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 언덕 깃발 지키기
흙이 만들어지는 과정
화성의 흙
운동장의 흙과
화단의 흙
흙을 보존하기 위한 시설
흐르는 물에 의한 지표의 변화
바닷가 주변의 모습
강 주변의 모습
2. 순서를 정하고, 자기 순서가 되면 손으로 흙 언덕을 깎아서 가지고 옵니다.
1. 꽃삽을 사용해 흙 언덕을 만든 뒤, 흙언덕의 중앙에 깃발을 세웁니다.
3. 자기 순서에서 깃발이 쓰러지면 집니다.
▣ 흙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과 49-49p, 실26p)
준비물 : 얼음 설탕, 투명한 플라스틱 통, 페트리 접시
▣ 투명하고 뚜껑이 있는 플라스틱 통에 얼음 설탕을 넣어 흔들어 보고, 어떻게 되었는지 그림으로 나타내어 봅시다.
▣ 얼음 설탕 한 개에 스포이트로 물을 여러 방울 천천히 떨어뜨리면 어떻게 되는지 관찰하여 봅시다.
▣ 얼음 설탕이 가루 설탕이 되는 것은 바위나 돌이 모래가 되는 것과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 생각하여 봅시다.
☞ 얼음 설탕이 서로 부딪쳐 가루 설탕이 되는 것처럼 바위나 돌도 서로 부딪쳐 모래가 된다.
☞ 오랜 시간에 걸쳐 바위나 돌이 햇빛, 공기, 물 등에 의하여 제자리에서 점차 부서지는 것을 풍화 작용이라고 한다.
☞ 2~3cm 크기의 다양한 돌을 모은다.
☞ 높이가 20cm 정도의 플라스틱 통에 돌을 1/3 정도 넣는다.
☞ 플라스틱 통의 뚜껑을 닫은 다음, 초당 2~3회 왕복하여 원을 그리듯이 300회 정도 흔든 다음 비교해 봅시다.
▣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색깔, 알갱이의 크기, 촉감, 물 빠짐을 비교할 수 있다.
(과 50-51p) 실 (27p)
준비물 : 여러 가지 흙, 돋보기, 비커, 물 빠짐 장치
▣ 운동장과 화단의 흙을 관찰해 봅시다.
▣ 운동장과 화단의 흙을 관찰하여 봅시다.
화단 흙
운동장 흙
알갱이의 종류와 크기
기타
촉감
색깔
▣ 운동장과 화단의 흙을 관찰한 결과를 정리해 봅시다.
어두운 색
밝은 갈색
황토색 등
큰 것도 있고
작은 것도 있다.
대체로 크다
거칠다
약간 부드럽다.
잘 뭉쳐진다.
잘 뭉쳐지지 않는다.
식물의 뿌리나 나뭇잎 조각과
같은 여러 물질이 섞여 있다.
주로 모래나 흙 알갱이다
▣ 운동장과 화단 흙의 물 빠짐을 비교하여 봅시다.
☞ 어느 쪽의 물이 빨리 나올지 예상해 봅시다.
같게 해야 할 조건
다르게 해야 할 조건
흙의 종류
흙의 양, 물의 양
플라스틱 통의 크기
물을 붓는 빠르기
플라스틱 통의 높이 거즈의 종류 등
▣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물 빠짐 을 비교하여 봅시다.
① 플라스틱 통 밑을 거즈로 감싸 고무줄로 묶는다.
② 두 흙을 플라스틱 통에 각각 ½씩 채웁니다.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물 빠짐이 서로 다른 까닭은 무엇일까요?
③ 비커를 플라스틱 통 밑에 놓습니다.
④ 두 흙에 각각 300mL의 물을 비슷한 빠르기로 동시에 붓습니다.
⑤ 일정한 시간 동안 어느 흙에서 물이 더 많이 빠졌는지 비교해 봅시다.
▣ 물 빠짐 실험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어느 흙에서 물이 더 많이 빠졌는지 비교해 써 봅시다.
☞ 운동장 흙
▣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물 빠짐이 서로 다른 까닭은 무엇일까요?
☞ 운동장 흙은 화단 흙보다 알갱이의 크기가 더 크기 때문에 물이 더 빠르게 빠진다.
