옳고 그름의 기준
윤리의 문제
다른 공리주의로는 규칙 공리주의
옳은 행위와 그른 행위를 구분해주는 궁극적 기준은 무엇인가?
공리주의와 의무주의의 기계적 결합이 아닌
화학적 결합을 위한 제3의 창조적 관점은?
1. 문제 설정
행위
1
문제 설정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
도덕적으로
그른 행위
구조, 봉사, 정직
살인, 도둑질, 거짓말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와 그른 행위를 구분해주는 것은 무엇인가?
어떤 행위를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이게끔 하는 것은 무엇인가?
모 재벌가 가족이 직원에게 한 행위는 도덕적으로 잘못되었다.
히틀러의 반유대주의적 행위는 도덕적으로 잘못되었다.
모 재벌가의 가족이 고용한 직원에게 무고하게 폭력, 폭언, 모욕을 행했다.
히틀러의 반유대주의적 행위는 육백만 명의 죽음을 야기했다.
최강 주차 빌런 등장!
- 이 차 운전자의 주차 행위는 도덕적으로 잘못되었다.
주차 공간을 혼자 4칸 독점하는 행위는 도덕적으로 잘못되었다.
혼자 주차 공간 4칸 독점
이러한 도덕 규범은 무슨 근거로 참인가?
1. 우리에게는 옳고 그름을 바로 판별하는
도덕적 직관이 있는데, 바로 이 직관이 바로 알려준다.
2. 무엇이 옳은지를 판단할 때 우리가 의지하는 상위의 도덕 원칙이 있는데,
바로 이 원칙에 부합한다.
덕 있는 사람
- 원칙적으로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가 되려면
-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행위여야
- '좋은 의도'에서 비롯된 행위여야
어떤 사람을
도덕적 품성을 갖춘 사람이게끔
하는 것은 무엇인가?
2
영화 보기
2. 영화 보기
<범죄와 비행>, 1989, 우디 앨런
Crimes and Misdemeanors
벤(처남2, 랍비) 레스터(처남1, PD) 웬디(처) 클리프(PD)
범죄와 비행
- 불륜을 저지르는 유망한 안과의사 주다 로젠탈과 무능력한 다큐 프로듀서 클리프 스턴
- 비행(misdemeanor): 주다와 클리프의 불륜 (클리프, 이혼)
- 범죄(crime): 주다의 애인 살해 청부 (주다, 결혼 유지)
- 두 사람이 랍비 벤(유대인 주다의 환자, 클리프의 둘째 처남) 딸의 결혼식에서 만남
주다의 살인 청부,
그리고 클리프와 주다의 불륜은
왜 도덕적으로
크고 작은 잘못인가?
3. 결과주의(consequentialism)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행위가 바람직한 행위
?
공리주의(utilitarianism)
3
결과주의
1) 선택할 수 있는 모든 대안 행위 열거
2) 각 대안 행위가 가져올 행복의 총량(공리) 추산
3) 가장 큰 공리를 낳는 행위 선택
- 공리주의 : '쾌락', 그리고 '고통에서 해방'
- desire를 충족시키는 것 => desirable
- J. S. Mill의 공리의 원칙(the principle of utility)
- “한 행위는 행복을 가져오는 정도에 비례하여 옭은 행위가 되며, 그 반대를 가져오는 정도에 비례해 그른 행위가 된다.”
- 어떤 행복?
- Mill: 감각적 쾌락보다 높은 차원의 쾌락이 있다.
- “만족스러운 돼지보다는 불만족스러운 인간이 되는 것이 더 낫고, 만족한 바보보다는 불만족한 소크라테스가 되는 게 더 낫다.”
- 누구의 행복? 나?, 타인?, 인간 모두? 생명체 모두?
돌로레스가 뺏긴 행복, 그의 가족이 받을 고통이 주다가 얻을 이익보다 크다.
- 더 큰 공리를 낳을 대안이 있었다.
- 아내에게 고백
- 협박만 한다.
-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 등
공리주의의 평가
공리주의의 문제점
공리주의 이론의 특징
공리주의
평가
1) 권리(rights)의 문제
-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 침해를 정당화
- 더 큰 행복 위해 돌로레스의 생명권도 침해 가능
2) 부정의(injustice)의 문제
- 고른 배분, 소수 희생 고려 않음
- 행복의 총량 최대화가 최우선.
- 다수를 위해 소수 희생 가능
- 결과가 수단을 정당화
3) 전지(omniscience)의 문제
- 먼 미래까지 우리는 계산할 수 있는가?
- 공리주의가 장기적 행복을 목적으로 한다면
행복 계산 시 얼마만큼 먼 미래까지 고려?
1. 일반적 윤리 이론이 될 수 있음
2. 평등주의적
3. 행복의 총량을 측정할 수 있다고 가정
한 도시를 몰살시킬 핵폭탄의 위치를
실토하도록 하기 위해
폭탄 테러범 앞에서 아무 것도 모르는
그의 어린 자식을
고문해도 좋은가?
