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Who we are?

정보사회의 이해

Place your

logo here

뉴미디어론

2019 인터넷 이용 현황

2022년 2학기

교수 개요

교수 개요 및 목표

교수 개요

담당교수: 김경호

강의실: 사과대 2112

수업시간: 화 3, 수 6-7교시

연구실전화: 754-2944

E-MAIL: kimgyongho@hotmail.com

교수 개요

-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과 이로 인한 사회환경의 변화에 대한 전반적 이해

-인터넷 미디어, 위성방송,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SNS 등 각각의 매체의 성격과 특성 이해

교수 개요

-지식산업시대 인공지능(AI)의 발달과 영향력, 그리고 그로 인한 사회 변화에 대한 이해

교수 개요

-위의 이슈들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과 논의를 진행한다.

교수 개요

교수 개요

교재 및 참고 도서

-김경호(강의), 2019 뉴미디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리딩패킷)

강의 방법

-강의방법 및 학습제언

학습 주제에 관한 조별 발표와 토론이 이루어진다.

자세한 내용은 추후 논의.

학습 평가

-학습 평가

  • 중간시험 25%(미확정)
  • 기말시험 25%
  • 발표 및 토론참여 40%
  • 출석 10% 

강의 계획

주별 강의 계획

1. 강의 오리엔테이션

2. 미디어 발달사,

미디어와 인간커뮤니케이션의 역사

3. 멀티미디어의 기원과 발전

뉴미디어의 특성과 사회의 변화 

강의 계획

4. 정보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

  • 기술수용모델
  • 혁신확산이론
  • 뉴미디어의 이용과 채택이론

5. 디지털 미디어와 인터넷

6. 가상현실 저널리즘

온라인 저널리즘

강의 계획

7. 포털과 미디어 콘텐츠

8. 중간시험

9. 소셜 미디어,

소셜커뮤니케이션

10. 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 등

11. 모바일 미디어, 휴대전화

강의 계획

12. 인공지능(AI)과 사회변화,

그리고 당신이 바라는 미래

13. 인공지능과 저널리즘

14. 정보사회에 대한 낙관론과

비관론

강의 계획

15. 보강 주

16. 기말시험

강의 계획

정보사회의 이해

OUR AUDIENCE

OUR REACH

멀티미디어의 구성요소와 발전

구성요소: 고속 정보망, 단말장치, 정보의 내용

발전: 하이퍼미디어의 등장, 광 매체의 등장,

영상 압축 기술의 발전, 멀티미디어 PC,

Information Superhighway

멀티미디어와 전통미디어의 차이점

  • 매체간의 융합(영상, 통신, 컴퓨터)
  •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
  • 방대한 양의 정보
  • 매체의 on-demand화

멀티미디어 수용자 특성

  • 경제적 능력을 갖추었다.
  • 학력수준이 비교적 높다.
  • 비교적 능동적이다.
  • 젊은 연령층이 주류를 이룬다.
  • 다양하고 전문화된 취향을 갖고 있다.
  • 단순한 정보보다 연쇄적인 정보에 관심을 갖고 관련정보를 지속적으로 추적한다.

Title

통신과 방송의 융합

융합(Convergence)의 개념:

종전에는 별개의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전달되던 내용이 하나의 매체로 전달 되거나, 한 매체에 의해 전달되던 내용이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과정이나 현상

Title

융합의 유형

-기술과 기기의 융합

  • AM/FM, VHF/UHF
  • 프린터/전화/복사기/팩스/스캐너

-산업과 서비스(기업)의 융합

  • 방송산업과 통신서비스(홈쇼핑)
  • 케이블과 통신사업

-네트웍의 융합

  • 유선과 무선 네트웍의 융합
  • 케이블TV와 초고속 인터넷 망
  • 위성과 케이블TV
  • 전력선을 통한 정보 송신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의한 서비스의 예

  • VOD(Video on Demand)
  • 위성방송
  • 인터넷 방송
  • IPTV

Title

망 융합으로 인한 파급효과

  • 방송망과 통신망 구분의 불명확
  • 망의 공유, 경쟁, 통합
  • 방송과 통신 서비스 구분의 불분명
  • 방송사업자와 통신사업자 구분의 불분명
  • 정보의 축적, 처리, 전달 능력의 증대 (정보의 가치 증대)
  • 기술발전으로 인한 사회 하부구조의

변화가 상부구조의 변화를 초래한다

Title

Title

뉴미디어와 관련된 커뮤니케이션 이론

마샬 멕루한

Ages of Civilization: Tribal(종족, 군집, 촌락)

구텐베르그(개인주의, 교육) v.