▣ 화단 흙과 운동장 흙 속의 부유물을 관찰할 수 있다.
▣ 흙 속의 부유물이 생물과 관계가 있음을 말할 수 있다.
(과 124-125p, 실 71-72p)
준비물 : 두 가지 흙, 비커, 거름장치
▣ 학교 운동장에 식물을 심으면 어떻게 될까요?
※ 관찰한 내용을 실험관찰 72쪽에 정리하세요.
① 화단과 운동장에서 채취한 같은 양의 흙을 크기가 같은 비커 두 개에 각각 넣어 봅시다.
② 비커 두 개에 같은 양의 물을 넣고 유리 막대로 저은 다음에 그대로 놓아두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관찰하여 봅시다.
③ 물 위에 뜬 것을 핀셋으로 건져서 거름종이에 올려놓고 돋보기로 관찰하여 봅시다.
▣ 식물이 잘 자라는 흙 속에는 어떤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까요?
☞ 식물이 잘 자라는 부엽토는 나뭇잎, 작은 나뭇가지나 뿌리, 죽은 생물 등이 미생물에 의하여 썩거나 분해되어 생긴 흙이어서 토양 속에 유기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 토양 속의 유기물은 토양이나 토양 내에 살아 있거나 죽은 생물의 물질과 관련되어 있다.
☞ 식물이 죽거나 땅에 사는 동물이나 토양의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어 만들어진 것으로 이 유기물에 의하여 토양은 검게 변한다.
▣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흙은 어떤 흙인지 써 봅시다.
☞ 나뭇가지, 식물의 뿌리, 죽은 곤충 등이 많이 썪여 있어야 한다.
부유물
▣ 식물이 잘 자라는 화단 흙에는 식물의 뿌리, 나뭇잎, 작은 곤충과 같이 물에 잘 뜨는 ( ) 이/가 많습니다. 이러한 ( )이/가 썩으면 식물이 자라는 데 필요한 양분이 됩니다.
부유물
1. 화단 흙과 운동장 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① 운동장 흙은 대체로 어두운 색이다.
② 운동장 흙에서는 식물이 잘 자란다.
③ 운동장 흙에는 썩은 식물이 많이 있다.
④ 화단 흙은 운동장 흙보다 부유물이 많다.
⑤ 화단 흙은 색깔이 밝고, 알갱이의 크기가 비슷하다.
④ 화단 흙은 운동장 흙보다 부유물이 많다.
만져본 느낌
색깔
▣ 여러 곳의 흙은 , ,
, 등이 다양합니다.
알갱이의 종류
알갱이의 크기
▣ 흙에 진흙이 많으면 물 빠짐의 시간이 (짧아집니다, 길어집니다 ).
길어집니다
1. 여러 곳에서 모은 흙의 물 빠짐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려는 실험을 할 때 같게 해 주어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 써 봅시다.
흙의 양
물의 양
물을 붓는 빠르기 등
2. 운동장과 화단 흙의 물 빠짐을 비교하는 실험을 할 때 물 빠짐이 좋지 않은 흙은 무엇인지 써 봅시다
화단 흙
▣ 화단 흙과 운동장 흙 속의 부유물을 관찰할 수 있다.
▣ 흙 속의 부유물이 생물과 관계가 있음을 말할 수 있다.
(과 52-53p, 실 28p)
준비물 : 두 가지 흙, 비커, 거름종이
▣ 학교 운동장에 식물을 심으면 어떻게 될까요?
① 화단과 운동장에서 채취한 같은 양의 흙을 크기가 같은 비커 두 개에 각각 넣어 봅시다.
② 비커 두 개에 같은 양의 물을 넣고 유리 막대로 저은 다음에 그대로 놓아두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관찰하여 봅시다.
③ 물 위에 뜬 것을 핀셋으로 건져서 거름종이에 올려놓고 돋보기로 관찰하여 봅시다.
식물의 뿌리, 작은 나뭇가지, 죽은 곤충, 나뭇잎 조각 등이 있다.
거의 없다.
▣ 식물이 잘 자라는 흙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 식물의 뿌리나 죽은 곤충, 나뭇잎 조각 등의 물에 뜨는 물질이 많다.
▣ 식물이 잘 자라는 흙 속에는 어떤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까요?