4. Trolley Problem
2
1
- NO! 사람을 '죽이는' 것이 '죽게 내버려두는' 것보다 더 나쁘다?
4
Trolley Problem
- No! 사람의 생명을 수단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
공리에 따라 판단?
1. 레버를 밀어 한 명 쪽으로 방향을 돌려야 한다?
2. 트롤리가 멈추도록 뚱뚱한 사람을 육교 아래로
밀어뜨려야 한다?
3. 레버를 밀면 1명 죽는 대신 5명이 살고,
안 밀면 5명이 죽는 대신 1명이 산다.
어느 쪽이든 한 쪽의 희생이 불가피하므로
레버를 밀어 한 명쪽으로 가게 해야 한다?
4. 레버를 밀어 한 명을 희생하고 멈추게 해야 한다?
5. 한 사람이 죽겠지만 레버를 밀어 차단물이 있는
쪽으로 방향을 돌려야 한다?
공리주의보다 우선하는 이 도덕 원칙은 어디서 비롯?
4
5
3
7
6
6. 레버를 밀어 회전판을 돌리고, 한 명과 다섯명의 위치가 바뀌게 하여, 한쪽이 다른 쪽을 살려주도록 한다.한다.
7. 레버를 한 단계 밀면 우회해 다섯 명을 뒤쪽에서 치고, 두 단계 밀면 우회해 한 명을 치고 멈춘다. 그러므로 레버를 두 단계 민다.
의무주의(deontology)
5. 비결과주의
(Nonconsequentialism)
from Greek: deon(obligation, duty) + logos(study)
cf. teleology
칸트
- 행위의 도덕적 올바름을 결정하는 유일한 요소는 행위의 결과가 아니라 행위의 의도
- 좋은 의도로 이루어진 행위라야 올바른 행위
5
비결과주의
마땅히 해야 할 것
좋은 의도란?
주다의 행위가 나쁜 이유
- 왜 그렇게 행동했어?
- (X) 좋은 결과를 낳으니까,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니까, 나를 기쁘게 하니까...
- (O) 그게 내 의무니까(내가 마땅히 해야 할 것이니까)
- 보편화 가능하지 않는(남들도 모두 따르라고 요구할 수 없는) 원칙에 따라 행위가 이루어졌기 때문
- 주다의 행위의 기반이 된 원칙
- “어떤 사람이 내 삶을 위태롭게 한다면 나는 그를 죽여도 좋다.”
- 이것은 보편화 불가능한 원칙
- 다른 한편으로 보면
- 인간 돌로레스를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간주했기 때문에 주다의 행위는 비도덕적
우리의 의무, 즉 우리가 마땅히 해야할 것은?
- 마땅히 "나의 행위는 보편적 입법의 원리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인간의 행위는 어떤 준칙에 입각해 이루어지는데, 그 준칙은 마땅히
"남들도 모두 따르라고 내가 당당히 요구할 수 있는 그러한 것이어야 한다."
- '보편적 입법의 원리에 따라 행위해야 한다'는 우리의 의무를 다하겠다는
오직 그 의도에서 비롯된 행위
- '감정적 끌림'(욕망)이 아니라 '이성적 의무'(의지)가 동기가 되어 이루어진 행위
- 보편적 입법의 원리에 따라 행위하게 되면
- “모든 인간을 어떤 경우에든 하나의 목적으로만 대우하고, ... 결코 수단으로 대하지 않는다.”
그 밖의 비결과주의
신의 명령 이론(divine command theory)
- (주다의 아버지 솔)
- 신의 뜻을 따르는 행위가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
- but, 신의 뜻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문제
그 밖의
비결과주의
유신론적 자연법 이론
- 신이 이 세계의 자연적 질서에 내장시켜 둔 도덕적 질서(자연법)에 따르는 행위가 올바른 행위
- (벤)이 말하는 도덕적 구조,
- "이 도덕적 구조 덕분에 인생은 의미 있고, 용서가 가능하며, 우리의 마음은 더 고상해진다."
- but 이러한 도덕적 구조에 대한 의견 합치가 가능?
무신론적 자연법 이론
- 선악은 신이 아니라, 자연 자체의 기능과 목적 속에 깃들어 있다.
- 유학의 이기론
- but 자연 자체의 기능과 목적은 무엇?
칸트 의무주의의
평가
칸트 의무주의
평가
- 따라야할 행위 준칙이 무엇인지 판단할 기준 제시
- "보법적 입법의 원리에 맞는 것"
- 신의 생각이나 의도, 모호한 자연의 법칙 등에 호소할 필요 없음
- 왜 보편적 입법의 원리에 맞는 준칙에 따라야 하는가?
