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4. 공감과 이해의 듣기, 말하기

10609. 성가연

10617. 정지우

10619. 조은선

10620. 차민서

(3) 우리말의 담화관습

이해 1

이해

1. 이 글에서 말하고 있는 우리말의 담화 관습을 정리해보자.

가족과 공동체 중심의 담화 관습

가족과 공동체 중심의 담화 관습

- '나' 보다는 '우리'를 선호함.

- 혈연관계가 없음에도 가족 호칭으로 부름.

- 장점 : 인정이 넘치는 사회를 만듦.

- 단점 : 지나치게 타인의 삶에 간섭하거나 '우리' 안에 포함되지 않는 사람들을 향한 배타성을 강화함.

서열과 격식을 중시하는담화 관습

서열과 격식을 중시하는 담화 관습

- 대상을 높이는 어휘가 다양하게 발달함.

- 상대에 따라 높임의 방법이 달라짐.

- 장점 : 자신의 분수를 지켜 겸양과 공손을 유지하게 함.

- 단점 : 윗사람의 눈치를 보고 아랫사람을 무시하는 폐단을 낳음.

정서와 감정을 강조하는 담화 관습

정서와 감정을 강조하는 담화 관습

- 음식점이나 상점에서 고객을 '사장님, 사모님'으로 부름.

- 자신의 생각을 에둘러 표현할 때가 많음. (완곡어법을 씀.)

- 장점 :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어 인간관계에서 긴장감이 줄어들고, 서로 간에 곤란한 상황을 피하게 됨.

- 단점 :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하고, 불필요한 겉치레의 말로 여겨지기도 함.

말의 신중함을 강조하는 담화 관습

말의 신중함을 강조하는 담화 관습

- 말을 함부로 하지 말라거나 상황과 관련하여 적절하게 표현해야 한다는 속담이 많음.

- 장점 : 말을 신중하게 한다는 면에서 실수를 적게 할 수 있음.

- 단점 : 자신의 의견을 제대로 밝히지 못한다는 문제를 지님.

이해

이해 2

2. 담화 관습이 변화하는 이유를 생각해 보자.

담화 관습은 공동체의 사회, 문화적 환경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족 구조의 변화나 매체의 발달과 같이 사회, 문화적 환경이 달라지면 이에 따라 변화한다.

목표 1

목표

1. 다음 속담에 나타나는 담화 관습을 각각 파악해 보자.

속담 #1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뜻 : 아무도 안 듣는 데서라도 말을 조심해야 한다는 말.

담화 관습 : 말의 신중함을 강조한다.

속담

#2

백짓장도 맞들면 낫다.

뜻 : 쉬운 일이라도 협력하여 하면 훨씬 쉽다는 말.

담화 관습 : 개인보다는 가족과 공동체를 우선시한다.

속담

#3

찬물도 위아래가 있다.

뜻 : 무엇에나 순서가 있으니, 그 차례를 따라 해야 한다는 말.

담화 관습 : 서열과 격식을 중시한다.

목표 2

목표

2. 다음 글을 참고하여 일상생활에서 완곡한 표현으로 고치면 좋을 말을 찾아, 친구들과 함께 고쳐 보자.

지문

OO 시내버스에서 충전식 교통 카드를 사용할 때 "잔액이 부족합니다."라는 음성을 가끔 듣는다. 그러면 차에서 내려 충전을 하거나 현금을 찾아 지불해야 한다. 그러나 앞으로는 잔액이 2500원 이하로 남으면 "충전이 필요합니다."라는 안내가 먼저 나온다. 그쪽이 완곡할 뿐 아니라 민망한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한 시민의 아이디어를 OO시가 채택한 것이라고 한다.

- 동아일보 (2012. 12. 12)

활동

- 잔액이 부족합니다. -> 충전이 필요합니다.

- 잔디밭에 들어가지 마시오. -> 잔디가 아파해요.

- 밤 10시 이후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 모두의 조용하고 편안한 밤을 위해 소리를 줄여 주세요.

- CCTV 작동 중! 쓰레기 무단 투기시 고발 조치하겠음.

-> 당신의 양심이 지켜보고 있어요. (당신의 양심을 버리시겠습니까?)

- 에너지 절약을 위해 계단을 이용하시오.

-> 계단 오르기로 지구도 살리고, 몸도 살리고.

목표 3

목표

3. 다음 글을 읽고 옛날과 오늘날의 담화 관습을 비교해 보자.

지문

하루는 길동이 어미 침소에 가 울면서 아뢰었다.

[가] "소자가 모친과 더불어 전생연분이 중하여, 금세에 모자가 되었으니, 그 은혜가 지극하옵니다. 그러나 소자의 팔자가 기박하여 천한 몸이 되었으니 품은 한이 깊사옵니다. 장부가 세상에 살면서 남의 천대를 받음이 불가한지라, 소자는 자연히 설움을 억제하지 못하여 모친 슬하를 떠나려 하오니, 엎드려 바라건대 모친께서는 소자를 염려하지 마시고 귀체를 잘 돌보십시오."