☞ 식물이 잘 자라는 부엽토는 나뭇잎, 작은 나뭇가지나 뿌리, 죽은 생물 등이 미생물에 의하여 썩거나 분해되어 생긴 흙이어서 토양 속에 유기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 토양 속의 유기물은 토양이나 토양 내에 살아 있거나 죽은 생물의 물질과 관련되어 있다.
☞ 식물이 죽거나 땅에 사는 동물이나 토양의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어 만들어진 것으로 이 유기물에 의하여 토양은 검게 변한다.
▣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흙은 어떤 흙인지 써 봅시다.
☞ 나뭇가지, 식물의 뿌리, 죽은 곤충 등이 많이 썪여 있어야 한다.
부유물
▣ 식물이 잘 자라는 화단 흙에는 식물의 뿌리, 나뭇잎, 작은 곤충과 같이 물에 잘 뜨는 ( ) 이/가 많습니다. 이러한 ( )이/가 썩으면 식물이 자라는 데 필요한 양분이 됩니다.
부유물
1. 화단 흙과 운동장 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① 운동장 흙은 대체로 어두운 색이다.
② 운동장 흙에서는 식물이 잘 자란다.
③ 운동장 흙에는 썩은 식물이 많이 있다.
④ 화단 흙은 운동장 흙보다 부유물이 많다.
⑤ 화단 흙은 색깔이 밝고, 알갱이의 크기가 비슷하다.
④ 화단 흙은 운동장 흙보다 부유물이 많다.
▣ 흙 언덕 실험에서 흙이 깎이는 곳과 흙이 쌓이는 곳을 관찰할 수 있다.
▣ 흐르는 물에 의한 지표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과 54-55p, 실관 29-30p)
준비물 : 흙, 쟁반, 색모래, 물, 비커
▣ 흙 언덕에 물을 흘려어떤 모습이 나타날까?
▣ 흐르는 물의 작용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해 봅시다.
☞ 흙 언덕의 윗부분에서 침식 작용이 활발한 까닭은 물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 흙 언덕의 아랫부분에서 퇴적 작용이 활발한 까닭은 물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 흙 언덕을 더 많이 깎이게 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 흐르는 물의 작용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해 봅시다.
① 꽃삽을 사용해 흙 언덕을 만들고, 색 모래를 흙 언덕 위쪽에 뿌립니다.
② 페트병에 물을 담아 흙 언덕 위쪽에서 물을 흘려보내고, 흙 언덕이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해 봅시다.
③ 흙 언덕에서 흙이 깎인 곳과 흙이 쌓인 곳을 관찰해 봅시다.
④ 색 모래가 어떻게 이동했는지 관찰해 봅시다.
▣ 흙 언덕에 물을 흘려 보내기 전과 물을 흘려 보낸 후의 모습은 어떻게 다른가요?
물로 인하여 깎인다.
흙 언덕 윗부분의 흙이 아래로 운반된다.
흙 언덕 아랫부분에서는 물에 의하여 운반된 흙이 쌓인다.
▣ 쟁반 안에 흙 언덕을 만들고 색 모래를 뿌린 다음 흙 언덕 모양을 그려 봅시다. 흙 언덕 위쪽에 물을 부으면 흙과 색 모래가 어느 쪽으로 이동할지 화살표로 나타내어 봅시다.
▣ 흙 언덕에 물을 부은 다음 흙 언덕의 변화된 모습과 색 모래의 변화된 위치, 흙이 깎인 곳과 쌓인 곳을 표시하여 봅시다.
흙이 깎인 곳
흙이 쌓인 곳
▣ 물을 붓기 전과 물을 부은 후 흙 언덕의 모습을 설명하여
봅시다.
흙 언덕의 한쪽이 무너져 내렸다.
세모 모양으로 산과 비슷하다.
흙 언덕의 아래쪽에 흙이 쌓여 있다.
▣ 흙 언덕의 기울기와 흘려 보내는 물의 양에 따라 흙 언덕의 모습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이야기하여 봅시다.
☞ 기울기가 급하면 물이 빠르게 흐른다.
☞ 물의 양이 적을 때보다 물의 양이 많이 흐를 때 더 많은 흙이 깎인다.
▣ 이 실험에서 흙 언덕의 모습을 많이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이야기하여 봅시다.
