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학년도 2학기 <문학치료>
자개장의 용도 (함윤이)
자개장 사용법_4 : 나
정식 상속자 X
(여러 예비 상속자 중 1인)
자개장으로 성장하는 듯 보이나,
한계를 느낌
"환상"은 비현실적 요소
그러나, 현실의 모순을 되비추는 거울
환상적 요소가 '왜' 전개 방식으로
선택되었는지 고민
자개장의 기능: 탈주
자개장 사용법_3 : 엄마
원하는 곳을 떠올리기만 하면
그 곳으로 이동할 수 있는 수단
기존의 '생활의 틀'로부터 벗어남
앞선 2대와는 달리 "탈출"을 목적으로 함
그러나 고향으로 돌아오는 인물
자개장의 한계: 속박과 유지
상속 질서를 파기하는 인물
금기와 관련
상속자 모두 '돌아와야 한다는 것'
"그게 나를 떠날 방법으로 쓰일까봐 무서웠기 때문이야." (p.271)
여성의 탈주를 일시적으로 허용하나, 결국 돌아오게 되고 가정이 유지됨
=가부장 이데올로기의 유지
엄마의 '타클라마칸 사막'
*들어가면 나올 수 없다.
*(자개장에) 들어가면 (기존 질서로부터) 나올 수 없다.
자개장의 한계
: 계층 이동의 (불)가능성
'나'는 정우에게 비밀을 털어놓는 것을 번복
그러나, 누대에 걸친 속박은 후속 세대로 갈 수록 약화
증조할머니 > 할머니 > 어머니 > 나
*이 경우, 자개장의 용도는 대를 걸친 여성 지위 투쟁의 상징이 될 수 있음
'정우'와의 괴리
"자개장도 없는 사람이 어쩜 그럴 수 있지"
(p.259)
'강의 건너편' = 자개장으로 갈 수 없는 곳
자개장 사용법_1 : 증조할머니
자개장의 기능: 보존
자개장의 기능: 성장
자개장 사용법_2 : 할머니
학습 활동
'자개장'을 이용하는 '나'는 모험 끝에 자개장의 한계를 지각
금기와 관련
처음에는 자개장을 버리려고 함
작품감상
자개장을 '가장 유용하게' 썼다는 인물
마음을 바꾸어 가보로 물려줌
증조 할머니는 왜 자개장을 버리려 했고,
왜 다시 태도를 바꾸었을까?
"예전에 너더러 자개장을 쓸 때는 돌아올 거리를 꼭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했지. 사실 그건 거짓말이야. 돌아올 길을 생각하면 자개장을 제대로 쓸 수 없어. 오히려 그걸 전혀 개의치 않아야만 자개장을 잘 쓸 수 있다." (p.271)
대물림의 책임을 만듦
금기:
1. 돌아올 수 없을 만큼 멀리 가지 말 것
2. 반드시 돌아올 것
남편으로부터
"부탁이니까 휙 사라지지말고.."를 이끌어 냄
윗대에서 실현하지 못한 '탈주'의 역사를 만들어내는 '나'
자개장의 용도
'나'의 엄마는 왜 자개장을 사용하지 않았을까?
*전용: 예정되어 있는 곳에 쓰지 아니하고 다른 데로 돌려서 씀
남성적 권리를 여성적 권리로 전용
*모계 전승의 이유
가정, 자개장, 상속자 모두 보존
1. 여성의 일시적 탈주를 허용하는 매개물
2. 귀환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속박물
3. 가정 내 질서와 계층을 유지하기 위한 규범
4. 세대 전환 및 성장의 매개물
표면적인 가정의 평화를 이끌어 냄
"무언가 떠나지 않도록 보존하는 것" (p.275)을 알게됨
*성장은 깨달음을 동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