는 땅

최근 발생한 지진

▣ 최근 국내외에서 발생한 지진에 대하여 조사하고 발표할 수 있다.

(과 108-111p, 실 53p)

최근 발생한 지진

▣ 지진이 났을 때 어땠나요?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방법

▣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 [규모]라는 단위를 쓰는데 숫자가 클수록 큰 지진이다.

지진의 세기

☞ 지진이 일어날 때 방출되는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것

진원 바로 위의 지표면

☞ 진원의 깊이와 진앙의 거리, 진폭을 고려하여 계산한 값이다.

좌우로 흔들리는

최대 거리

지구 내부에서 지진파가

처음 발생한 장소

☞ 리히터(과학자)가 발표한 지진 규모 사용

최근 발생한 지진

최근 발생한 지진

▣ 지진학습지 정리하기(국내지진)

1. 2017년 1월 1일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에 지진은 몇 번 일어났나요?

☞ 90회

2. 지진의 규모가 첫 번째로 컸던 지진의 규모, 발생연월일, 발생지역을 쓰세요.

5.8

☞ 규모 :

☞ 발생연월일:

☞ 발생지역: 경북 ( )시 남남서쪽 8km 지역

2016. 9. 12.

경주

최근 발생한 지진

▣ 지진학습지 정리하기(국외 지진)

1. 2017년 1월 1일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에 지진은 몇 번 일어났나요?

☞ 27회

2. 지진의 규모가 첫 번째로 컸던 지진의 규모, 발생연월일, 발생지역을 쓰세요.

8.0

☞ 규모 :

☞ 발생연월일 :

☞ 발생지역 :

2017. 1. 22.

파푸아뉴기니 아라와 서북서쪽 36km 지역

3. 2017년에 지진이 가장 자주 발생한 나라는 어디입니까?

일본

규모에 따른 피해

지진계

160

120

1

수백

수천

20

환태평양 조산대

▣ 태평양을 둘러싸고 있는 약 40,000km 길이의 조산대로, 뉴질랜드에서부터 동남아, 일본, 알류산열도, 북아메리카 록키 산맥, 남아메리카 안데스산맥까지 이르는 말발굽 형태이다.

지구상의 지진과 화산활동의 대부분이 이 지역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 )' (Ring of Fire)라고도 불린다.

불의 고리

▣ 지진 조사하기 활동을 통하여 알게 된 점을 써 봅시다.

규모

▣ ( )은/는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숫자가 (클, 작을) 수록 강한 지진입니다.

학습 내용 평가

1. 다음은 신문 기사 일부를 나타낸 것입니다. 기사 내용 중에서 지진의 세기를 알 수 있는 부분을 찾아 써 봅시다.

2008년 5월 12일 오후 2시 중국 쓰촨 성에서 규모 8.0의 대지진이 발생하였습니다.

규모 8.0

학습 내용 평가

2. 지진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골라 봅시다.

② 우리나라에서도 지진은 발생한다.

① 규모가 같으면 피해 정도도 같다.

② 우리나라에서도 지진은 발생한다.

③ 규모가 작을수록 지진의 피해는 커진다.

④ 규모는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⑤ 규모 8.0보다 규모 4.0이 더 강한 지진이다.

④ 규모는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학습 내용 평가

3. 지진에 대하여 조사할 때 조사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① 지진의 규모

② 지진의 발생 위치

③ 지진의 발생 일시

④ 지진 발생 시 건물 색깔

⑤ 지진으로 인한 피해 정도

④ 지진 발생 시 건물 색깔

▣ 다음 시간에는 지진의발생 원인에 대해 알아봅니다.

지진의 발생 원인

▣ 지진의 발생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과 112-113p, 실관 54p)

준비물 : 지층사진, 우드록

지진의 발생 원인

지층이 휘어지고 끊어진 까닭

지층이 휘어지고

끊어진 까닭

▣ 지층이 휘어지거나 끊어진 까닭은 지구 내부에서 커다란 힘이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 지층이 끊어지면 땅이 흔들리게 된다. 이와 같이 땅이 흔들리는 것을 지진이라고 한다.

지진 발생 모형실험

지진 발생 모형실험

▣ 우드록의 양쪽 끝을 손으로 잡고 힘을 주어 휘어지게 해 보고, 휘어진 모습을 관찰하여 봅시다.

▣ 다시 우드록을 잡고 우드록이 끊어질 때까지 가운데 방향으로 밀어 봅시다.

▣ 우드록이 끊어질 때 손의 느낌을 이야기하여 봅시다.

모형실험과 실제지진

모형실험과 실제지진 비교하기

지층

지구 내부에서 작용하는 힘

지진

학습내용 정리

학습내용 정리

끊어질

▣ 지진은 지층이 (쌓일 , 끊어질 ) 때 발생합니다.

