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과
20181076 최유신
20181070 여성은
1. 세계 최고의 스포츠 브랜드 1위 기업 WHY?
2. 마음을 사로잡은 차별적 마케팅
"광고의 화제성 뛰어나다"
"친숙한 브랜드"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렌드를 이끌다"
"업계 1위 유지"
"스포츠 브랜드"
"JUST DO IT"
"모델 캐퍼닉 30주년 기념광고"
"인종차별 공감광고"
"HERO 콘텐츠"
"스타 마케팅"
"노이즈 마케팅"
"조던 운동화"
"스토리텔링"
"소비자 직접 공략 전략"
"나이키 플러스 어플"
"주인공은 소비자"
빌 바우어만과 필 나이트는 1964년에 블루 리본 스포츠라는 이름으로 회사를 설립하고 일본 오니츠카 타이거사의 기능성 운동화를 들여와 미국 시장에서 판매.
(1) 나이키 정의 및 기원
나이키는 운동화, 운동복, 운동용품 등을 제작 · 판매하는 미국의 스포츠용품 브랜드.
빌 바우어만과 필 나이키는 1964년에 블루 리본 스포츠라는 이름으로 회사를 설립.
1972년 그리스 신화 속 승리의 여신인 니케(Nike)의 미국식 발음을 따 ‘나이키’로 브랜드 이름을 바꿈.
1972년 그리스 신화 속 승리의 여신인 니케(Nike)의 미국식 발음을 따 ‘나이키’로 브랜드 이름을 바꿨고, 1988년 이후부터 '저스트 두 잇(JUST DO IT)'이라는 마케팅 활동을 펼치며 세계적인 브랜드로 성장.
1. 기술력에 집중한 기능 혁신적 운동화
- 기술력에 의한 혁신적인 운동화를 제작하는데
집중한 것.
2. 확실한 목표설정
- 단순히 신발만드는 회사가 아닌 선수들의 경기능력 향상, 고객이 지향하는 목표 달성을 고려한 제품제작
4. 해외시장 맞춤 마케팅
- 미국시장이 아닌 해외시장의 개척을 위해 그들에게 맞는
마케팅방식을 취한 것.
- 창의력과 아이디어를 최고의 선으로 생각
- 개개인의 창의력 장려를 위해 개인의 자율보장
해주는 기업문화
- 나이키의 기업모토인 "There is finish line(결승선은 없다)" "Just do it(일단 한 번 해봐)"
문구는 직원 모두에게 진취적, 스포츠 마인드 심어줌
- 회사 전체 분위기는 실패의 두려움 보단 실수와 실패를 장려해 잠재력 발휘 + 반복된 실수 안하도록 격려함.
- NIKE를 거꾸로 읽으면 EKIN
- 소비자의 입장에서 월 1회 EKIN 회의를 통해
소비자의 요구를 생산단계, 서비스 단계에 반영.
- 나이키는 스포츠 경기종목의 경쟁력인
'스피드'처럼 빠르고 진취적임을 추구
- 유연성, 합리성, 기동성으로 글로벌 스탠다드를 이끔
"어플 마케팅"
"라이센싱 마케팅"
"JUST DO IT 마케팅"
"스타마케팅"
#나이키플러스 #NIKE+
#조깅#러닝# Bid Your Sweat!
#마이클조던#농구화
#타이거우즈#225억원 #우승
#박지성
#JUST DO IT
#콜린 캐퍼닉#시팅맨#무릎꿇기#우먼스#저스트두잇#박나래
#손흥민 #토트넘 #나이키
#스폰서#계약#2023년까지 #유니폼 후원
주고객층
Strengths(강점)
-브랜드 파워
-기존의 업체와 차별화 된 시스템
-강력한 마게팅전략
Weaknesses(약점)
-신발중심의 판매량
-아웃소싱에 의한 소비자의 나쁜 인식
Treats(위협)
-경쟁 업체인 아디다스, 퓨마의 빠른 성장
Opportunities(기회)
-제품의 다양화
-다양한 국적의 선수 후원을 통한 브랜드 세계화
Product(제품)
Price(가격)
최고의 기술을
모든 이들에게,
브랜드 및 모델 다양화
고품질 고가전략
Promotion(촉진)
Place(유통)
각 나라의 실정에 맞게
아웃소싱, 할인매장
광고, 세일,
세일즈 프로모션 및 진열
- 운동을 즐기는 운동선수들 & 운동마니아층
- 10대 ~ 3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 확보
- 패션의 관심도 < 편안한 제품
- BUT, 깔끔한 패션 디자인으로도 자리잡아 다양한 패션 선호하는 사람들
시대에 뒤떨어지지 않는 마케팅 방법에 대해서 생각
시장에서의 확실한 포지셔닝,
기존의 좋은 이미지에 대한 확고한 구축 및 약점 보완
아시아와 개도국시장의
진출-특히 중국시장, 각 주요 도시 집중 공략 전략
육상경기가 아닌 패션을 위한 스포츠화로 트렌드가 변화함에 따라 패스트패션 강화
1 기능적가치를 추구하자
2 정서적가치를 추구하자
3 영감적가치를 추구하자
Q&A
질문과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