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화법의 종류

토론의 유형 2. 직파식 토론

토론의 유형 3. 반대 신문식 토론

찬성 측과 반대 측 각 두 사람씩 한 팀

서로의 논거를 직접 반박하여 깨트리는 방식

찬성 또는 반대의 입장에 있는 토론자에게

상대편 토론자가 질문하여 상대방의 논지를 반박

논제를 중심으로 논쟁적 주제들을 하나씩 밝혀가며

토론이 진행됨

상대편의 질문에 자신의 입장을 방어하지 못하면,

자신의 주장을 철회하는 형식

심판은 결론이 나왔다고 판단되면 토론을 중단하고

다음 주제로 넘어갈 수 있음

입론과 반론 모두 찬성 측이 먼저

토론

토론의 특징

토론이란?

규칙과 절차에 따라 진행

상반된 두 주장이 명확하게 대립

첫 발언, 마지막 발언은 찬성측 (원칙)

설득적 논쟁의 수단

합리적 의사 결정의 수단

대립하는 문제에 대해 찬성측 토론자와

반대측 토론자가 각각의 논거를 들어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고,

상대의 주장 및 논거가 부당함을 밝히는 화법

토론의 논거

논제

논거란?

: 주장을 뒷받침하는 내용.

주장의 타당성, 신뢰성, 적합성을 증명함

사실논거 / 의견논거

논제란?

=토론의 주제

논제의 종류

논박을 통해 최선의 결론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하나의 주장만을 포함하는 긍정 명제일 것

논제에는 한 편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정서적 표현 사용 X

사실 논제

: 사실의 진위 여부를 논하는 논제

ex. 강력한 음주 운전 단속은 사고 예방에 효과가 있다.

가치 논제

: 가치관이나 시각의 차이를 중요시하는 철학적 논제

ex. 환경의 개발보다 보존이 중요하다.

정책 논제

: 정책의 시행 여부를 논하는 논제

ex. 고등학교 의무 교육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토론의 유형 1. 고전적 토론

사회자의 역할

토론 배경과 논제 소개

찬성 측과 반대 측 각 두 사람씩 한 팀

서로 번갈아 가며 상대방의 주장에 대해 반박

규칙 소개 및 규칙 준수 당부

토론자 소개 및 보충적 질문, 요약

한쪽의 주장에 다른 편에서 그 주장의 맹점 지적

논점 정리

발언자의 발언 확인

입론과 반론이 끝나면 심판관 혹은 청중이 평가

중립성, 공평성, 공정성 유지

입론은 찬성 측이, 반론은 반대 측이 먼저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