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이 보는 클래식
클래식이란 무엇인가?
타 매체에서의 활용 사례
클래식의 문제점 및 해결 방향
클래식 음악의 전승
권민수 신승현
정진섭 배철호
김진휘 이호준
박현준 황석현
4조
서양의 전통
에 기반을 둔
모든 음악
서양의 양식
으로 작곡한
모든 예술 음악
클래식
<Nessun Dorma>
(공주는 잠 못 이루고)
<Nessun Dorma>
(공주는 잠 못 이루고)
Johannes Brahms
<Hungarian Dance No.5>
조혜련
<가라>
Johannes Brahms
<Hungarian Dance No.5>
조혜련
<가라>
서서히 바뀌는 음악을 들어보세요.
차량 브랜드 '소나타'
= 16세기 이후 꾸준히 발전해온
클래식 기악 연주곡 형식
자칫 딱딱해질 수 있는 차량 광고,
사람들은 클래식을 좋아한다
그러나...
보수성
난해성
접근성
클래식
0.5%의 처참한 청취율을 보임
대학생 Spotify 서비스 이용자의 장르별 청취율
From Statistia
55세 이상 연령층의 높은 소비율
2018년 4분기 전세계인 대상 연령별 클래식 선호도 조사
대학생 Spotify 장르별 이용률 조사결과
클래식 이용률 0.5%
2018년 미국 장르별 음악감상률 조사결과
클래식 감상률 0.7%
연령별 클래식 선호도 조사결과
55세 이상 41%
좋다는건 잘알지만......
실제로는 거의 관심이 없음
팝 음악에 밀리는 소비율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
사람들의 관심 밖에 있는 장르
지난 20년간
음악 소비방식의 큰 변화
클래식 포럼
추출 후 보존
저작권 보호와 아카이브 사이의 갈등
+ 음원의 정상적인 유통경로가 아님
현대인들이 듣기에는 따분할 수 있는 곡 전개
단촐한 악기 구성으로 인한 밋밋한 소리
CD 1장 분량을 넘는 긴 재생시간
음악에 집중하기 어려움
감상
시기별 음악
연주
음악사
악보
학습을 필요로 하는 예술 음악 -> 진입장벽의 상승
비싸다!
+ 1,2 요소와 접목되는 부분
'비싼데 지루하고 들어도 모르겠는 옛날 음악'
클래식 크로스오버
모두가 원하는 해결책?
일본 내 Wind Orchestra의 대중화
- 60년 이상의 오랜 역사
- TKWO를 비롯하여 다양한 악단의 존재
- 정통 클래식 및 크로스오버 등 다양한 장르를 Cover
- 학교마다 악단을 갖춤, 그중 일부는 Pro 급
David G. Hebert (2012). "Wind Bands and Cultural Identity in Japanese Schools"
클래식은 후손들에게 전승되어야만 한다
'인위적인 노력보다는 자연스러운 계승이 중요함'
understanding of
westernm suci and culture
wow there's fucking s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