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태계란 무엇일까요?
▣ 생물 요소를 어떻게 분류할 수 있을까요?
▣ 생태계 내에서 생물 간의 먹이관계
▣ 생태계는 어떻게 유지될까요?
▣ 비생물 요소는 생물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 생물은 환경에 어떻게 적응될까요?
▣ 환경 오염은 생물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 생태계 보존과 복원을 위한 노력
▣ 생태계 내에서 생물이 어떻게 관련을 맺으며 살아가는지 알고, 생태계 평형의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 생태계 내에서 살고 있는 다양한 생물의 소중함을 깨닫는다.
(과 60-62p, 관 34p)
▣ 이야기에 나타난 생물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 풀은 양에게 먹히고, 양은 늑대에게 잡아먹힙니다.
☞ 벼는 나비에게 먹히고, 나비는 참새에게, 참새는 매에게 잡아먹힙니다.
☞ 플라크톤은 새우에게, 새우는 펭귄에게, 펭귄은 바다표범 잡아먹힙니다.
☞ 풀 → 양 → 늑대
☞ 벼 → 나비 → 참새 → 매
☞ 플랑크톤 → 새우 → 펭귄 → 바다표범
▣ 이와 같이 생물 간의 먹고 먹히는 관계가 사슬처럼 연결되어 있는 것을 먹이 사슬이라고 한다.
※ 우리가 사는 생태계에 먹이 사슬만 있으면 어떤 일이 생길까요?
▣ 그림에서 먹이 사슬을 찾아봅시다.
☞ 풀 → 메뚜기 → 개구리 → 뱀 → 참매
▣ 그림에서 먹이 사슬을 찾아봅시다.
☞ 진딧물 → 무당벌레 → 거미 → 참새 → 참매
▣ 그림에서 먹이 사슬을 찾아봅시다.
☞ 도토리 → 다람쥐 → 뱀 → 참매
▣ 그림에서 먹이 사슬을 찾아봅시다.
☞ 꽃 → 나비 → 개구리 → 뱀 → 참매
▣ 이와 같이 생태계 내에서는 여러 개의 먹이 사슬이 서로 얽혀 마치 그물처럼 보이는 것을 먹이 그물이라고 한다.
▣ 생태계 A와 생태계 B를 비교해 봅시다.
☞ 어느 것이 더 유리할까요?
▣ 생태계의 먹이 그물과 같이 먹고 먹히는 관계가 서로 얽혀 있으면 어떤 점이 유리한지 생각하여 봅시다.
☞어느 한 종류의 먹이가 부족하더라도 다른 먹이를 먹고 살 수 있기 때문에 생물이 쉽게 멸종하지 않습니다.
3차 소비자
2차 소비자
1차 소비자
생산자
▣ 이와 같이 먹이 사슬에 따라 생물의 수나 양 등을 표시하면 단계가 위로 갈수록 줄어드는 피라미드 모양이 됩니다.이것을 생태 피라미드라고 합니다.
3차 소비자
▣ 생태 피라미드에서 생산자인 풀의 양이 갑자기 줄어들면 다른 단계를 이루는 생물의 수 또는 양이 일시적으로 어떻게 변할까요? ( ) 안의 알맞은 낱말에 ◯ 를 표시하여 봅시다.
2차 소비자
1차 소비자
생산자
생산자의 양이 갑자기 줄어든다.
→ 1차 소비자의 수가 ( 늘어난다, 줄어든다 ).
→ 2차 소비자의 수가 ( 늘어난다, 줄어든다 ).
→ 3차 소비자의 수가 ( 늘어난다, 줄어든다 ).
▣ 생태 피라미드에서 1차 소비자의 수가 갑자기 늘어나면 다른 단계를 이루는 생물의 수 또는 양이 일시적으로 어떻게 변할까요? ( ) 안의 알맞은 낱말에 ◯ 를 표시하여 봅시다.
1차 소비자의 수가 늘어난다.
→ 생산자의 양이 ( 늘어나고, 줄어들고 ), 2차 소비자의 수가 ( 늘어난다, 줄어든다 ).
→ 3차 소비자의 수가 ( 늘어난다, 줄어든다 ).
▣ 어떤 지역에 살고 있는 생물의 종류나 수 또는 양이 균형을 이루며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생태계 평형이라고 합니다.
☞ 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의 수 또는 양은 주로 생물 간의 먹고 먹히는 관계에 의하여 조절됩니다.
☞ 생태계 평형이 깨어지면 원래대로 회복하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고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① 벼 → 참새 → 참매
② 풀 → 사슴 → 늑대
③ 풀 → 토끼 → 여우
④ 벼 → 메뚜기 → 다람쥐
⑤ 풀 → 메뚜기 → 개구리
생태 피라미드
③ 생태 피라미드에서 생산자 양이 갑자기 줄어들면 일시적으로 1차 소비자 수는 줄어든다.
① 한 번 파괴된 생태계는 절대 회복하지 못한다.
