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오늘 주제

조손가정등

어린이 청소년 노인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

Add as many notes as you need

정의와 규모

조손 가정이란?

다양한 용어들

조부모 손자녀세대, 조부모-손자녀 가족,

조손가족, 조손세대, 조부모가구

편/양 조부모가 부모를 대신해서 (미성년) 손자녀를 양육하는 가정.

부모는 사망했을 수도 있고,

생존했을 수도 있으나 자녀 양육의 역할을 하지 않는다

조손의 성격

일반적으로 간접적

조부모 - 부모 - 조손자녀

조손 가정의 경우 직접적

조부모 - 조손자녀

조손 가정의 현황

전체 인구 대비 이들의 수는 크지 않지만, 증가 추세이다.

2010년 이후 정부의 통계 조사가 없음.

도시와 농촌

조손 가정의 72.7%가 도시에 거주

한편,

조손 가정의 비율은 농촌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옴. 농촌인구가 적어서

기간

흔히 양육비 지원없이 10년이상 장기적으로 양육

조손 가정의 발생 원인

과거에도 존재 - 사망, 전쟁, 기타의 원인

현대 - 사망(21%), 이혼(14%), 가출(7%) - 남명숙 연구

이혼(52.7%), 부사망*모부재(28.6%), 부모사망(6.3%) -류재중*조미아 연구

부모의 이혼 (35-52.7%)

부모 중 1인 사망 (12-21.9%)

맞벌이, 실직, 빚 (10% 미만)

사고 및 질병 (5% 미만) - 옥경희 연구

이슈들

조부모들이 직면한 이슈들

경제적 어려움 - 2016년 월평균 근로소득 56만원, 월평균 총소득 96만원

근로자 가구 소득의 1/5에 미치지 못 함

신체적 어려움 - 노년기, 신체 기능 저하 및 퇴화

한편, 미성년 손자녀를 돌보아야 해서 부모와 같은 활동이 필요

심리적 어려움 - 양육 책임감, 외로움, 소진감

갈등

분개, 죄책감, 좌절감, 피로감, 외로움, 덫에 걸린 느낌

사회 관계적 어려움 - 손자녀와의 세대차 및 훈육의 문화차이

자녀와의 관계 악화

조부모가 자신의 사회적 관계에 소홀해 질 수 있음/양육의 책임으로

손자녀들이 직면한 이슈들

경제적 어려움 - 의식주를 충분히 해결하기 힘든 상태로

또래 친구들이 하는 것 중에 못 하는 것이 많음

심리적 어려움 - 부모의 부재로 인한 허탈감, 두려움, 당혹감, 분노 -> 정서, 행동으로 표출

낮은 인지적 능력, 낮은 자아 존중감

사회관계적 어려움 - 낮은 사회적 능력, 또래의 비웃음, 사회 적응의 어려움

(물론, 모두가 위의 내용을 모두 경험하는 것은 아님)

조부모 -손자녀의 관계

아래의 질문에 적잖은 영향을 받는다.

조부모가 얼마나 건강한가?

조부모의 경제력이 어느 정도인가?

홑조부모인가? 아니면 양조부모인가?

손자녀의 정서와 행동이 얼마나 건강한가?

손자녀의 나이가 무엇인가?

친손자녀인가? 아니면 외손자녀인가?

복합적 이슈

노인 복지 문제와 아동 복지 문제가 결합되어 있다.

서로에게 지지하는 관계가 될 수 있고

서로의 어려움을 더 가중하는 관계가 될 수 있다.

문제 해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정부와 사회의 지원?

경제적 지원, 그나마 이것도 충분하지 않다. 월평균 96만원

정부 차원? 제도 개선, 법 정비

조부모, 손자녀 관련 부서가 다르다. 따라서 조손 가정 대책이 종합적이지 않다.

조부모가 손자녀를 돌보지만, 사회적/법적으로는 손자녀가 조부모를 돌본다?

과연 교회 차원에서는 어떻게 이 문제를 도울 수 있을까?

토론!

청소년

청소년 이슈

요즘 청소년들의 고민은?

요즘 청소년 문제는?

청소년기가 중요한 이유?

그런데,

가정, 학교, 사회가 이들을 지지해 주지 못 한다면, ...

교회는 ...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

노인

노령 인구 현황

2016년 현재, 65세 이상 인구 678만명 (전체 인구의 13.6%)

65세 인구가 전체 인구의 7%이상 고령화 사회

14%이상 고령 사회

20%이상 초고령 사회

1인 가구의 24%가 고령자 가구 - 외로움, 고독사

OECD에 따르면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 빈곤율(중위 소득의 50% 미만인 비율)도 2013년 49.6%, OECD 평균 노인 빈곤율(11.4%, 2012년 기준)

가난 - 과거와 현대에 끼인 세대

외로움, 아픔

교회는 어떻게?

기존에는 노인대학, 식사, 야유회 등이 주를 이루고

수년 전부터 노인요양원을 운영하는 기독교인들이 많다.

영과 육을 어떻게 돌볼 것인가?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