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외권과 우주개발

YY. T

★ 천체의 위치는 어떻게 나타낼 수 있을까?

1. 별의 성질

천구

별의 위치

태양 방위각, 고도 사이트

https://astro.kasi.re.kr:444/life/pageView/10

태양 방위각, 고도 사이트

WEAKNESSES

별자리

황도 12궁을 기억하십니까??

전갈자리

사수자리

물병자리

처녀

자리

게자리

천칭

자리

+ 뱀주인 자리

사자자리

쌍둥이

자리

양자리

물고기

자리

황소자리

별자리판

별자리

북쪽 하늘

북쪽 찾는 방법

계절별

별자리

오마이걸-Closer(별자리를 찾아보자!)

처녀자리, 황소자리, 북두칠성, 게자리,

물병자리, 전갈자리, 쌍둥이자리, 천칭자리

계절별 별자리

별자리 찾기 (증강현실 어플)

star walk2

별의 거리

별의 거리

시차

: 관측 위치에 따라 물체의 위치가 배경에 대해

달라져 보이는 각도

연주시차의 원리

연주 시차

: 6개월 간격으로 별 S가 보이는

방향의 차이

∠E₁SE₂의 ½

Q. 별의 거리가 멀수록 연주시차는??

→ 작아진다.

연주시차로 별의 거리 구하기

1pc : 연주시차가 1''인 별까지의 거리

1pc = 3.26LY

(1LY은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

별의 색깔과 표면온도

1. 별의 색깔과 표면온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2. 별의 스펙트럼형과 표면온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발리 아궁화산 폭발

http://tv.naver.com/v/2337921

온도에 따른 색 변화

온도에 따른 색 변화

별의 색깔과 표표면온도

별의 색깔과 표표면온도

스펙트럼

빛을 프리즘에 통과시키거나 분광기로

보았을 때 나타나는 여러가지 색의 띠

별의 색깔에 따른 분광형 및 표면온도

분광형에 따른 스펙트럼

스스로 확인하기

스스로 확인하기

표면온도가 다르기 때문

1. 별들의 색깔이 다른 까닭은?

2. 태양과 같이 노란색을 띠는 별의 표면온도는 얼마인가?

약 5,000~6,000K

성운과 성단

1. 성운과 성단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성운과 성단의 종류를 알고,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성운>

<성운>

: 성간물질이 모여 구름처럼 보이는 천체

수소나 헬륨 등의 가스나 작은 티끌

성운 내에서 밀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 곳에서 별이 태어남.

3. 반사성운

1. 암흑성운

2. 방출성운

불꽃성운

런닝맨성운

말머리성운

성운 및 은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441805&cid=51641&categoryId=51641

<성단>

<성단>

: 많은 수의 별들이 모여 있는 집단

성운은 별이 태어나는 장소

따라서, 성단은 성운 내에서 생성됨!

2. 구상성단

1. 산개성단

구성별의 개수?

모양?

색깔(온도)?

나이?

좀생이 성단

M80

스스로 확인하기

스스로 확인하기

성운

1. 성간 물질이 모여 구름처럼 보이는 천체는?

2. 좀생이 성단으로 알려진 플레이아데스 성단은

파란색으로 보인다. 그 까닭은?

별들의 표면온도가 높기 때문

우주망원경

우주망원경

우리은하와

외부은하

2

우리은하와

외부은하

2

우리은하

우리은하

우리은하의

모습

우리은하의 구성

① 헤일로 : 우리은하의 외곽

- 대부분이 암흑물질

- 구상성단

- 은하 생성 초기의 늙은 별

② 원반 : 활발한 별의 생성

- 산개성단

- 젋은 별

③ 중앙팽대부

- 구상성단

- 태양 질량의 300만배의

초거대 블랙홀 존재

블랙홀

별의 일생

스스로 확인하기

옆 : 원반 모양

위 : 나선 모양

1. 우리은하를 옆에서 본 모습과 위에서 본 모습은?

2. 우리은하에서 태양계가 위치하는 곳은?

은하 중심에서 약 3만 LY 떨어진 나선팔에 존재

외부은하

은하의 분류

외부은하

우리 은하 밖의 은하

스스로 확인하기

타원은하, 정상 나선 은하, 막대 나선 은하, 불규칙 은하

1. 허블이 분류한 외부 은하의 종류는?

2. 우리 은하는 허블이 분류한 기준에 따르면 어디에 해당?

막대 나선 은하

2

FOCUS

AREA

FOCUS

AREA

2

THE PROBLEM

THE PROBLEM

$

JAN

FEB

MAR

#1

#2

#3

2017

PLAN

PLAN

TIMELINE

TIMELINE

#3

#1

#2

FOCUS

AREA

3

3

FOCUS

AREA

THE PROBLEM

THE PROBLEM

$

JAN

FEB

MAR

#3

#1

#2

2017

PLAN

PLAN

TIMELINE

TIMELINE

#3

#1

#2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