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content…
Transcript

Deutsche Literaturgeschichte

Sturm und Drang

1765-1790

•18세기 후반 독일에서 일어난 문학 운동

•기존 질서와 관습, 도덕 질서에 저항해 개인의 해방과 독자성 추구

•문명발전에 회의적이고 자연상태를 중시

<= 루소의 영향(신분적 차별, 소유 문명등이 개입되지 않은 자연적 상태 옹호)

•합리적 이성만을 강조했던 계몽주의를 보완하는 운동 => 낭만주의적 성향

Sturm und Drang

1765-1790

베르테르의 자살

Die Leiden des jungen Werthers

이성의 힘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실연의 결과

인습과 편견이 지배하고 있던 당시 사회에 대한 강력한 저항

여전히 기독교가 지배적이고 계몽주의의 낙관적 사고 팽배해 있던 18세기에 자살이라는 테마는 당시 독자들에게 획기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짐

유럽 전역에서 폭발적인 반응

(모방자살, 베르테르의 조끼)

Klassik

1786-1805

•“클래스 Classicus” (최고의 계층)이라는 라틴어에서 유래

•초시간적인 것, 모범적인 것

•고대 그리스의 완성된 예술 양식, 형식, 언어

Klassik

1786-1805

역사적 배경

역사적 배경

•1789년 프랑스 혁명 이후 자코뱅당의 공포정치, 프랑스 나폴레옹 전쟁(1804-1812)에 대한 독일 지식인들의 대응 방식

•‘사회구조 혁명보다 인간의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독일 및 러시아의 농부들의 생각

•‘나폴레옹은 우리를 농노상태에서 벗어나게 할 민중 혁명가인가? 아니면 신의 기독교 질서를 파괴하는 악당인가

Immanuel Kant

•<순수이성비판> 인간은 감각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개념화 시키는 이성이 있음

•<실천이성비판> 인간은 인습이 아니라 윤리적 의지에 따라 행동할 수 있음

•<판단력비판> 인간은 아름다움에 대한 공감능력을 가지고 있음

KÖNNEN? SOLLEN? DÜRFEN?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칸트의 세가지 질문 방식

•인간은 무엇을 알 수 있는가? <순수이성비판>

우리는 사물 자체(Ding an sich)는 알 수가 없고 우리는 오직 현상만을 알 뿐이다.

•인간은 무엇을 행해야만 하는가? <실천이성비판>

인간의 행위는 오직 자신의 이성의 명령에 따를 때만 진정으로 자율적인 것이다.

•인간은 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 <판단력비판>

인간이 희망을 가져도 되는 근거는 이 세계가 아름답고 조화로운 합목적적인 질서를 가진 세계라는 사실이다.

위 세가지 명제 중에서

독일

고전주의

•독일고전주의는 위의 마지막 명제를 따른다.

•세계의 모든 것들은 최고로 좋은 조화로운 상태에 있다는 낙관론적 계몽주의의 신념에 따라, 진선미가 조화된 아름다운 인간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고전주의 인간은 진실을 추구하며 선을 실천하므로 아름다운 인간이다.”

Johann Wolfgang von Goethe

•Frankfurt am Main의 부르주아 가정에서 출생

•질풍노도에서 고전주의를 거쳐 낭만주의에 이르기까지 독일 문학의 개척자이자 완성자

•세계를 파우스트처럼 깊이 체험하여 비밀을 알고자 하며, 이와 동시에 과도한 주관성의 위험성을 잘 알고 있으므로 모든 사태를 이성을 통해서 전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함

•그러므로 봉건질서에 격정적으로 저항하는 주인공들은 모두 죽음을 맞음

인간의 미적교육에 관한 편지

Friedrich

von Schiller

•문제의 출발점:

- 프랑스 혁명 -> 계몽적 이상이라는 목표를 추구했지만 폭력이라는 부작용을 낳음

- 산업화 -> 물질적 번영을 낳았지만 분업체계로 인한 인간의 단편화와 기형화

•목표: 인간의 심성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고루 발달시켜야 한다. -> 전인교육

•고전주의 예술은 감각의 ‘소재충동’(감각, 현상, 무질서)과 이성의 ‘형식충동’(이념, 이데아, 경직성)의 편향성을 서로 견제하게 하는 ‘유희충동’(필연+자유)을 활성화 하는 방식으로 인간을 전인이 되게 한다.全人敎育

Europäischer Klassizismus

3국의 공통점:

격렬한 감정을 절제하여 표현하는 고전주의적 언어형식 개인은 파멸하고 신적인 사회질서가 재확립된다는 내용

•3국의 차이점:

•독일: 괴테의 주인공들은 이상을 가슴에 품고 추구하여 성취하며 <타우리스의 이피게니에>, 실패하더라도 미래를 낙관함 <에드몬트>, <파우스트>

•실러의 주인공들은 이상의 추구에 실패하더라도 이상을 추구함 <빌헬름 텔>, <마리 스튜워트>

•영국: 셰익스피어의 주인공들은 개인의 욕망을 추구하다가 실패하고 좌절하며 의심에 빠져 들다가 파멸함 <리어왕>, <맥베스>, <오텔로>, <햄릿>

