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흥사단전국청년위원회*사회혁신해봄협동조합

inside-out

2019123017002200_서울하우징랩

contents

Intro

오늘의 흐름

0. Icebreaking

1-1. intro / '대역의폭' 소개

1-2. 역량확인하기_대역의폭

1-3. 그룹별 역량워크샵

0. 쉬는시간

2-1. '내면의 현, 충성심' 설명

2-2. 조직진단워크샵_내면의 현

2-3. 방해요소찾기워크샵_충성심

0. 리뷰/평가/공지

feat. 아표

Inside-out?

Intro

duction

Ice-Breaking

feat. 라밍

Ice

breaking

그림

일기

쓰기

Capability-finding

Part 1. 역량찾기

capability

1. 이론

  • 평생개발의 관점_Lifelong Development
  • 역량개발의 단계_Level of Capability
  • 빙산모형
  • 역량공식_E=MC2

2. 역량확인하기_대역의 폭

  • 역량개발 단계별 정리_Level of Capability

3. 그룹별 워크샵

  • 평생개발의 관점에서 나의 역량

VUCA 시대

  • Competency : 경쟁우위
  • Capability : 절대역량
  • 경쟁우위에서 절대역량으로

역량에 관한 4가지 이론

  • 평생개발의 관점_Lifelong Development
  • 역량개발의 단계_Level of Capability
  • 역량공식_E=MC2
  • 빙산모형

평생개발의 관점

  • 정지단계 : 0~15년 / 자아정체성, 사회인식, 영혼형성
  • 과업의 기초 단계 : 16년~26년 / 기초역량 축적
  • 초기 과업 단계 : 5년 ~ 12년 / 역량 실험과 피드백
  • 중기 과업 단계 : 8년 ~ 14년 / 역량 시스템화
  • 후기 과업 단계 : 12년 / 마스터피스 완성
  • 회상 단계 : 다른사람에게 과업 전수
  • 우리의 경험을 관리해야 한다
  • 우리의 경험할 것들을 계획해야 한다

Level of Capability

역량의 단계 feat. William Howell

1

무의식적 무능

  • 첫번째 단계로 무능력을 알지 못하는 상태
  • 무의식의 영역의 그동안의 경험이 잠재됨
  • 특별한 '기회'가 없는 한 계속 무의식에 거류
  • 필요하다고 느끼지 않은 상황

4

무의식적 능력

  • 특별히 의식을 기울이지 않아도 능력발휘
  • 무의식적으로도 최대한의 역량발휘 상태
  • 멀티테스킹 가능영역
  • 다른 사람에게 가르칠 수 있는 단계

2

의식적 무능력

  • 두번째 단계로 무능력한 것을 인지한 상태
  • 의식의 영역에서 필요성을 인지함
  • 잠재영역에서 가능영역으로 꺼내는 단계
  • 개발을 시작한 시점일 수도 있음
  • 특별한 동기에 의해서 시작됨

3

의식적 능력

  • 의식적으로 능력을 가지게 된 상태
  • 계속해서 의식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과정
  • 의식을 해야만 할 수 있는 성장단계
  • 1만시간의 법칙, 티핑포인트 도래 전

역량확인하기_대역의 폭

1. 자신의 보고서에 자신의 역량을 빈칸에 채워넣어주세요.

2. 역량중에서 '역량의 단계'별로 자신의 역량을 배열해주세요.

3. 아래 그래프와 같이 1~4까지 자신의 역량을 배열해주세요.

4. 4에 가까울 수록 다른 사람에게 알려줄 수 있는 역량입니다.

5. 평생개발의 관점 + 역량의 단계에서 자신의 역량을 그려보세요.

조별토론

1

자신의 역량중에 의식은 하는데 아직 개발하고 있지 못하는 것들이 있나요?

(의식적 무능력)

2

자신의 역량중에 현재 개발하고 있는 것들이 있나요?

있다면 시작하게 된 이유가 있나요?

(의식적 능력)

3

자신의 역량중에 앞으로 개발하고 싶은 역량이 있나요? (미래역량)

평생개발의 관점에서 역량관리하기

Take a break

10 min

Value & Belief

Part 2. '내면의 현' 찾기

Value

Belief

1. 이론

  • 역량공식_E=MC2
  • 빙산모형

3. 조직진단

  • 조직의 가치와 신념, 나의 가치와 신념 확인하기

조직에서 여러분들의 역량이

성장하는데 방해하는 요소가 있을까요? (10')

역량공식

  • Empowerment = Mastery*(Organizaitonal Capability*Individual Capability)
  • 능력 = 숙련도*(조직역량*개인역량)

빙산모형

  • 인간 마음에 관한 연구
  • 조직과 개인의 관한 연결고리
  • 능력은 가치와 신념에서, 가치와 신념은 정체성에서
  • 자신의 가치와 조직의 가치가 맞을 때 내면의 현이 울린다
  • 자신의 신념과 조직의 신념이 맞을 때 내면의 현이 울린다

조직진단하기_조별토론

1. 여러분이 속한 조직의 가치,신념과 자신의 가치,신념이 맞는 부분은 무엇인가요?

2. 반대로 맞지 않은 부분은 무엇인가요?

3. 맞지 않을 때 어떤 감정, 기분이 드나요? 맞을 때는 어떤가요?

싱크로가 맞지 않을 때 내면의 현이 울리지 않는다

Identity

part 3. '충성심' 찾기

Identity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3그룹

1. 동료colleague : 현재 자신이 속한 조직에서 업무적으로 연결관계가 있는 상사나 동료, 부하직원이나 위원회 회원등을 말한다.

2. 공동체community : 현재 가족 구성원, 친구들, 업무 외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는 사회적, 정치적, 종교적 단체들을 말한다.

3. 선대ancestor : 자신의 성별, 종교, 인종, 민족적이고 지역적인 뿌리를 형성해준 과거의 사람들이나 존경하는 할아버지나 부모님, 자신의 인생에 큰 영향을 미친 선생님등, 당신의 세계관을 형성해준 사람들을 이야기한다.

조별토론

1. 나에게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그룹은 어디인가요?(동료/공동체/선대 중)

2. 자신이 속한 조직에서 자신에게 가장 업무적 영향을 많이 미치는 그룹은 누구인가요?

(상사/동기 및 동료/후배)

3. 내가 속한 조직에서 자신이 가장 많이 관심을 갖고 책임을 지는 그룹은 누구인가요? 왜 그런가요?

  • 우리에게 영향력을 주는 그룹과 정체성이 연결된다
  • 연결된 정체성에서 가치와 신념이 나오고, 역량을 개발할 내면의 현이 울린다

Outro

Outro

  • 평생개발경험관리를 통한 자기관리
  • 역량의 4가지 단계
  • 빙산모형 / 역량공식(E=mc2)

피드백

  • 5글자로 표현하기
  • '개그하지마' 이런식으로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