② 생태 피라미드에서 위 단계로 갈수록 생물의 수는 늘어난다.
③ 생태 피라미드에서 생산자 양이 갑자기 줄어들면 일시적으로 1차 소비자 수는 줄어든다.
④ 생태계 내 생물이 쉽게 멸종하지 않는 까닭은 생물 간에 먹이 그물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⑤ 생태 피라미드에서 2차 소비자 수가 갑자기 늘어나면 일시적으로1차 소비자 수는 늘어난다.
④ 생태계 내 생물이 쉽게 멸종하지 않는 까닭은 생물 간에 먹이 그물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 햇빛과 물이 콩나물의 자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할 수 있다.
▣ 비생물적 환경 요인이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과 64-65p, 관 35p)
준비물 : 페트병 네 개, 탈지면, 콩나물, 물, 어둠상자 두 개
▣ 방울토마토의 잎이 시든 까닭을 생각해 봅시다.
▣ 방울토마토를 다시 싱싱하게 자라도록 하려면?
조건통제
페트병의 크기, 콩나물의 양과 길이
물의 양, 물을 주는 횟수
페트병의 크기, 콩나물의 양과 길이
콩나물이 받는 햇빛의 양
햇빛의 양
물의 양
공기는 생물이 숨을 쉴 수 있게 해 준다.
햇빛은 생물이 자라고 생활하는 데 영향을 줍니다. 식물이 양분을 만들기 위해서는 햇빛이 꼭 필요하다.
흙은 생물이 살아가는 터전입니다. 대부분의 식물은 자라는 데 필요한 물과 양분을 흙에서 얻는다.
물은 생물이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합니다. 식물은 뿌리를 통하여 물을 흡수하고, 동물은 스스로 물을 마십니다.
오전에는 먹이를 사냥하는 데 기온이 너무 높아지면 몸을 식히기 위하여 꼬리와 몸통을 지면으로부터 올린다.
그러다 늦은 오후가 되면 다시 활동하기 시작합니다.
도마뱀은 이른 아침에 굴에서 나오면 햇볕을 쬐어 몸을 따뜻하게 합니다.
뜨거운 한낮이 되면 도마뱀은 태양을 피하여 굴이나 바위틈의 그늘에서 쉬면서 체온을 유지합니다.
저녁 때가 되면 도마뱀은 지는 햇볕을 쬐고 몸을 따뜻하게 하여 추운 사막의 밤을 지낼 준비를 합니다.
☞ 온도가 너무 낮거나 너무 높으면 생물이 살기 어렵다.
☞ 공기가 없으면 생물은 숨을 쉴 수 없다.
☞ 흙은 식물이 자라는 데 필요한 물과 양분을 제공하며 생물이 살아가는 터전을 제공한다.
① 어둠상자로 덮은 콩나물 본잎이 노란색이다
① 어둠상자로 덮은 콩나물 본잎이 노란색이다
② 햇빛이 드는 곳에 둔 콩나물 떡잎이 노란색이다.
③ 어둠상자로 덮은 콩나물의 떡잎 아래 몸통이 더 굵다.
④ 햇빛이 드는 곳에 둔 콩나물의 떡잎 아래 몸통이 더 가늘다.
⑤ 어둠상자로 덮은 콩나물 떡잎 아래 몸통은 창가를 향하여 굽어 자랐다.
① 물의 양
② 햇빛의 양
③ 콩나물의 양
① 물의 양
④ 페트병의 크기
⑤ 떡잎 아래 몸통의 길이
① 물이 없더라도 동물은 살아갈 수 있다.
② 공기가 없더라도 동물은 살아갈 수 있다.
③ 햇빛은 생물이 생명을 유지하는 데 꼭 필요하다.
④ 흙은 생물이 살아가는 데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⑤ 공기의 온도가 너무 낮거나 너무 높은 곳에서는 동물이 살아가기 힘들다.
⑤ 공기의 온도가 너무 낮거나 너무 높은 곳에서는 동물이 살아가기 힘들다.
▣ 다양한 환경에 적응한 생물의 특징을 관찰하여 말할 수 있다.
(과 66-67p, 관 36-37p)
▣ 비둘기는 활동하기에 빛이 충분하므로 빛에 민감한 시각을 가지고 있지 않다.
▣ 부엉이는 적은 빛으로 사물을 볼 수 있도록 눈이 크고 약한 빛에 민감한 시각을 가지고 있다.
▣ 밝은 낮에 활동하는 비둘기는
▣ 어두운 밤에 활동하는 부엉이
빛에 민감한 시각을 가지고 있지 않다.
눈이 크고 약한 빛에 민감한 시각을 가지고 있다.
▣ 바나나는 잎이 넓어 증산 작용을 많이 하더라도 생장에 필요한 물이 부족하지 않아 넓은 잎을 가지고 있다.
▣ 선인장은 잎이 가시로 되어 있어 증산 작용으로 인한 수분 손실을 줄인다.