Electric Age(Global Village 지구촌)

Media as Extensions of Senses(감각의 연장)

영화, TV - 눈과 귀의 연장

컴퓨터 - 중추신경의 연장

Explosion(팽창) and Implosion(내파)

구텐베르그(사회의 확장, 분화) v.

전자시대(구심점을 중심으로 분산되어 있는

사람들을 모은다)

The medium is the message

미디어의 특성은 메시지의 내용과 형식에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서 하나의 사회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디지털기술은 미디어의 물리적 속성을 변화

정보의 양식(비트)으로 통일

디지털미디어는 정보를 유통하는 사회 하부구조로서가 아니라 사회현상 그 자체이며 메시지의 일부, 혹은 메시지 그 자체로서 가치를 지닌다.

Title

웹2.0

콘텐츠의 소비

v.

콘텐츠 생산

Person 1

웹1.0

데이터를 모아 이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환경

Person 2

웹2.0

사용자가 직접 새로운 정보를 입력하고 그 정보를 가공, 재생산, 유통, 공유 할 수 있게 하는 웹 환경

Title

Title

웹2.0

공유

개방

참여

지향

인터넷 개발자들과 이용자들이 음악이나 동영상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에 함께 참여하고 그 기술이나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기술적으로 개방된 역동적인

웹 환경

Title

Person 3

UCC

Title

User Created Content

이용자가 디지털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여 타인과

공유하는 환경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상업적 목적 없이 손수 만든

동영상, 그림, 글, 사진, 등의

디지털 제작물

Title

이용자에서

생비자

(Producer + Consumer)로

Title

소셜미디어의 등장으로

낮선 사람뿐 아니라 친구나 지인들과 UCC 공유

Title

UCC

정치를 풍자하고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도구로 UCC 활용

Title

온라인 저널리즘

Title

인터넷을 통한 취재, 인터넷상에 나타난 새로운 형태의 뉴스

서비스, 더 나아가서는 뉴스 그룹 서비스나 게시판, 그리고

공공문제를 다루는 토론방 등과 같이 정보공간에서 일어나는

교환행위까지 포괄하는 거시 개념

*온라인 저널리즘의 특성

-상호작용적 커뮤니케이션:

빠르고 직접적인 피드백이 가능

Title

-비동시성(asynchronity):

이용자 중심의 정보제공, 다차원적

정보유통과 소비, 대량복제 등이

가능하여 시간과 공간적 제약 없이 다양한 컨텐츠를 즐길 수 있고,

상업적 부가가치를 무한대로 확대할 수 있다.

Title

Title

-탈대중화(demassification):

다양한 대면(interface)과 다차원의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동질화된 수용자 대중을 분화

또는 특화시켜 탈대중화를

촉진시킨다.

인터넷 신문

인터넷 미디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시사 등에

관한 보도, 논평 및 여론 등을

전파하기 위하여 온라인이라는

수단을 이용하여 전자 방식으로

텍스트 중심의 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미디어.

Title

-정보의 1차적 뉴스 제공자가 웹상에서 하루 1회 이상 정보

내용을 갱신하여 여론을 전달할 목적으로 발행하는 전자적

형태의 신문.

Title

*최초의 인터넷 신문:

1992년 시카고 트리뷴 (Chicago Tribune)

1995년 중앙일보

*인터넷 신문의 특징

1. 무한 소비 상품: 무한 재생이 가능

Title

2. 매체적 특성

1) 상호작용성(interactivity)

2) 하이퍼텍스트

3) 인쇄주기의 파괴

Title

3. 저널리즘의 특성 변화

1) 사후 승인 방식의 의제설정

(agenda-setting)과정

2) 게이트키핑(gatekeeping)의 변화

(1) 게이트키퍼들의 가치판단의 변화

(2) 선 발행 후 편집(publish first, edit later)

(3) 게이트키퍼로서의 생산소비자

Title

인터넷 신문의 문제점

  • 종이 신문에 대한 과도한 의존:

모기업인 신문사의 자본 투입으로

인한 재정적 의존, 취재 과정의

의존

  • 상호작용성의 낮은 활용도
  • 수익모델의 한계

Title

케이블 텔레비전

동축케이블이나 광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형태의

방송.

*1948년 미국: 지리적 이유로 인한 전파 수신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목적

*정보화사회로의 새로운 환경변화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을 서비스하는 현재의

케이블 텔레비전 형태로 발전

케이블 TV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방송하던 지상파방송(broadcasting)과는

달리 세분화된 시청자를 대상으로 전문화된 프로그램을 편성, 공급

하는 내로우캐스팅(Narrowcasting) 형태

Title

케이블 TV 특징

  • 다채널
  • 전문성
  • 다양한 부가 서비스
  • 지역 밀착성
  • 선명한 화질과 깨끗한 음질
  • 경제성

Title

디지털 케이블TV의 등장

*방송주파수의 사용 효율성이 낮다.