그 어미가 듣고 나서 크게 놀라 말했다.

"재상가의 천생이 너뿐이 아닌데, 어찌 마음을 좁게 먹어 어미 간장을 태우느냐?"

길동이 대답했다.

"옛날, 장충의 아들 길산은 천생이지만 열세 살에 그 어미와 이별하고 운봉산에 들어가 도를 닦아 아름다운 이름을 후세에 전하였습니다. 소자도 그를 본받아 세상을 벗어나려 하오니, 모친은 안심하고 후일을 기다리십시오. 근간에 곡산댁의 눈치를 보니 상공의 사랑을 잃을까 하여 우리 모자를 원수같이 알고 있습니다. 큰 화를 입을까 하오니 모친께서는 소자가 나감을 염려하지 마십시오."

하니, 그 어머니 또한 슬퍼하더라.

- 허균, <홍길동전>

활동 #1

(1) [가]를 오늘날의 담화 관습에 맞게 고쳐 써 보자.

"전생의 인연으로 이번 생에 제가 어머니의 아들로 태어났으니 그 은혜가 더할 수 없이 크겠죠. 그러나 제 운이 나빠 천대받는 처지가 되니 원망스럽고 억울한 마음이 깊어집니다. 이렇게 남의 무시를 당하면서 세상을 살 수는 없어요. 그래서 저는 서러음을 참지 못하여 어머니의 곁을 떠나려 합니다. 어머니께서는 제 걱정 마시고 몸 건강히 잘 지내세요."

활동

#2

(2) (1)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옛날과 오늘날의 담화 관습의 차이점을 말해 보자.

옛날에는 자식이 부모에게 말할 때에 정중한 태도로 격식을 차려서 존대를 하였다. 그런데 오늘날에는 자식이 부모에게 말할 때에 존대를 하는 것은 마찬가지이지만 예전에 비해 부모와 자식 간의 거리감이 많이 줄어든 느낌이 든다.

적용

적용

다음 글을 읽고 매체 언어의 담화 관습을 알아보자.

지문

'밀당, 홧팅, 느끼버전'

인터넷에서나 접할 것 같은 표현이지만 방송 자막에 실제로 동장했거나 자주 쓰이고 있는 말들이다. 이처럼 인터넷이나 휴대 전화 문자 메시지에서 쓰이는 언어가 방송 프로그램의 자막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립 국어원 이OO 연구사는 "연예, 오락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하여 방송 자막에 인터넷이나 문자 메시지에서 쓰이는 표현이 많이 반영되고 있다." 라며 "방송과 신문 언어의 사회적 영향력이 막강했던 과거와 달리 컴퓨터 통신이 발달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예전에는 없었던 준말이나 의태어도 많이 등장한다." 라고 지적했다. 그는 "방송 자막이 인터넷 언어를 닮아가는 주원인은 연예, 오락 프로그램의 주 시청자가 10~20대라는 점"이라며 "방송 언어의 정체성을 수립하려면 방송 언어와 인터넷 언어의 관계를 면밀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온점을 찍지 않거나 문장 부호를 여러 개 겹쳐서 쓰는 것, 'ㅋㄷㅋㄷ'(키득키득) 등 초성 만으로 의태어를 나타내는 것, '부릅', '촐싹' 등 어기만으로 의성, 의태어를 적는 것, 문장 성분의 생략 등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 연합뉴스 (2010. 10. 11)

영상

활동 #1

(1) 방송 자막 언어의 문제점을 보여 주는 사례를 더 찾아보자.

- 한글 맞춤법에 어긋난 표기 : '어떻해', '꿈쩍도 않하던', '내면을 깊숙히 들여다보는'

- 줄임말, 신조어, 인터넷 언어 : '입덕', '아재력', '허접', '댕댕이', 'ㅋㅋㅋ', '띵곡'

- 불필요한 외국어 사용 : '분위기 UP', 'King of 대단', '마지막 밤 in 탄자니아'

활동 #2

(2) 방송 매체가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지향해야 하는 이유를 짧은 글로 써보자.

방송 매체는 인쇄 매체나 통신 매체와 달리 사용자가 가장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매체로, 그 파급 효과가 다른 매체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 매체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영향력 또한 크다. 방송 매체에서 맞춤법에 어긋난 표기, 불필요한 외래어나 외국어,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말들을 무분별하게 사용하면 매체를 접하는 시청자들의 언어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있다. 특히 연예, 오락 프로그램의 주 시청자가 10~20대인 것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의사소통 문화의 발전을 위해 방송 매체가 그 역할을 충실하게 해야 할 것이다.

감사합니다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