학습내용 정리

학습내용 평가

※ 사진은 우드록을 이용한 지진 발생 모형실험을 나타낸 것입니다. 물음에 답하여 봅시다. (1~3)

1. 실험에서 우드록이 끊어지는 ​순간 손의 느낌은 어떠할지 써 봅시다.

손에 약간의 떨림이 느껴진다.

학습내용 평가

2. 실험에서 우드록은 실제 자연 현상에서 무엇을 나타내는지 써 봅시다.

지층

학습내용 평가

3. 실험과 같은 원인 외에도 다양한 ​원인으로 지진이 발생합니다. 이에 해당하는 예 세 가지를 써 봅시다.

☞ 화산이 분출할 때

☞ 산사태가 날 때

☞ 지하 동굴이 붕괴할 때

▣ 다음 시간에는 지진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지진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

▣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의 대피 방법을 알고 대피할 수 있다.

(과 114-115p, 실관 55p)

지진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

지진 대비

지진! 이렇게 대비합니다.

▣ 집안에 안전한 대피 공간을 마련해 둡니다.

▣ 집안에서 떨어지기 쉬운 물건을 고정합니다.

▣ 평상시 위급한 상황에 대비합니다.

▣ 비상 용품을 준비하고 보관 장소를 알아둡니다.

▣ 지진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알아둡니다.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

지진 발생시

행동요령

지진 발생시

상황별 행동요령

지진 발생시 상황별 행동요령

지진 발생시

상황별 행동요령

지진 발생시 장소별 행동요령

지진 발생시 장소별 행동요령

지진 발생시 장소별 행동요령

지진 대비

대피 후에는 이렇게 행동합니다.

▣ 부상자를 살펴보고 즉시 구조 요청을 합니다.

▣ 주변 피해 상황에 따라 귀가 여부를 결정합니다.

▣ 가정이나 사무실로 돌아간 후에는 안전에 유의하여 주변을 확인합니다.

▣ 올바른 정보를 항상 확인합니다.

▣ 가스, 전기, 수도관 등의 피해를 체크합니다.

학습내용 정리

학습내용 정리

학습내용 평가

1. 지진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준비할 물건 세 가지를 써 봅시다.

비상식량, 식수, 옷, 손전등, 구급약품, 휴대용 라디오, 담요 등

학습내용 평가

2. 집 안에 있을 때 지진에 대처하는 방법 세 가지를 써 봅시다.

☞ 다친 곳이 없는지 살펴본다.

☞ 휴대용 라디오 등 방송을 통하여 상황을 살핀다.

☞ 여진에 철저히 대비한다.

▣ 다음 시간에는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고 확인해 봅니다.

지진연구센터

지진연구 센터를 찾아서

http://quake.kigam.re.kr/

4. 화산과 지진

단원 학습

내용 정리

분출하는 화산

흔들리는 땅

단원 평가

단원 평가

1. ( ) 안에 알맞은 낱말을 써넣어 봅시다.

화산

지진

2. 다음에서 설명하는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암석의 이름을 써 봅시다.

현무암

단원 평가

3. ( ) 안의 알맞은 낱말에 ◯ 표를 해 봅시다.

4.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물질과 그 물질의 상태를 선으로 연결하여 봅시다.

단원 평가

5. 현무암과 화강암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을 <보기>에서 골라 기호를 써 봅시다.

관찰

6. 다음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맷돌 사진을 보고 적은 것입니다. 적은 내용 중에서 관찰한 것은 ‘관찰’, 생각한 것은 ‘생각’이라고 써 봅시다.

관찰

생각

관찰

생각

단원 평가

7. 지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골라 봅시다.

① 규모가 같으면 피해의 정도도 같다.

② 규모 4.0보다 규모 8.0이 큰 지진이다.

③ 우리나라에서는 지진이 발생하지 않는다.

④ 규모는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⑤ 지진을 이용하여 지구 내부의 모습을 연구한다.

② 규모 4.0보다 규모 8.0이 큰 지진이다.

④ 규모는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⑤ 지진을 이용하여 지구 내부의 모습을 연구한다.

지층

8. 다음은 지진의 발생 원인을 알아보기 위한 모형실험에서 실제 자연 현상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지 써 봅시다.

지구 내부의 힘

지진

단원 평가

9. 지구에서 일어나고 있는 자연 현상 중에는 사람의 힘으로 막을 수 없는 것이 많습니다. 그 예로 화산과 지진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자연재해도 그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화산이나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써 봅시다.

☞ 화산과 지진 활동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뉴스 등을 본다.

☞ 무거운 물건을 높은 곳에 두지 않는다.

☞ 지진 발생에 대비하여 구급약품, 비상식량 등을 준비한다.

☞ 과학 공부를 열심히 해서 지질학자가 되어 지진 예보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