- 도덕이 성립하려면 우리 행위가 자유로워야 하며,
우리 행위가 자유로우려면 그 행위가 나에게서 비롯되어야 하며
나에게서 비롯되려면 나의 이성의 자율적 의지가 그 동기가 되어야 함
- 나의 이성적 의지가 아니면 남는 것은 내 몸에서 비롯되는 욕구인데,
욕구가 동기일 경우 그 행위는 물리적 인과에 따른 기계적 반응에 불과
- 이성의 자율적 의지가 동기가 되는 행위려면
- 그 동기는 성격은 의무의 꼴이 될 수밖에 없고,
- 왜냐하면 이성은 '마땅히 해야 할 것'을 명령하는 내면의 목소리므로
- 그 동기의 형식은 무조건적 명령(정언명령)'의 형태일 수밖에 없고
- 왜냐하면 가언명령일 경우 어떤 조건에 묶여 이뤄지는 행위, 즉 자유롭지 않은 행위가 되어 버리므로
- 찾을 수 있는 정언명령은 오직 "보편적 입법의 원리에 따라 행위하라."밖에 없음
정언 명령: Categorical Imperatives
가언 명령: hypothetical imperatives
ex) 자선을 베풀라! <--> 불의에 눈 감지 말라!
- 인간의 '자유'에 대한 그의 독특한 형이상학적 견해가 부담
- 자유를 가능케 하는 이성적 의지란 것이 정말 인간에게 있는지?
- 보편적 입법의 원리는 도덕 규칙을 확정하는 데 충분할까?
- 온갖 특수한 상황에 맞는 보편적 도덕 규칙을 일률적으로 찾아내는 데 이 원리로 충분?
- 또 이 원리에 부합하는 규칙 둘이 서로 상충할 경우는?
- 보편적 입법의 원리에 부합하는 준칙을 판별하는 기준 불분명
- 모두가 했을 때 나쁜 결과가 나오면 부합 않는 것? 결과로 판단하면 결과주의. x
- 모두가 했을 때 모순에 도달하면 부합 않는 것? o. 모순의 의미는? 논리적 모순? 불합리?
- 결과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 도덕관은 비현실적
- 보편적 입법의 원리에 따르면 어떤 경우에도 거짓말해서는 안 되므로, "살인하려는 자에게조차도 거짓말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결론 도출
- 도덕에는 행위의 자유가, 행위의 자유에는 이성의 자율적 의지 발휘가 필수
- "왜 의무가 행위의 동기가 되어야 하는가?"
- 의무 동기만이 이성의 자율적 의지가 발휘된 동기
- 의무가 아니면 남는 것은 욕구인데, 욕구가 동기일 경우
그 행위는 동물도 하는 기계적, 본능적 반응에 불과
- "보법적 입법의 원리를 따르는 것이 왜 의무인가?"
- 자율적 의지가 가능하려면 도덕 법칙이 스스로에게서 비롯되어야 하고
- 스스로에게서 비롯되려면 그 법칙은 조건적 명령이 아니라, 무조건적, 정언적 명령의 형태여야 하는데
- 정언적 도덕 법칙으로 가능한 것은 "보편적 입법의 원리를 따라 행위하라는 것" 뿐
옳고 그름을 판단할 어떤 객관적 기준도 없다?
6. 도덕 회의주의
도덕 허무주의
도덕 상대주의
2. 도덕적 판단은 참/거짓의 대상이 아니라, 호오의 표현이거나 폐기 대상일 뿐
1. 도덕적 판단은 단지 우연적으로 참일 뿐
그 시기에
6
도덕 회의주의?
- emotivism
- 어떤 행위가 그르다고 하는 도덕적 판단은 단지 그 행위가 “싫다”거나 “구역질난다”고 하는 등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일 뿐.
- 도덕적 판단의 역할은 행위의 권고
- 도덕적 판단은 참/거짓을 말할 수 없는 것. 침묵해야 할 것(비트겐슈타인)
- 선/악의 이름으로 자행되는 외적, 내적 억압과 폭력에 경종
- 니체(도덕의 계보, 선악을 넘어서)
- 선악은 약자의 Ressentiment(원한 감정)에 기원하는 노예의 가치 체계
- 독수리를 악으로 낙인찍음으로써 자신이 선한 존재가 된다는 양의 해석학
- 독수리만 따라하지 않으면 선? 그렇다면 독수리에 대적할 힘을 키우는 것은?
- 선악은 초인되기의 방해물
- 좋은 것을 고양시키거나 강자로 상향평준화하지 않고, 약자로 햐향평준화 하는 장치
- 어떤 보편적 기준도 없다.
- 문화마다 도덕적 기준이 상이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
- 그것은 개인에 상대적이거나(도덕적 주관주의)
문화에 상대적일 뿐 (문화적 도덕 상대주의)
- 트라시마코스: “힘이 곧 정의다”
- 힘을 지닌자에 따라 상대적
- 마르크스: 도덕은 지배계급의 존속을 위한 이데올로기
- 경제적, 물질적 하부구조에 의해 결정되는 상부구조 중 하나
한 문화가 야만을 넘어 존립하기 위해
얼마만큼의 도덕이 필요?
- 인류 역사의 진보는 도덕의 권위와 역할이 약화되는 과정
- 도덕이 지닌 억압적, 권력편향적, 하향지향적 기능이 긍정적 기능을 압도
- 모든 문화의 심층에는 공통된 도덕적 기준이 존재
- 또 사회적, 문화적 삶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절대적으로 준수해야 할 도덕이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