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세계 시민과 세계 평화는 실현 가능한가?

3212 송민영

Global Citizens and World Peace

동양의 평화사상

유교

도덕성 회복, 인과 의 실현

도덕적 타락X

통치자

덕치와 인정 = 공동체 화합

부국강병X

서로 믿음으로써 사귀고 큰 나라가 작은 나라를

공격하면 곧 함께 그를 구해주고, 작은 나라의 성곽이 온전치 않으면 반드시 그것을 수리 해 줄 것이며

옷감이나 곡식이 모자라면 그것을 보내주고,

예물용 폐백이 부족하면 그것을 공급해 줄 것이다

<묵자의 평화사상>

(무차별적 사랑)

(이로움은 나누자)

Topic

  • 겸애교리 주장

  • 비공 주장

  • 침략전쟁X , 방어전O

"불살생"

(不殺生)

Topic

비폭력 실천 강조

도가의 평화사상

사회 혼란 원인?

인간의 그릇된 가치관

인위적 사회제도

에라스뮈스 (Erasmus)

"그리스도교 정신"

→ 사랑, 비폭력 강조

서양의 평화사상

전쟁 = 이익 < 손실

평화 = 인간 상호 간의 우애

→ 선의 근원

칸트 (Kant)

  • 평화 = 영구평화를 의미

  • 공화제 도입

  • 국제법 제정 → 평화연맹 관계

  • 전쟁 요인 제거

  • 타국의 내정 간섭X

자유-독립성 유지하고 있는 인격으로 대우

Topic

법적관계 맺기 = 국제법

연맹은 단 하나!

주권적 권력X 동료관계O

실현 될려면 = 평화연맹

제1항 모든 국가의 시민적 정치 체제는

공화정이어야 한다.

제2항 국제법은 자유로운 국가들의

연방체제에 기초해야 한다.

제3항 세계 시민법은 보편적 우호의

추구를 목표로 삼아야 한다.

일시적 방문권

<칸트의 영구 평화를 위한 확정 조항>

요한 갈퉁 (Galtung. J.)

직접적 폭력

간접적 폭력

구조적 폭력

문화적 폭력

국가안보 → 인간안보

세계 시민주의

세계 시민주의 (cosmopolitanism)?

  • 지역 정체성 인정

  • 인류의 보편적 가치

윤리 존중

콰메 앤터니 애피아 (Kwame Anthony Appiah)

마사 누스바움 (Nussbaum, M.C)

해외 원조 (international aid)?

롤스 (John Bordley Rawls)

싱어 (Peter Albert David Singer)

Wins/Losses

세계 시민주의 ( 국가 간 경계X )

국제주의 ( 사회 간 경계 )

공리주의 → 최대다수 최대행복

고통의 주 원인 = 정치, 제도

"입헌적 자유주의 사회"

절대적 빈곤 문제 해결

해외원조는 의무다

여러분은 해외 원조에 대한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나요?

with.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한 나라의 평화는 다른 나라가 평화가

아니면 보장되지 않습니다.

이 좁은 상호 결합한 세계에서는

전쟁도 자유도 평화도 모두 연대하고 있다.

-Jawaharlal Nehru, Pandit Jawaharlal Nehru

발표를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