*채널 내 통합 데이터 서비스의 불가능(영상, 음성, 데이터 등 통합 데이터

서비스의 필요)

*새로운 수익창출을 위한 부가 서비스

도입의 필요

Title

Title

*디지털 방송기술의 발달

*방송 미디어간의 경쟁(지상파,

위성, 케이블)

*방송과 통신 융합의 급진전

(인터넷 매체의 발달)

Title

디지털 케이블의 효과

  • 지역정보화의 선도 뉴미디어 역할 담당

  • 지역주민간의 유대감 강화

  • 주민들의 정치의식 함양 도모

  • 지역간 격차 해소, 균등한 지방 발전에 기여

  • 광고 효과 증대

위성방송(Satellite Broadcasting)

일반대중에게 직접적으로 수신되는 것을 목적으로 우주국을 통해

신호를 전송 또는 재전송하는

무선 통신서비스

위성방송

  • 정지궤도의 위성을 이용하여 방송프로그램을 방송을 목적으로 전송하고 일반 대중이 수신할 수 있는 방송방식

Title

  • 각 개인이나 원하는 곳에 위성안테나, 수신기 등을 설치하여 설치하여 인공위성으로 직접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Title

위성방송의 특성

  • 광역성/ 동시성

수신권역에 동시에 방송을 송신 수신 가능

  • 경제성

다수 수신시 지상 중계국 건설

보다 경제적

Title

위성방송의 특성

  • 디지털 방송

디지털 방식이라 고화질, 고음질의 방송서비스 제공

  • 내재해성

위성이 우주에 있어서 지상재해에

영향을 받지 않음

  • 다채널

시청자의 선택 기회 확대

Title

위성방송의 문제점

  • 위성의 문제

-수명이 짧다

-정지궤도의 유한성으로 위성

수가 제한

-위성체 고장 발생시 수리의 어려움

-약한 수신 신호

-전파월경

Title

  • 자연발생적 문제

-지구 일식 발생시 위성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져 태양전지에 의한 운용불가

-강우의 영향으로 신호감쇠

Title

위성방송 수신과정

Title

위성방송 SYSTEM구성

  • 위성시스템
  • 지상송신시스템
  • 관제시스템
  • 수신시스템

Title

위성방송의 수신방식

  • DTH(direct to home)

-직접 수신방식

가구별로 개별 위성 안테나와

수신기 설치

Title

Title

  • SCN(Satellite Cable Network)

-케이블 TV를 통한 위성방송의

간접수신 방식

-케이블 사업자를 통해 위성방송을

수신

-프로그램 : 위성방송사 케이

블방송사 가입자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모바일 미디어

Title

Title

Title

Title

Title

Title

Title

Title

Title

Title

Title

Title

Title

Title

Title

포털 저널리즘

Title

Title

Title

Title

Title

Title

Title

Title

1인 저널리즘

1인 저널리즘

정의:

1인에 의한 취재보도

(저널리즘)

등장 배경

1인 저널리즘의 등장 배경

  • 인터넷의 진화-와이브로

노트북(인터넷 실시간 중계)

  • 블로그 등장

(개인 커뮤니케이션 공간)

발달 시기

특징

  • 새롭고, 언론사에서 보도하지 않는 뉴스 보도 가능
  • 뉴스의 일방적 수용자였던 독자가 뉴스 생산자 역할
  • 당사자가 보도해 생생하고 현장성을 담아냄
  • 사회적 이슈를 증폭시키고 확산시킬 수 있음
  •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 피드백에 유리함

특징

  • 일상 생활 역시 공적 뉴스로 다뤄 질 수 있음

- 장애인, 외국인 노동자, 환경 미화원의 삶 등

  • 시민이 주체적으로 보도하기 때문에 아래로부터의 의제설정이 가능

Title

장단점 및 한계

단점

1. 미확인 정보 유통

2. 저작권 침해 증가

3. 정보 편식해 수용

장점

  •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지향

  • 누구나 생산 가능

  • 정보 공유속도 빠름

Title

Title

  • 클릭 수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행태를 보인다

  • 저널리스트로서의 책임감이 부재하다

  • 일부 블로거만 뉴스를 제작한다

Title

소셜미디어

Title

Title

Title

Title

Title

Title

Title

Title

Title

Title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Title

Artificial Intelligence

1956년 미국 다트머스 대학

컨퍼런스에서 처음으로 사용

인간의 학습능력과 추론능력,

지각능력, 자연언어의 이해능력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현한 기술

AI 화두

Title

Title

의인화

의인화는 대상물에 대한 인간 중심적 사고, 즉 인간의 필요와 목적, 느낌, 분위기, 기분 등에 따라 임의적으로 부여하는

성격이다.