▣ 비가 많이 내리는 열대에서 자라는 바나나는
▣ 비가 매우 적게 내리는 사막에서 자라는 선인장은
잎이 넓습니다.
가시가 있습니다.
▣ 더위를 이겨 내기 위하여 적당히 마른 몸을 가지고 있으며, 귀가 커서 몸속의 열을 많이 방출한다.
▣ 추위에 견딜 수 있도록 몸에 지방층이 두껍고, 귀가 작아서 불필요한 열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 더운 사막에 사는 사막여우는
▣ 추운 북극에 사는 북극여우는
귀가 크고 몸이 마른 편입니다.
귀가 작고 몸집이 큽니다.
▣ 철새는 계절에 따라 먹이와 기후의 영향을 받아 서식지를 이동합니다.
☞ 제비와 백로는 봄에 우리나라에 와서 번식을 마치고 가을이 되면 떠나갑니다.
여름새
☞ 기러기와 청둥오리는 가을에 왔다가 봄이 되면 태어난 곳으로 되돌아갑니다.
겨울새
▣ 개구리, 뱀, 곰, 다람쥐, 박쥐 등은 먹이가 별로 없고 추운 겨울이 되면 활동을 중단하고 땅속이나 동굴 등에서 겨울을 보냅니다.
▣ 정어리와 같은 작은 물고기, 무리를 지어 이동하는 철새, 무리를 지어 사냥하는 돌고래 등은 이동하거나 사냥할 때에 무리를 지어 행동하도록 적응한 생물입니다.
▣ 나뭇잎여치, 난초사마귀, 카멜레온, 개구리, 자벌레 등은 주변 환경과 비슷하게 몸의 색깔이나 모양을 바꿉니다.
▣ 호랑나비 애벌레나 박각시나방 애벌레는 뱀과 비슷한 모습으로 꾸며 자신을 잡아먹으려는 동물을 위협합니다. 장미의 가시와 벌의 독침도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수단입니다.
② 뱀
① 곰
③ 박쥐
④ 개구리
⑤ 호랑나비 애벌레
① 빛
⑤ 온도
③ 흙
④ 공기
② 물
⑤ 온도
먹이에 따라 새의 부리 모양이 각각 다르다.
▣ 사람들의 생활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과 68-69p, 관 38-39p)
준비물 : 페트병 네 개, 탈지면, 합성세제,묽은 염산
▣ 하천에 사는 물고기가 죽은 까닭은 무엇일까요?
☞
☞환경오염 : 사람들의 활동으로 자연환경이나 생활 환경이 더럽혀 지거나 훼손되는 현상
☞ 식물이 잘 자라지 못하거나 돌연변이가 생긴다.
토양 오염
(흙의 오염)
생활 쓰레기,
농약 사용 등
☞ 식물에 오염 물질이 쌓인다.
☞ 물이 더러워지고 악취가 나며 그곳에 살고 있는 물고기는 오염된 물을 먹고 죽거나 형태가 이상해지기도 한다.
수질 오염
(물의 오염)
공장 폐수,
가정에서의 생활
하수 등
☞ 미세먼지로 인한 호흡기 병 발생
자동차 배기가스,
공장 매연 배출 등
☞ 산성비로 인한 토양오염
대기 오염
(공기 오염)
☞ 이산화탄소 증가로 인한 지구온난화
① 공장 매연
③ 국립 공원 지정
② 기름 유출
③ 국립 공원 지정
④ 지나친 농약 사용
⑤ 개발을 위한 무분별한 산림 훼손
▣ 생태계를 보전하고 복원하기 위한 방안을 조사할 수 있다.
▣ 생태계 보전의 필요성을 알고, 일상생활에서 생태계를 보전 하고 복원하기 위한 실천적 태도를 가진다.
(과 70-71p, 관 40-41p)
☞ 사람들이 배출하는 오염 물질로 환경이 오염된다.
☞ 무분별한 개발로 동식물이 살아갈 터전이 사라진다.
☞ 예전에는 쉽게 볼 수 있었던 단양쑥부쟁이, 하늘다람쥐 등 몇몇 동식물이 지금은 멸종 위기에 처하였다.
조사: OOO, 자료 정리 및 기록: OOO
2017년 월 일
관련 도서, 컴퓨터, 필기도구 등
책(제목: OOO)
인터넷(출처: http://OOO.OO.OO)
☞ 생태 통로를 만들거나 보호 울타리를 설치한다.
☞ 개발 전에 환경 영향 평가를 먼저 실시하여 주변 생태계를 조사한다.
① 하천에 생활 하수를 흘려 보낸다.
① 하천에 생활 하수를 흘려 보낸다.
② 가까운 거리는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③ 멸종 위기의 동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노력한다.
④ 개발 사업을 하기 전에 환경 영향 평가를 실시한다.
⑤ 쓰레기를 분류 배출하고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은 재활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