•프랑스: 라신의 주인공들은 자신의 사회적 신분에서 벗어나는 순간 겉잡을 수 없는 두려움과 공포에 빠져들고 파멸함 <페드르>

Europäischer Klassizismus

1786-1805

16/17세기의 영국

셰익스피어 고전주의 시대

영국의

고전주의

•셰익스피어 1564-1616

역사적 배경

•엘리자베스 1세: 스페인 무적함대 격파하여 해외식민지 개척을 위한 해상권을 장악하고 엘리자베스 1세 1603년 사망, 45년간 재위하면서 절대주의 왕권을 확립

•스코트랜드의 제임스 6세가 잉글랜드의 왕위를 계승해서 제임스 1세로 등극하면서 잉글랜드, 스코트랜드, 웨일즈를 통합하여 대영제국Great Britain을 선포함

•봉건 체제에서 근대국가 체제로의 이행

•시민계급의 경제적 번영 속에서 상업극장 등 다양한 문화 산업의 번성

셰익스피어 4대 고전주의 비극

셰익스피어

4대 비극

•<햄릿> 1601 복수비극. 주인공 왕자의 인간상은 진실과 허위, 사색과 행동, 신념과 회의 등 진퇴양난의 틈바구니에서 고뇌한다.

•<오셀로> 1604 역시 이아고의 간계에 의해 백

인 아내에 대한 애정이 무참히 허물어진다.

•<리어왕>1605 은 늙은 왕이 세 딸의 효심을 시험하려다 내면의 우주적 질서의 붕괴를 체험한다.

•<맥베스>1606 는 순간적 권력욕망에 의해 고뇌에 빠지며 영혼이 망가진다.

셰익스피어극이 고전주의인 이유는?

셰익스피어 고전주의

•완성된 언어형식

•인간 내면의 탐구를 통한 인식이 있다.

•사회적 불안 속에서 인물의 무지를 통해서 자신의 무지를 인식하고 인물과 함께 죽는 카타르시스 체험을 통해 치유되면서 새로운 세계질서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깨닫게 된다.

•고전주의 언어형식이 불안한 사회의 무질서에 형식을 부여한다.

17세기의 프랑스

라신, 몰리에르 고전주의 시대

프랑스의

고전주의

•17세기 프랑스 고전주의 문학은 17세기초 데카르트의 논리적 사고 주체로서의 인간 이념(합리주의 정신)을 계승하여 18세기의 위대한 프랑스 계몽시대(siècle des Lumières) (볼테르, 장 자크 루소, 드니 디드로, 몽테스키)에 연결하는 가교 역할

•살롱 문화: 시민 지식인 계층의 사교 모임을 통해 출판업 발전(인물· 성격묘사, 회고록, 잠언집 등)

•'몰리에르의 언어 (la langue de Molière)’ 즉 극시의 시대

•신앙의 권위에 도전하는 이성의 시대

역사적 배경

•1598 앙리4세의 낭트 칙령 (‘위그노에게도 종교의 권리 인정’)은 프랑스 역사상 최초의 종교다원주의 실천

•1648 Westfallen 조약 체결 (30년 전쟁 종결)으로 유럽역사상 최초의 국가주권주의 실현 (Barock 전제군주시대)

•외교적 승리로 실익을 챙기고 나라를 통일함

•1661 루이 14세 등극, 대세기( le Grand Siècle) 즉 Hochklassik시대

•1685 퐁텐블로 칙령 (위그노교 불법화)으로 역사의 일시적 퇴행 , 경제 파탄

•1715 루이14세 사망

셰익스피어 4대 고전주의 비극

Molière

•<햄릿> 1601 복수비극. 주인공 왕자의 인간상은 진실과 허위, 사색과 행동, 신념과 회의 등 진퇴양난의 틈바구니에서 고뇌한다.

•<오셀로> 1604 역시 이아고의 간계에 의해 백

인 아내에 대한 애정이 무참히 허물어진다.

•<리어왕>1605 은 늙은 왕이 세 딸의 효심을 시험하려다 내면의 우주적 질서의 붕괴를 체험한다.

•<맥베스>1606 는 순간적 권력욕망에 의해 고뇌에 빠지며 영혼이 망가진다.

Jean Racine 1639-1699

Jean Racine

•완성된 언어형식

•인간 내면의 탐구를 통한 인식이 있다.

•사회적 불안 속에서 인물의 무지를 통해서 자신의 무지를 인식하고 인물과 함께 죽는 카타르시스 체험을 통해 치유되면서 새로운 세계질서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깨닫게 된다.

•고전주의 언어형식이 불안한 사회의 무질서에 형식을 부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