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조선 시대 과학 기술의 원리

한주현 안지수 김정수 김기완 장승규

혼천의

혼천의

지름 40cm, 중심에 있는 지구의의 지름은 8.9cm로서, 시계장치와 혼의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시계장치에는 추 2개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시각을 위한 톱니바퀴를 회전시키며, 다른 하나의 추는 여러개의 쇠방울을 홈통 안으로 굴려 종치는 망치가 종을 치도록 한 타종장치를 작동시킨다. 송이영의 천문시계는 서양식 자명종의 원리를 살려 시계 장치의 동력을 '물'에서 '추'로 개량하고 실내에 두어 정확한 시간을 측정하고 천체의 운행을 한눈으로 알아볼 수 있게 제작된 것으로, 동서 천문시계의 장점을 결합하였다.

자격루

자격루

원리

물을 대 주는 항아리 3개가 층층이 있고 물을 받는 기다란 통이 2개가 있다. 큰 항아리에서 흘러나온 물은 작은 항아리를 거쳐 아래쪽으 기 다란 통으로 들어간다.

측우기

측우기

측우기의 원리

측우기의 원리

원래 측우기가 쓰이기 이전에는 각 지방의 강우량의 분포를 알아내는 데 매우 불편하였다. 즉, 비가 내림으로써 흙속 깊이 몇 치까지 빗물이 스며들었는지를 일일이 조사해 보아야 하는데, 이때 흙에는 마르고 젖음이 같지 않아 강우량을 정확히 알아낼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런데 측우기는 일정기간 동안 그속에 괸 빗물의 깊이를 측정하여 그 곳의 강우량으로 하기로 되어 있다.

측우기 사진

측우기 사진

앙부일구

앙부일구

앙부일구의 원리

앙부일구의 원리

시간에 따라 해가 동쪽에서 남쪽으로, 남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는데,

해가 이동함에 따라 해의 고도가 달라지고,

해의 고도가 달라짐에 따라 비치는 그림자의 길이가 달라지는데, 이 원리를 이용한 발명품이다.

앙부일구의 의미

앙부일구의 의미

세종 시기 가장 널리 보급된 해시계는 앙부일구였다.

백성들이 시간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12간지 한자 대신,

12개의 동물 그림으로 시각을 표시했다. 앙부일구는 백성들을 위한 시계였다

앙부일구 사진

앙부일구 사진

그림자를 만드는 바늘인 영침의 길이는 앙부일구 지름의 ½이며, 영침의 끝은 천구의 북극을 향하며 앙부일구의 중심에

위치한다.

앙부일구의 솥 안쪽면에는 절기를 나타내는 역할을 하는 13개의 위선(가로선)인 절후선과 하루 중 몇 시인지를

나타내는 7개의 시각선(세로선)이 새겨져 있다.

절후선 가운데 있는 춘·추분선은 천구의 적도면과 일치하는 대원이 되며 나머지 12개의 절후선은 적도에평행하다.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