Title

AI 로봇은 인간의 지능에 버금 가는 합리적 계산능력(computability)을 가진 비인간 주체라는 의인관적

범주에 있으면서

그것이 어떤 성이나 성격, 태도 등을 가진 구체적인 인격적 실체로

간주되는 의인화 대상물이다.

Title

우리 자신에 대해 배우는 것,

그러나 인간에 대한 철학이나

심리학적 탐구와 달리 지적

실체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

그런 실체를 실제로 “만드는(building) 작업”,

다시 말해 인간이 ‘지적인 인간’인 호모 사피엔스를 기술적으로 구축해내는 작업이다.

정보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

*정보통신기술의 혁신적 변화가 정보의 분배에서 기존의 불평등한 구조를 확대 재생산할

가능성이 많다.

*정보의 빈익빈부익부 현상이 발생하며, 이에

상응하게 기 존의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불평등을 확대 재생산 할 가능성이 높다.

*자본과 노동사이 정보의 균형과 힘의 배분관계: 정보가 힘으로 판단되는 정보화시대에 기술은

자본 측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정보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

Title

*원격적인 직접민주주의의 실현

가능성을 제고시킬 수도 있겠지만,

결정이 수반되지 않는 방관자적 참여(observer-participation), 곧 소극적 참여(inactive participation)로 끝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

*국제질서에서도 기술력을 갖고있는

기존의 강대국에 의해 정보가 독점 혹은

컨트롤 되고 초강대국의 힘을 한층

강화시킬 것이다.

*모자이크 민주주의

Title

*정보사회의 불평등과 관련된

기본 개념들

-정보 불평등: 각종 정보기술과

정보통신 네트웍,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등 정보사회에서 중심적인 사회자원에 대한 접근과 이용,

그리고 점유수준에서의 격차로

인해 발생하는 불평등

Title

-신중간층:

자본이나 노동과 같은

생산수단에 의존하기 보다는 지식 및 기술과 같은 개인적 능력이나

조직 내에서의 권위와 같은 요소에 의해 일정한 사회적 자원의 배분

몫을 차지하는 계층이다.

한 사회에서 차치하는 그 비중이

증대하는 경향이며 구성원의

사회인구학적 속성도

다양하다.

Title

-지식근로자:

정보사회에서 신중간층을 대표하는 직업군인데, 지식이나

정보를 매개로 하여 일정한

보수를 받고 일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직무수행에 전문성과 자율성이 보장되는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전통적인 임금노동자와는

생활양식이나 사고방식이

다르다.

정보사회의 불평등

사회적 불평등:

재산, 권력, 명예, 심리적 만족 등

사회불평등의 구체적 형태는

사회마다 다르고, 그 주요 차원의

중요성도 시대에 따라 변한다.

봉건사회-사회적 신분

자본주의 사회- 부와 소득으로 인한

경제적 계급

공산주의 사회- 정치적 당파성

Title

Title

기술과 통신혁명에 의한 정보의 접근과

이용에 따른 새로운 유형의 불평등

Haves v. have nots

will v. will not

정보사회에서의 불평등 문제는 개인이

접하는 정보량의 많고 적음에 달려 있지

않고, 개인이 접한 정보의 질적 우수성과

접근 가능성, 신속성 등에 달려 있는

문제이다.

다시 말하자면, 누구한테나 접근 가능한 정보가 다량으로 배포되고 있으나 그 실질적 이용에서는 배제 당하도록 구조화된 것이 오늘날

정보사회의 불평등이 지닌

특성이다.

Title

정보사회에 대한

낙관론과 비관론

-낙관론:

정보불평등 현상은 새로운 정보기술의 도입에 따라 생겨날 수

있는 기술전파의 비효율성에

기인한 일시적 문제로써,

Title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정보화

혜택은 고르게 분배될 것이며,

Title

정보기술의 진보는 물질적 풍요와 정신적 여유를 가져다주어,

종국에는 기존의 사회 불평등을 해소할 것이다.

Title

-비관론:

정보기술의 진전은 기존의 빈부

격차를 해소하기는커녕 정보라는 자원을 중심으로 또 다른 형태의

불평등구조를 더함으로써 사회

불평등을 심화할 것이다.

Title

Title

경쟁적인 기술개발로 인해 새로운 매체의 출현주기가 단축되어 가는 경향을 볼 때, 고가의 매체는 일반인의 보편적인 구매를 불허하기 때문에 정보 접근 및 이용은

언제나 사회적 편재 현상을

드러내게 마련이다.

인쇄

Print Media

전자상거래

ㄴㅈ

e-commerce

Title

Title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