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온두라스: 90.4명

한국: 0.9명

북한: 5.3명

일본: 0.3명

베네수엘라: 53.7명

벨리즈: 44.7명

엘살바도르: 41.2명

출처: UN Global Study on Homicide 2013

출처: UN Global Study on Homicide 2013

시어스타워에서 바라본 시카고시

시카고학파가 본 범죄현상

교양으로 배우는 범죄학 제6강

사회현상으로서의 자살

  • 만약 범죄가 개인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한다면 왜 특정지역에 범죄가 집중되는가?

  • 지역사회의 구성원이 바뀐뒤에도 여전히 범죄율이 높은 것은 무슨 이유인가?

"자살 발생 건수를 조절하고 실제로 자살의 원인이 되는 것은 이러한 보편적 상황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러한 보편적 상황을 조사해야 하며, 개인의 의식 속에 이러한 보편적 상황이 반영된 것을 살펴보느라 시간을 허비할 필요는 없다.”

변화하는 사회와 흔들리는 인간들

여기는 시카고!

범죄를 유발하는 요인이 지역에 있다!

"사회적 도덕률은 어떤 상황에서는 자발적으로 죽는 것을 옳다고 가르친다. 그러므로 각 개인들에게는 일정량의 에너지를 가지고 사람들에게 자기 파멸을 재촉하는 집합체의 힘이 미치고 있는 셈이다. 첫 눈에 보아서는 단지 희생자의 개인적 기분을 표현할 뿐인 것처럼 보이는 행위가 실제로는 그것이 외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사회적 조건의 부수물이자 결과물일 뿐이다"

노성훈 교수

(그림출처: 위키피디아)

자료: 세계은행

소득불평등 지표 (2014)

에밀 뒤르껭

자본주의의 불균등한 발달로 인한 국제적, 국내적 경제불평등과 이로 인한 착취와 소외가 국가간 범죄율 차이의 원인

마르크스 세계체제이론

출처: 자살론

자살론 중에서

- 노버트 엘리아스 (Nobert Elias)

"사회가 복잡해지고 문명화되어감에 따라 폭력은 국가에 의해 독점되며 자기통제의 수준이 증가하여 대인폭력이 감소하게 된다"

문명화과정 이론

"기혼자는 미혼자보다 자살률이 낮다"

출처: 자살론

"프로테스탄트 사회는 가톨릭 사회보다 자살률이 높다"

출처: 자살론

"가족구성원이 많을수록 자살률이 감소한다."

출처: 자살론

30.9

26.1

6.9

6.0

12.0

11.8

도시생태이론

1920년대 시카고의 조직폭력 지도

(출처: OECD 국가와 비교한 한국의 인구집단별 자살률 동향과 정책제언, 보건복지포럼, 2013)

(출처: 자살론)

"이혼율이 높으면 기혼남자의 자살면역성이 감소한다"

출처: Eisner, M. (2001). Modernization, Self-Control and Lethal Violence

(출처: OECD 국가와 비교한 한국의 인구집단별 자살률 동향과 정책제언, 보건복지포럼, 2013)

버제스의 동심원모형

도시생태과정

(출처: 자살론)

하지만 여자의 경우는 반대!

이기적 자살

사회적 연대감의 약화, 개인주의의 강화

- '자살론' 중에서

내 작품이야.

뒤르껭은 틀렸다?

침입

“개인적 자아(individualistic self)가 사회적 자아(social self)에 아랑곳없이 사회적 자아를 짓밟으면서 과도하게 자아를 드러내는” 상황으로 인해 발생

(출처: 자살론)

"경제적 호황과 불황의 영향력이 가장 큰 공업과 상업부분의 자살율이 가장 높다"

갈등

전이지역

80.3

27.9

12.1

6.2

20.1

10.8

'자살론' 중에서

지배

사회계급의 하락과 욕구의 제한

알 카포네

(출처: OECD 국가와 비교한 한국의 인구집단별 자살률 동향과 정책제언, 보건복지포럼, 2013)

아노미적 자살

성 발렌타인데이 학살 (1929)

사회의 도덕적 규제 부재

욕구의 한계설정 불능

(출처: OECD 국가와 비교한 한국의 인구집단별 자살률 동향과 정책제언, 보건복지포럼, 2013)

“인간존재의 위대한 부분은 육체를 초월함으로써, 육체의 멍에를 벗어나는 대신 사회의 멍에를 지는 점이다.”

동화

뒤르껭의 관점에서 본 한국 사회의 자살문제 원인은?

