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냉전 시대의 해체와 세계 질서의 변화 (1)

- 이념 대립의 시대가 무너지다

냉전 시대의 평화 모색

냉전 시대의

평화 모색

1) 1950 ~ 1960년대 초

- 미국에서는 극단적 반공주의인 '매카시즘'이

사회적으로 만연

- 소련의 스탈린 사망 후 흐루쇼프 집권

→ 스탈린의 지위 격하, 미국과의 미사일 경쟁

및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호 발사 / 서독과의

국교 회복 및 미국 방문

- 헝가리에서 공산주의 독재에 반대하는 봉기

발생, 소련의 강경 진압(1956)

- 베를린 장벽 건설, 쿠바 미사일 위기 등 냉전의

위기가 계속됨

2) 데탕트 시대

(1960년대 중반 ~ 1970년대 초)

데탕트 시대

- 소련에서 흐루쇼프 실각, 브레즈네프 집권

-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자유·민주화 운동 발생

('프라하의 봄'), WTO 연합군의 강제 진압

- 서독의 빌리 브란트 총리가 '동방 정책'을 통해

동독 및 동유럽 공산 국가들과 교류

- 미국 대통령 리처드 닉슨의 '닉슨 독트린' 발표

- 미국과 중공의 ‘미-중 공동선언’ 발표 및

소련과의 '전략무기제한협정(SALT)' 체결,

베트남에서 철군

3) 신냉전 시대

(1970년대 후반 ~ 1980년대 초)

신냉전 시대

- 아프가니스탄 내에서 내전 발생(1979)

→ 친 소련 정부군을 돕기 위해 소련 개입 vs

반군을 돕기 위한 서방 국가들의 지원

- 미국의 레이건 대통령 취임(1981)과

광범위한 전략 무기 개발을 통한

대 소련 압박 정책

공산권의 붕괴

공산권의

붕괴

1) 고르바초프의 집권

- 브레즈네프 집권 시대에 강화된

통제경제 체제 및 비대해진 관료제로

만성적 경제 불황

- 1985년 소련에 고르바초프가 집권,

개혁(페레스트로이카)·개방(글라스노스트)

정책 추진을 통해 시장 경제 도입 및 정치

민주화 추진

- 동유럽 국가들에 대한 불간섭 외교 정책

2) 독일의 통일

독일의

통일

- 동독 주민의 민주 개혁 요구, 증가,

동독 주민의 서독으로의 대거 탈출

- 베를린 장벽 붕괴(1989)

- 동독의 첫 자유 총선거 실시 및

독일 통일(1990)

동유럽 공산권의 붕괴

동유럽

공산권의

붕괴

- 폴란드 : 자유 총선거를 통해 '바웬사'가

이끄는 '자유 노조'가 승리, 비공산주의

정권 수립(1989)

- 헝가리 : 다당제와 의회 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헌법 제정(1989)

- 루마니아 : 공산 독재자 차우세스쿠의

처형(1989)

- 체코슬로바키아 : 극작가 출신 민주화운동가

'하벨'이 이끄는 '시민포럼' 중심으로 민주화

운동 전개, 하벨이 비공산당 출신으로

대통령 당선(1989)

소련의 해체

소련의

해체

- 고르바초프의 정책에 영향, 소련 내

공화국들의 독립 선포

- 고르바초프의 실각과 '보리스 옐친'의 집권

→ 독립국가 연합(CIS)이 출범하면서 소련

해체(1991)

- 옐친의 대통령 당선 이후 자본주의

시장 경제로의 급속한 전환 시도

중국의 개혁, 개방

중국의

개혁, 개방

1) 문화대혁명

- 대약진 운동의 실패로 인한 마오쩌둥의 정치

위기

- '홍위병'을 대거 동원, 류사오치와 덩샤오핑 등

실용적 경제 개혁을 추진하던 인물들을 숙청

- 마오쩌둥을 찬양하며 문화대혁명을 주도한

인물들인 '4인방'의 등장

- 봉건적 잔재를 없앤다는 명목 하에 지식인들에

대한 탄압, 전통문화의 파괴를 자행

2) 덩샤오핑의 집권

덩샤오핑의

집권

- 마오쩌둥 사후 ‘4인방’ 몰락, 덩샤오핑이

집권(1978)하여 개혁·개방 추진

- 시장 경제 도입, 외국 자본 유치, 선전·

주하이 등의 도시에 경제 특구 설치

- '남순강화'를 통한 개혁·개방 정책의

지속 의지 천명(1992)

3) (제 2차) 천안문 사태

천안문 사태

- 경제 발전에 따른 빈부격차의 심화와 물가의

상승, 민주화 요구 심화

- 1989년에 100만이 넘는 시민들이 천안문

광장에 모여 민주화 시위 진행

- 정부에서는 이를 반혁명 폭동으로 규정해

정규군을 동원하여 무차별 폭행 및 발포로

강제 해산시킴

- 이후 ‘일당독재 사회주의 체제’ + ‘경제적

개방 정책’의 원칙을 계속적으로 고수

4) 홍콩과 마카오의 반환

홍콩과

마카오의

반환

- 영국으로부터 홍콩 반환(1997),

포르투갈로부터 마카오 반환(1999)

→ 중국 영토 내의 특별 행정 구역으로

전환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