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강유진, 김보현, 김선유, 박가영
중추신경계의 백색질 신경섬유들은 말초신경섬유들과 구별하기 어려웠고, 특히 신경섬유와 신경세포가 어떻게 연관되는지는 거의 알지 못하고, 다시 말해 기존의 염색법으로는 단일 신경세포와 그 돌기를 구분할 수 없는 상황
WHo
중크롬산칼륨을 가하여 굳어진 신경조직에 묽은 질산은 용액이 스며들게 하여 크롬산은으로 검게 염색된 신경세포를 선명하게 볼 수 있는 방법
골지체와 축삭 돌기를 가진 척수 후근의 신경 세포인 골지세포를 발견했으며, 힘줄과 근육에 있는 신경말단의 구조를 밝혔다
이 방법으로 뇌 조직을 관찰하여
신경계가 신경돌기들이 서로 이어져
연속된 거대한 망이라고 발표하였는데
그것을 신경 그물설이라 한다.
↓골지가 관찰한 뉴런의 모습
골지가 관찰한 뉴런의 모습
골지 염색법으로 염색된 뉴런↑
골지 염색법을 정교화해 신경세포들을 관찰했고, 골지 염색법을 이용해 수많은 동물들 뇌의 여러 부위에 대한 신경망을 연구한 카할은 신경계가 골지가 주장하는 것처럼 연속적 요소의 망상체가 아니라 수많은 독립된 세포, 즉 뉴런으로 구성되었음을 발견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에 신경세포 사이의 상호 연락 작용이 접촉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함. 이로인해 신경작용에서 뉴런의 기본적인 역할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신경충격의 현대적인 개념을 갖게 되었다.
일부 신경세포를 옥죄어 시들어 죽게 하자, 그 부패는 항상 다음번 신경세포의 경계 앞에서 멈추었다. ▶ 신경세포가 각각 독립적인 단위로 존재
“만약 신경세포가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면 신경세포들 사이의 간극을 신호가 어떻게 건너가는가?”
현대에서는 한세포의 축삭돌기와 다른 세포의 수상돌기가 연결된 부위를 시냅스라 하고 축삭돌기의 말단에 많은 수의 조그마한 주머니가 있는데 이 주머니 속에 든 화학전달물질의 전달을 통해 독립되어 있는 한 신경세포에서 신호가 전달된다고 밝혀 완전히 의문을 종결
BUT!!
골지의 신경계 세포의 연속설과 카할의 인접설은 커다란 논쟁이었으며 이 가운데 골지도 카할이 사망할 때까지도 자신의 이론을 주장하며 투쟁하였습니다.
경쟁 과정에서 이뤄 놓은 신경계의 구조에 대한 업적 덕분에 그들은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할 수 있었다고 한다.
경쟁 과정에서 이뤄 놓은 신경계의 구조에 대한 업적 덕분에 그들은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할 수 있었다고 한다.