☞ 흙의 종류(모래 흙)
☞ 물의 흐르기 세게
☞ 물의 양 많이
▣ 강의 상류, 중류, 하류에 따라 나타나는 지형과 발견되는 알갱이의 차이에 대하여 말할 수 있다.
▣ 흐르는 물에 의한 지표의 침식 작용과 퇴적 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과 56-57p, 실관 31,75-76p)
▣ 강의 상류에서 하류로 가면서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봅시다.
▣ 강의 상류는 물길의 폭이 좁고 경사가 급합니다.
상류에는 커다란 바위나 모난 돌이 많이 보여요.
▣ 강의 중류는 상류보다 경사가 급하지 않습니다.
중류에는 작고 둥근 자갈이 많아요.
▣ 강의 하류로 갈수록 강폭이 넓습니다.
하류에는 고운 흙이나 모래가 많이 있어요.
▣ 강의 상류, 중류, 하류의 특징에 따라 강 주변의 모습 붙임 딱지(103쪽)를 붙여 꾸며 봅시다.
▣ 꾸민 강 주변 모습의 특징을 정리하여 써 봅시다.
☞ 강의 상류는 물길의 폭이 좁고 경사가 급하지만, 하류로 갈수록 강폭이 넓고 경사가 거의 없으며 흐르는 물의 양이 많다. 강의 하류로 갈수록 돌의 크기가 작아진다.
학습 내용 평가
강의 상류
강의 하류
▣ 바닷가 지형의 특징을 바닷물의
작용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과 58-59p, 실관 32p)
▣ 사진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야기하여 봅시다.
▣ 『과학』 58~59쪽에 있는 바닷가 지형을 관찰해 봅시다.
▣ 『과학』 59쪽에 있는 ❶~❹번 바닷가 지형 사진을 관찰하고 특징을 써 봅시다.
바위 가운데
구멍이 있다.
해안가에 가파른 절벽이 있다.
고운 흙이나 가는 모래가 넓게 쌓여 있다.
모래가 넓게
쌓여 있다.
▣ 기이한 모양의 바위들의 이름을 지어 봅시다.
☞ 처음에는 하나의 평범한 방위나 땅이었으나 파도에 의하여 침식되어 깎여 나가 섬이나 여러가지 모양으로 보이게 되었다.
▣ 『과학』 59쪽에 있는 ❶~❹번 바닷가 지형 사진을 바닷물의 침식 작용으로 만들어진 지형과 퇴적 작용으로 만들어진 지형으로 분류해 봅시다.
▣ 『과학』 59쪽의 ❶번 지형은 오랜 시간이 지나면 어떻게 변할까요?
학습 내용 평가
학습 내용 평가
퇴적
학습 내용 평가
침식 작용, 바닷물의 침식 작용으로 바위가 깎여서 만들어진 지형이기 때문이다.
▣ 흙을 보존하기 위한 시설물을 설계하고 만들 수 있다.
▣ 모둠에서 만든 시설물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찾을 수 있다.
(과 60-61p, 실관 32p)
▣ 흐르는 물에 의해 흙이 깎여 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시설물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시설물을 어떻게 만들지 친구들과 함께 이야기해 봅시다.
▣ 구상한 흙 보존 시설물을 그려 봅시다.
▣ 설계를 바탕으로 흙보존 시설물을 만들어 봅시다.
▣ 만든 흙보존 시설물을 모래 언덕에 설치하고 물을 뿌리며 흙이 깎이는 정도를 관찰해 봅시다.
가운데 부분에서 흙이 약간 움직였지만, 수수깡으로 된 테두리를 벗어나지 않았다. 시설물을 설치한 부분은 흙이 잘 보존되었다.
▣ 친구들에게 우리 모둠이 만든 시설물을 소개해 봅시다.
▣ 다른 모둠에서 만든 시설물을 살펴봅시다.
▣ 우리 모둠이 만든 시설물에서 개선해야 할 점을 이야기해 봅시다.
학습 내용 평가
학습 내용 평가
학습 내용 평가
☞ 흙은 만들어지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
☞ 흙이 사라지면 동식물이 살아가기 힘들기 때문
☞ 흙은 흐르는 물에 의하여 먼 곳으로 떠내려갈 수 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