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 과목선택은 처음이지?
고교학점제 선택과목이
대입전형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대학입시에서의 학생부 평가 (중요 5가지)
선택과목의 수업 형태는?-교과 세특의 기록사항 때문
What is ?
자율활동은?-교과관련활동, 진로 관련 활동 연계
동아리활동은?-교과관련활동, 진로 관련 활동 연계
이 학생이 어떤 단과대학에 적당하고,
어떤 단과대학에 적당하지 않은가?
학생이 총 몇 학점을 이수했는가?
1. 기준 204학점(교과 180+ 창체 24) + 몇 학점 더?
2. 더 이수한 과목의 과목 구성은? (대략 6과목)
Definition
가. 원점수, 평균, 등급, 성취도, 교과 세특의 기록
이수 여부가 중요한게 아니다!
수행평가의 내용을 수행평가 답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
변별이 중요!
Title
학생 주도 수업이 중요!
수행평가를 수행평가 답게 운영해야!
신뢰성이 인정되어질 때 입시에 반영
어떤 관점으로 학생부를 보나?
학생부를 기록하는 양이 줄었다!
이 학생이 얼마나 공부를 잘하나?
이 학생이 얼마나 공부를 잘할수있나? 의 관점
Title
이 학생이 얼마나 인성이 뛰어난지 학생부로는 잘 모른다.
결국 중요 5가지 요소가 결정을 한다
결국 남과 나의 차별화 된 선택 과목이 중요!
내가 지원하는 모집단위와 얼마나 적합한가!
Title
여러 판단 요소 중
중요한 기준이 된다!
국어?-어떤 진로선택과목? 어떤 융합선택과목?
영어는? 사회는? 과학은?
정보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코딩은?- 대학이 요구
미래 인재의 중요한 기준은?
컴퓨터 사고력
Title
이 과목을 듣는게 필요하고 이 과목을 잘하는게 필요해!
컴퓨터 잘하는 인문대생? 컴퓨터 못하는 인문대생?
사회는 누굴 원하나?
진로선택- 심화국어, 고전읽기 이수여부 선호할까?(국문과)
대학입시에 유,불리 가능할까?
진로선택- 기하 이수여부 선호할까?(수학과)-많이 할수록 좋아함.
Title
대학이 원하는 인재는?
폭넓은 학습을 위한
준비를 한 학생
진로선택- 영어과 문학, 영미문학읽기, 진로영어 더 배웠다는것
선호되지않는다!
영어 잘하는 학생 좋아하나 과목을 들었다고 잘하는지 판단 여부 무관함.
진로선택- 여행지리, 사회문제탐구, 고전과 윤리 영향줄까?
진로선택- 물리, 화학, 생명과학 과목은? 영향 준다.
현재 대학 입시에서 영향을 주는 과목은?
수학, 과학 과목
Title
그럼 앞으로는?
늘어난다.
수학과제탐구, 사회문제탐구 등 탐구과목이 좋다
- 교과세특의 차별화 가능
(자기가 원하는 호기심 보여줄 수 있다.)
성적은?
세분화되지 않고 그룹져지기때문에 영향력 줄어든다!
Title
선택과목의 폭이 늘어나기때문에
선택과목의 영향이 대입에서 커진다.
고급수학 개설-이수한 학생 유리할까?
고급수학 3학년 2학기?
고급수학 3학년 1학기? 미적분은 알까? 기하는 알까?
Title
교육청에서 개설한 교육과정은 어떨까?
학교 블라인드 처리!
들은 학생과 듣지 않은학생! 누굴 선호할까?
대학은 학교의 숫자지표로 된 원점수, 평균, 등급 믿지 못한다.
표준편차로 좋은학교, 특목고 알아봄
블라인드 상황- 표준편차로 모름
Title
어떤 과목에서 무슨 공부를 주도적으로 했는가?
해당 과목과 자율활동과 동아리와 어떻게 연결되어져있는가가 중요!
어떤 과목 연결할까?
전문교과 과목의 선 이수 추천과목
세계지리- 지역이해, 비교문화, 세계문화와 미래사회
Title
사회문화-한국사의 이해, 비교문화
경제-국제경제
전문교과 1 더 듣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세계지리, 사화문화, 경제를 어떻게 차별화 있게 이수했는냐가 중요
학점제가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거나
학생부를 보고 평가하는 방식은
달라지지 않는다.
Lesson Plan
기존의 학생부와 단과대의 모집단위가 서로 매칭이 되는 방식
Example 1
Example 1
1.
2.
3.
Example 2
Example 2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