인간의 무한한 욕망과 사회적 통제

급격한 사회변화와 아노미적 상태

갑작스런 경제적 위기

갑작스런 경제적 호황

사회분업론 (1893)

뒤르껭이 본 범죄

사회적 유사성의 총체

(totality of social likeness)

"사회적 병"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급격한 전환으로 인해 사회적 도덕규범과 규칙이 부재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

유기적 사회

Organic Society

  • 상호의존적

  • 다양한 기능과 가치

  • 고도의 노동분업화

  • 다양성에 기반한 사회적 유대

자료: 시카고대학교 도서관 (lib.uchicago.edu)

범죄는 필연적인 행동의 다양성에 기인

지나치게 엄격한 '집합의식'의 강제

9.4

10.2

1.8

5.2

4.8

4.2

아노미

사회변화의 과도기에 도덕규범의 영향력이 약화되어 사회의 다양한 기능 간의 상호작용을 제대로 통제할 수 없는 상태

"Crime is necessary."

"Crime is normal."

기계적 사회에서의 범죄

(출처: OECD 국가와 비교한 한국의 인구집단별 자살률 동향과 정책제언, 보건복지포럼, 2013)

범죄는 사회의 병이다

유기적 사회에서의 범죄

  • 도덕적 경계를 정한다

  • 구성원들의 결속력을 강화한다

  • 긴장해소 기능을 한다

  • 사회혁신 기능을 한다

범죄없는 사회는 병들었다.

(출처: OECD 국가와 비교한 한국의 인구집단별 자살률 동향과 정책제언, 보건복지포럼, 2013)

범죄없는 사회는 없다.

범죄는 필요하다

범죄는 정상적이다

기계적 사회

Mechanical Society

  • 자급자족형

  • 동질적 환경과 가치 공유

  • 낮은 수준의 노동분화

  • 획일성에 기반한 사회적 유대

(자료: 통계청)

10-17세 남자 소년범들의 거주지 분포

자료: 검찰청 범죄통계

인종과 국적 분포

거주기간 5년 이상 가구 분포

가족의 경제적 지위 수준

한국의 살인발생율

1920년대 시카고의 인종,민족 구성

한국 자살율 추세

IMF 외환위기

시카고의 살인율 발생 추세

쇼 & 맥캐이의 청소년비행연구

'비행지역'(Delinquency Areas, 1929)

  • 30년 동안 시카고 시의 소년범 기록 5만 6천건 분석

  • 소년범들의 거주지를 지도 위에 점으로 표시

시카고 맥주전쟁(1923-1928)

자료: 시카고대학교 도서관 (lib.uchicago.edu)

자료: Chicago Crime Scene Project

결혼기간 15년 이상 가구 분포

빈집 분포

흑인인구 분포

소년법원에 의뢰된 10-16세 남자 소년 주거지(인구 100명 당 비율, 1927-1933)

자료: 시카고대학교 도서관 (lib.uchicago.edu)

정신분열증 발병율 분포

쇼 & 맥케이 연구결과

  • 전이지역의 비행발생율이 가장 높음

  • 거주 인종, 민족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높은 범죄율 유지

  • 주거불안정성, 인종적 이질성, 낮은 경제수준 등의 지역적 특징

사회해체

social disorganization

원인

개인의 행동에 미치는 사회규칙의 영향력이 감소하는 현상

지표

자료: 시카고대학교 도서관 (lib.uchicago.edu)

  • 대립하고 갈등적인 도덕적 가치의 공존
  • 다른 민족집단들 간의 갈등관계
  • 가난
  • 민족적 이질성
  • 주거불안정성

사회적 자본

(social capital)

시카고 지역 프로젝트

(Chicago Area Project)

출처: 사회적 자본의 국제비교, 직업과 인력개발, 2007

네트워크, 규범, 신뢰와 같이 상호이익을 위해서 행동하고 협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조직의 특성

지역사회 대표를 중심으로 한 청소년 비행 예방 프로그램

  • 일반화된 신뢰

  • 사회적 규범의식

  • 시민적 참여 정도
  • 지역사회의 리소스 통합적 활용

  • 청소년 프로그램 운영

로버트 샘슨의 '집합효능성'연구

사회해체: 지역사회가 공통의 가치를 깨닫지 못하는 상태

범죄증가

사회적 자본 약화

구조적 문제

집합효능성

지역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고자 하는 지역주민의 능동적 의지와 역량

출처: 사회적 자본의 국제비교,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강한 지역사회

(Strong Community)

미국 최초의 대규모 지역사회 기반 아동학대예방 프로그램

'강한 지역사회' 개입수준

정리

사회적 실증주의

  • 사회적 병으로서의 범죄

  • 비정상적 사회조건에 대한 정상인들의 정상적 반응으로서의 범죄

아노미 이론

급격한 사회변동으로 인한 사회도덕의 붕괴

사회해체이론

다인종, 민족적 가치와 문화의 유입으로 인한 갈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