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2.상황과 대상에 맞게 표현하기

높임법 종류

각각의 높임 표현을 알아보자

(국어 PPT 발표)

FOR. 10305 김서현

Month DD, YYYY

높임표현의 종류

상대높임법

높임법의 종류

높임표현이란?

화자가 어떤 대상이나 상대의 높고 낮은 정도를 구별하여 표현하는 방법

주체높임법

높임법

객체높임법

높임법을 알아볼까요?

높임법? 알아보자

어간이란?

용언이 활용할 때에 변하지 않는 부분으로, '보다' , '보니' , '보고' 에서 '보-' 와 '먹다' , '먹으니' , '먹고' 에서 '먹-' 이 어간이다

주체 높임법이란?

선어말 어미란?

용언의 어간과 어말어미 사이에 나타나는 문법형태소의 총칭이다.

어간어미:

용언 맨뒤에 오는 어미

어말어미

선어말 어미:

어말 어미의 앞에 나타나는 어미

어미

선어말 어미

주체높임법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이다.

주체높임은 서술어의 어간에 선어말 어미 '-(으)시-'가 붙어 실현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밖에 '잡수시다',주무시다' 와 같이 높임의 뜻을 가진 특수 어희를 사용하거나, 주격 조사 '이/가'대신 '께서' 를 사용하기도 한다.

HOW?

주체높임법 어떻게 쓰일까?

할아버지께서

통다리구이를 잡수신다.

할아버지께서

책을 읽으신다.

(1) , (2) 번에서는 문장의 주어를 높이기 위해 높임의 주격조사 '께서'와, 선어말 어미 '-으(시)-', 특수어휘 '잡수시다'를 각각 사용하였다.

객체 높임법이란?

객체높임법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 즉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방법이다. 객체높임은 '뵈다, 여쭙다, 드리다'등과 같은 높임의 뜻을 가진 특수 어휘를 통해 실현 되며, 부사어의 경우 조사 '에게' 대신 '께'를 사용하기도 한다

HOW?

객체 높임법 어떻게 쓰일까?

손자가 할머니께 그림을 선물로 그려드렸다.

손자가 할아버지를 뵈러 갔다.

(1)에서는 목적어인 '할아버지'를 높이기 위해 '뵈다'라는 특수 어휘를 사용하였고, (2)에서는 부사어인 '할머니'를 높이기위해 조사 '께'와 특수어휘 '드리다'를 사용하였다.

잘못된 높임표현

사람들은 높임법의 원리를 모르고 일상생활에서 잘못된 높임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잘못된 높임 표현

(EX) 1

잘못된 높임표현 (1)

고객님

15800원

되시겠습니다~

(1)

'-시-'는 어떤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가 높임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물건 값이 주체가 되는 경우에는 이 말을 사용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물건값을 높이는 표현을 사용하였기에 잘못된 표현이다.

(EX) 2

잘못된 높임 표현 (2)

이 안경 고객님과

정말 잘 어울리세요!

(2)

'어울리세요'는 주체 높임에 사용되는 '-시-'가 쓰였음을 알 수 있다.

선어말 어미 '-시-'는 문장의 주체를 높일 때 사용하는 어미이다.

그런데 위 문장의 주체는 '고객님'이 아니라 '(이) 안경'이다.

그렇기에 이 높임 표현은 잘못된 표현이다.

감사합니다!

TANK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