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정교화 모형의 기원과 패러다임

사회과학방법론

by Sunghoon Roh

정교화 모형

제3의 변수의 효과를 통제함으로써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논리적 방법

두 변수 사이의 관계가 관찰된 상태에서 또 다른 변수가 이러한 관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

교육수준과 징집수용

예시

  • 검증변수, 통제변수

  • 부분표

  • 부분관계

  • 무차관계

정교화 패러다임

반복 replication

반복

처음 관찰된 두 변수 간의 관계가 통제변수를 일정 상태로 유지했을 때도 지속하기 때문에 본래의 관계가 진짜라는 견해를 지지해주는 정교화의 결과를 의미

설명

설명 explanation

두 변수 사이의 본래 관계가 선행 검증변수를 도입했을 때 사라지기 때문에 허위인 것으로 드러나는 정교화 모형의 결과

  • 검증변수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모두에게 선행할 것

  • 부분관계들이 없어지거나 본래 관계에서 발견된 것보다 유의미하게 적을 것

해석 interpretation

해석

  •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통제변수가 매개요인으로 밝혀지는 연구결과물을 나타냄

  • 본래 관계에 대한 타당성을 부정하지 않으며 그 관계가 이루어지는 데 있어 거쳐야 할 과정을 명료하게 해줌

특정화

특정화 specification

처음에 관찰된 뒤 변수 간의 관계는 통제변수가 생성한 한 하위집단에서는 반복되지만, 다른 하위집단에서는 반복되지 않는 결과를 나타냄

다양한 정교화 모형

패러다임의 재련

  • 억제변수

  • 왜곡변수

억제변수

정교화 모형에서 진짜 관계가 무차수준에서 나타나는 것을 방해하는 검증변수

왜곡변수

정교화 모형에서 무차관계의 방향을 뒤바꾸는 검증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