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동아시아 갈등과 국제 평화

(교과서 249~255쪽)

Date 1

남북 분단의 배경

- 미국과 소련의 대립과 냉전체제 속 남북 분단

- 6.25 전쟁으로 적대감 심화

→ 분단 고착화

남북분단

통일의 필요성

- 이산가족의 고통 해소

- 민족 동질성 회복으로 민족 공동체 역량 극대화

- 통일 후 거주, 직업 등 선택의 기회 증가

- 남북 단일 시장으로 경제 활성화

- 북한의 노동력, 남한의 기술력 결합으로

국제 경쟁력 향상

- 유라시아 대륙과 태평양을 연결하는 역할 가능

-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을 해소하고 평화 정착

통일의 필요성

동아시아 역사 갈등

일본 - 역사 교과서 왜곡 등

중국 - 동북공정

동아시아 역사 갈등

세계 속의 우리나라

- 6.25로 인해 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현재 세계 10위권 경제 대국으로 성장

- K-방역, K-Pop 등 세계로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중

세계 속의

우리나라

국제 평화를 위한

우리의 노력

국제 평화를 위한

우리의 노력

- 국제 분쟁지역에 평화 유지군 파견

- UN 인권 이사회 활동

- 개발도상국 지원

- 재난 입은 국가에 긴급 구호 물품 제공

- 개인과 민간단체가 국제 비정부기구에 참여

반전 및 평화 운동 등 다양한 활동

- 동북아 평화 구축을 위해 노력

남북 간 화해 분위기 조성

중국, 일본의 역사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